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제 블로그에 게시한 글을 복붙한 글입니다

오른쪽 구탱이가 짤려놔와서 원문 링크 http://desxreis.tistory.com/25

ATi Radeon 그래픽카드 커스터마이징 - RadeonPro

미리 알려드립니다 블앤소 기본 설치경로 클라이언트 파일위치는
64bit = C:Program Files (x86)playncBnSbinClient.exe
32bit =  C:Program FilesplayncBnSbinClient.exe 

1.설치
 다운로드
이프로그램은 프리웨어입니다. 사용함에 있어서의 책임은 당신에게 있다고 씨부려놨네요.

(공식 홈페이지 http://www.radeonpro.info/ko-KR/)가봐야 제대로 된 설명 하나 없음

11.20 추가 Direct X 웹 업데이트 실행파일입니다. D3D게임(마비노기포함)을 좀더 최적화 하시길 원한다면 다운받아서 설치해보세요

 설치방법

다운 받은 파일을 (win7=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시고 약관동의 등등 하시면서 넥스트만 클릭클릭하면 설치가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공식홈페이지가 그렇듯 매우 불편하시게도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파일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 > 시작프로그램 > RadeonPro 로 가셔서 실행하시거나

기본 설치경로인 C:Program Files (x86)RadeonPro  (32비트 운영체제 사용자는 C:Program FilesRadeonPro)에 찾아가 

실행파일인 RadeonPro.EXE를 직접 더블클릭해주는 수고를 해주셔야 합니다.

 초기설정 위자드

수고스럽게 실행하면 왠 무섭무섭한 여자의 눈과 합게 초기 설정 위자드가 아래 그림과 같이 실행됩니다.
 

여기서 설정하고 끝내실 능력자들은 알아서 설정하시고 그 외의 분들은 

Skip the Getting Started Wizard and don't bother me anymore. 체크박스를 체크해주시고 다음으로 넘어갑시다.


2.프로파일 생성 및 저장 (예시= 마비노기)
 프로파일이란 
특정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 그 응용프로그램별로 사용자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바로가기설정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영웅전의 게임을 같이 즐기신다면

마비노기는 그래픽카드설정을 최고사양으로 설정해도 돌아가긴하지만

마비노기 영웅전의경우 그렇게할시 한자리수 프레임이라는 경이적인 수치(제경운 6프레임 나왔습니다.)를 보여주기때문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따로 관리해주는 겁니다.

 그림의 Add new profile(제 악필을 못읽을실 분들을 위해 친절하게 별표시까지 해놨습니다.)을 클릭하시면


아래그림과 같이 응용프로그램의 경로를 찾아주는 창이 뜹니다 

1. 제 설치경로는 마비노기의 기본 설치경로인 C:NexonMabinogi 이고 그안에 
2. Client파일을 선택후
3. 열기를 클릭해주면 프로파일 생성이 완료됩니다.



※설정을 마치고 게임 실행시 에러가 나는경우 
 
프로필 우클릭하면 보이는 메뉴중 Disable API Monitoring에 체크(위 그림에 표시한부분)하시면 해결 될 수있습니다. 마비노기 타임즈 [골렘]무나리님 제보



3.설정 옵션 설명(참고로 전 전문가는 아니기에 틀린점가지고 지랄 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적해주시면 수정해 나가겠습니다.)
빨간색 박스로 그려논 Global과 Profile이 있는데

Global은 전역설정. 즉, 어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던(프로파일에 들어가있는 응용프로그램은 제외) 그 설정을 따르는 것이고
추가로 Global에서 건드렸을경우 성능저하나 응용프로그램 에러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대표적인 예로 곰플레이어슈발)

지금 하려하는 것은 마비노기에만 적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Profile부분이 체크된 상태에서 설정하셔야합니다.
이전 단계에서 프로파일을 생성한 직후엔 자동으로 체크가 되있기 때문에 따로 안건드리셔도 됩니다.
 a. Visual

