세계 최고 수준의 지역 리그라 칭송받는 LCK. 그 대망의 결승전 무대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통신사 라이벌이자 영원한 숙적 SKT T1(이하 SKT)와 kt 롤스터(이하 kt)가 다시 한 번 왕좌의 자리를 두고 전쟁을 펼친다. 양 팀은 2013년 서머 결승(SKT 3:2 승리), 2014년 서머 준결승(kt 3:2 승리)2015년 서머 결승(SKT 3:0 승리) 그리고 2016년 서머 준결승(kt 3:2 승리)에 이어 무려 다섯 번째로 또다시 롤챔스 포스트 시즌에서 마주하게 됐다.

올 시즌 SKT와 kt의 정규 시즌 경기는 SKT의 2전 전승으로 끝이 났다. 두 경기 모두 풀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SKT가 '승패승'으로 승리를 손에 쥐었다. SKT의 승리를 이끌었던 많은 요인들이 있었지만, 결정적으로 승부를 가른 마지막 세트에서 빛이 났던 건 바로 식스맨 '블랭크' 강선구-'프로핏' 김준형의 교체 투입이었다. 그리고 이 식스맨이야말로 현재 kt에게는 없는, SKT만이 가지고 있는 든든한 무기다.

왕좌를 지켜야하는 SKT와 그 왕좌를 탈환하기 위해 뭉친 kt. 게다가 양 팀의 실력 또한 최상위권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기 때문에 두 팀의 빅매치가 갖는 무게감은 확실히 남다를 수밖에 없다. 정규 시즌에서만 해도 엄청난 이목이 쏠렸었고, 매 경기마다 양 팀이 느끼는 압박과 부담감도 상당했을 것. SKT와의 2연전 패배 이후에 펼쳐진 경기에서 다소 흔들렸던 kt의 경기력이 이를 방증한다.

그런 상황에서 SKT의 식스맨 체제가 갖는 장점, 한 세트를 내주게 됐을 때 교체 멤버를 투입해 분위기를 곧바로 환기할 수 있다는 점은 중요도가 높은 경기에서 더 빛을 발했다. kt와의 경기에서 두 번째 세트를 내줬을 때, SKT는 곧바로 팀에 새로운 피를 수혈함으로써 혹시라도 생길 수 있었던 멘탈적인 문제를 사전에 방지했다. 당시 '블랭크' 강선구는 1라운드에서는 렝가를 선택해 안정적인 경기력으로 팀의 승리에 일조했고, '프로핏' 김준형과 함께 교체 출전한 2라운드서는 럼블-그레이브즈로 맹활약하며 승리를 이끌기도 했다.

식스맨을 투입했을 때의 이점은 더 있다. 서브 선수는 코칭스태프와 함께 장외에서 경기를 시청하면서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에 이후 자신이 투입된 경기에 해당 피드백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트가 끝날 때마다 약 10분 간의 쉬는 시간이 주어지긴 하지만 완벽한 피드백이 오가기엔 짧은 시간이다. 그런 상황에서 이전 경기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등을 완전히 숙지한 선수가 합류한다면 경기 내에서 플레이어 이상의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식스맨 체제는 밴픽에서 상대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나, SKT의 특성상 모든 선수들의 챔피언 풀이 상당히 넓어 주전과 서브 멤버가 챔피언 활용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kt 입장에서는 밴픽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해도 한 명의 선수가 두 명의 선수를 상대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5세트까지 펼쳐질지도 모르는 다전제에서 SKT가 언제든 싱싱한 피를 수혈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페이커-이지훈', '벵기-톰', '블랭크-벵기'. SKT의 식스맨 제도는 이전부터 그들의 큰 강점이자 무기였다. 올해도 SKT는 우리의 식스맨은 남다르다는 것을 증명해 나가고 있다. 그리고 무대가 커질수록, 완벽한 시너지 효과를 내는 식스맨 체제는 그 어떤 무기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할 것이다. 오랜 시간 SKT가 정상의 자리를 굳건히 지켜올 수 있었던 것도 이 식스맨의 힘 덕분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