  1. Anti-Aliasing
안티 앨리어싱(이후 안티라고 씁니다)은 3d게임의 계단현상을 부드럽게 표현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는 프레임 저하의 주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자신이 없다면 건들지 마시고 이 아래 2,3번의 기능도 무시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사용을 위해선 체크박스를 체크해주시고 use application settings을 클릭하여 override application settings으로 바꾸신후

그아래 2x라 써있는 스크롤로 샘플 수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4x를 추천

그밑에 Morphological Filtering이란 항목이 있는데 이것은 물리적 필터링(그냥 화면의 모든것을 다뭉게버리겠다)으로 사용하게되면 마비노기의 경우 채팅글씨를 못읽게 되는 불상사가 벌어지기 때문에 건들지 마시길 바랍니다.
 

  2. Anti-Aliasing Filter
안티 필터의 종류를 설정합니다.
Box의 경우 부드러운 느낌이 나고(저사양)
Narrow-tent와 Wide-tent는 솔직히 구립니다 별로 권장 안해요. 궁금하시면 직접 써보시길
Edge-detect는 아주 매끄러운 외곽선을 자랑합니다. 위에 샘플수 설정을 8x로 할경우(24x로 변경됨) 쩌는 퀄리티의 그래픽과 나락으로 향하는 프레임을 맛볼수있습니다.(초고사양)

그냥 박스하세요.

  3. Anti-Aliasing Mode
안티 모드 설정하는것으로
Multi-sample, Adaptive, Supersample 세가지가 있으며 우로 갈수록 더 좋은 품질을 기대할수 있고 HD4xxx번대 이하의 제품의 경우 Supersample이 없을껍니다.
전문가적인 영역이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것 또한 성능저하의 주 원인이 되긴합니다만 그래픽향상의 꽃이긴합니다.

Edge-detect + 24x + supersample 설정을 사용할경우 지구 반대편즘에 있는 프레임을 볼수 있습니다. (6950이상이신분들은 도전해보세요)
개인적인 추천 세팅은 Box + 4x + supersample(adaptive)

  4. Anisotropic Filtering
비등방성 필터링(이후 비방이라 씀)으로 멀리있는 텍스쳐의 품질을 더욱 선명하게 묘사함으로 그래픽 품질 향상을 이뤄내는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옵션입니다.
기본은 꺼져있고 사용을 원하실경우 체크 박스를 체크하시고 원하시는 샘플수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8x를 추천
 
  5. Tessellation Control 
d3d 11버전 이상에서만 작동합니다. 테셀레이션 컨트롤의 경우는 폴리곤의 숫자와 관련된 것이긴 한데 현재 나온 게임들중 지원하는 게임이 있기나한가 모르겠어서 이부분은 그냥 무시하고 넘어갑시다.
 

  6. Vertical sync control 이건 OpenGL 게임에 해당됩니다.마비노기의경우엔 해당되지 않습니다. Direct3D의 경우는 밑에서 설명

수직동기화라는 옵션입니다. 모니터의 재생빈도(60 Hz)에 맞게 초과되는 프레임을 잘라 60프레임으로 고정시켜 화면 찢어짐현상을 없애줌으로써 보기에 더 좋은 화면과 성능을 이끌어 냅니다. 
단점도 있는데 60프레임 이하의 화면에선 그것을 재생빈도의 절반인 30프레임으로 그이하에선 또 절반인 15프레임으로 고정하는 의외로 멍청한 기능이기도 합니다.
11.11.20 15:40분 추가 : 수직동기화 기능은 창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전체 화면에서만 정상 적용 된다는걸 미리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강제로 켜게 될경우 적용될 수도 있지만 클라이언트 에러의 원인이 될수도있습니다.

기본은 응용프로그램 설정에 따라가게 되어있고, 강제로 적용하기 위해선 체크박스를 체크후 
Allways Off  항상 끕니다. 응용프로그램에서 따로 켜놔도 사용하질 않음
Off, Unless app... 꺼놨습니다만 응용프로그램에서 따로 킬경우 사용합니다.
On, Unless app... 켜놨습니다만 응용프로그램에서 따로 끌경우 사용하지 않습니다.
Allways On 항상 킵니다, 응용프로그램에서 꺼놔도 사용합니다.

네가지중 입맛에 맞게 사용합시다.

 b. Advanced

기본적으로 프로파일생성후엔 체크박스가 파란색으로 채워져있는데 이게 체크된게 아닙니다
  1. Force Triple-Buffering(OpenGL)
삼중 버퍼링이라는 기능인데 수직동기화의 멍청함(위에 설명)을 완화시켜줍니다. 수직동기화를 사용할경우 체크합시다.

  2. Anisotropic optimization
비등방성 필터링 최적화, 비방의 성능저하를 완화시켜줍니다. 체크해둡시다, 

  3. Trilinear optimization

트릴리니어 필터링 최적화, 최적화니까 킵니다. 딱히 문제 없습니다.
 
  4. Enable Surface Format Optimization
서페이스 포맷 최적화 사용, 이건 사용할 경우 가끔 문제가 생깁니다. 이유는 몰라요 걍 건들지맙시다.
 
  5. Texture Filtering Quality
텍스쳐 필터링 퀄리티, 텍스쳐 필터링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3D모델의 텍스쳐의 품질을 압축하여 사용하거나 그대로 사용하거나 결정합니다.
체크를 해주시고 Performance, Quality, High Quality세가지중 원하는것으로 설정 
하이 퀄리티의 경우 약간의 성능저하가 생깁니다.
전 하이퀄리티
 

  6. Mipmap Quality
밉맵핑 퀄리티, 텍스쳐 필터링 퀄리티와 비슷한 성능변화가 있습니다. 
이것도 하이퀄리티

  7. Texture LOD(Level of Detail)
텍스쳐 레벨 오브 디테일, 가까이 있는 텍스쳐는 있는 그대로 사용하고 멀리있는 텍스쳐의 경우 압축하여 사용함으로써 성능향상을 도모하는 시스템입니다. 마이너스로 갈수록 압축하는 단계가 적어져 어색함이 생기며 
플러스로 갈수록 단계가 많아져 어색함이 줄어들지만 성능향상이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만 자연스러운 원경을 보실수있습니다.
사용하도록 체크하며 사용자의 사양에 맞게 이용합시다.
전 +2로 사용합니다
 

8. Flip Queue Size(FQS) 
사실 이팁을 쓰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비해 ATi가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옵션이 엔비디아 제품의 경우 기본 3으로 설정 되어 있지만 ATi의 경우 1로 설정되있기에 그만큼 성능이 떨어지는건 당연한 이유이죠.
때문에 이 옵션을 사용하면 ATi 특유의 화려한 색감과 엔비디아의 3D랜더 성능을 동시에 만끽 할수 있기때문에 엔비디아가 똥망ㅋ 무조건적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셔야 합니다. 
기능 설명을 하자면 GPU가 연산할 프레임의 설정 수치만큼의 앞 프레임을 CPU가 선행 연산을 함으로써 GPU의 부담을 덜어 프레임 향상의 큰 영향을 미치는 기능입니다.

체크박스를 체크하신 후 권장 설정은 3 쿼드 코어 3.0 이상이신분은 그이상을 설정해주셔도 무방합니다.

마비노기 타임즈 [하프]헬리크님 추가
 
플립큐 설정은 2~3정도 하는게 맞긴한데 플립큐가 크면 클수록 인풋렉(화면과 키보드나 마우스입력의 어긋남)이 발생합니다. 
그러니 좋은 컴퓨터이시면 낮게 하는게 좋고 인풋렉을 감안한다면 올리셔도 되지만 심하게 올리지 않기를 추천합니다.
비슷한 예로 FPS게임 하는 분들은 빠른 반응속도를 위해 0은 기본으로 하지요. 차라리 약간 끊어지는게 낮지 입력이 늦으면 바로 사망이니... 
다른게임할때 무언가 입력과 화면이 어긋나서 컨트롤에 문제가 있다 싶으면 플립큐낮추면 해당 문제를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9. CrossfireX Settings
크로스파이어X란 그래픽카드 두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근데 제가 크파X를 사용안해서 이옵션은 뭔지 모르니까 패스합니다.

 c. Tweaks


  1. Direct3D Tweaks 
엔비디아 설정엔 기본으로 있지만 ATi엔 없는 D3D수직동기화 옵션이 여기있습니다. 이걸 강제로 킬경우 특정프로그램에서 오류가나는 현상(위에 말했듯 곰플레이어 슈발 편하게 야동도 못보게됨)이 생기기때문에 글로벌 설정에서 항상켬으로 해두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VSync Control
11.11.20 15:40분 추가 : 수직동기화 기능은 창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전체 화면에서만 정상 적용 된다는걸 미리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강제로 켜게 될경우 적용될 수도 있지만 클라이언트 에러의 원인이 될수도있습니다.
        Driver default 
기본값,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켜지고 꺼지고 합니다.
        Always on 항상킴, 응용프로그램과 상관없이 항상 켭니다. 응용프로그램에서 제어 할수 없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Always on(Double Vsync) 항상 킴 더블 수직동기화, 몇몇 게임의 절반도안나오는 프레임을 강제로 60프레임으로 고정시킵니다.
        Always Off 항상 끔, 안씀 
     Triple-buffering 위에 설명한대로 수직동기화의 멍청함을 완화시켜줍니다.
      Display Refresh rate 화면 재생빈도를 입력합니다 일반적인 LCD,LED모니터는 59나 60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CRT모니터나 그외 모니터 사용자들은 제어판의 디스플레이설정에 들어가셔서 모니터의 화면 재생 빈도의 수치를 확인하고 그값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Force aggressive API detection lever D3D수직동기화를 인식 못하는 특정게임을 인식하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옵션으로 기본적으로 체크하지 맙시다 에러도 있다고 함.
     Stealth mode 현재 미구현 옵션입니다.


  2. Misc Tweaks
기타 추가 설정입니다.
       Disable Aero 윈도우 7,Vista사용자의 Aero(그 익스플로어 가장자리 유리처럼 되는 효과)를 게임실행시 끕니다. 게임을 종료하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Force Process High Priority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강제로 높게 만듭니다. 게임만 할땐 문제가 없지만 게임하면서 딴짓할땐 에러가 생길수도 있으니 가급적 사용하지 맙시다.
       CPU Affinity 멀티코어를 지원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에 강제로 멀티코어를 적용시켜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응용프로그램에 사용하길 원하는 코어들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d. Scripts
 e. Launcher


 f. Trigger
생성한 프로파일을 관리하거나 같은 프로파일을 공유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1. Add alias 현재 설택한 프로파일을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추가로 적용시킵니다.
2. Delete alias 현재 선택한 프로파일에 적용된 응용프로그램을 지웁니다.
3. Aliases list  현재 선택한 프로파일에 적용된 응용프로그램들의 목록 

 g. About


추가 RadeonPro 기본 설정하기



 라데온 프로프로그램창의 상단에 그림에 위치한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밑줄친 두가지를 체크하시면 윈도우 부팅시 자동시작과 시스템트레이로 자동으로 이동됩니다.

게임 화면의 프레임을 보기위해선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좌측 탭에 FPS를 클릭해주시고 별표시된 체크 박스에서 프레임 수치를 확인하고싶은 위치에 체크해줍시다 사용하길 원치않으시면
Hidden을 클릭
중간에 Clear라고 동그라미에 위치한 것을 클릭해주시면
프레임 위치를 바꾸거나 하는 단춬키를 없앨수 있습니다.
아래에 1.이라 표시된것을 체크하시게 되면
실시간으로 표시 되는 프레임수치를 1초에 한번씩만 출력해줍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최종적으로 설정한 마비노기용 설정샷입니다.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직접 자기에 맞게 설정하시는걸 추천합니다

<클릭 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입니다>


이상 파죽지세 서버 45렙 역사 패리스아리아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