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아2부터 본캐도 야만.. 부캐도 야만만 하는 야만아재입니다.
라이트 유저라 시즌별로 캐릭하나 육성하는 것도 힘들긴 하지만
이번 시즌은 카일버트님을 비롯하여 제압선망으로써 좋은 자료들을 많이 공유해주시다보니
따로 본캐육성에 공을 들일 필요가 없었고
그래서 남는시간 평소 하고 싶었던 난투바바에 대해서 온종일 시간을 투자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비주류 케릭이기 때문에 관심도 많이 없을테고 또 주류 케릭 제압선망보다 약하기에
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을테지만..
유행은 돌고 돌듯이 또 언젠가는 난투 바바의 버프가 올지 모르니까요.
그때를 위해서 제가 경험하고 쌓은 것들을 기록하는 시간으로 남겨볼까 합니다.

제가 다시 하게 되더라도.. 혹은 누군가가 하게되더라도 이어서 고민할 수 있도록..



난투바바의 기본적인 특성.

1. 난투스킬은 분노를 소모하는 스킬이 없다.
    1) 발차기 스킬의 마지막 스킬을 "힘의 발차기"를 찍었을 경우에는 유일하게 분노 소모기가 된다.
    2) 분노 소모 스킬이 없으므로 이와 관련된 옵션, 스킬, 아이템은 궁합이 좋지 않다.(<->분노에서 자유롭다)
        - 추방된 군주의 영물(어짜피 발동이 핵심스킬이라 불가능함)
        - 분노소모감소 필요없음.
        - (스킬)원기의 분노(소모된 분노당 체력회복) 쓸모없음.
        - 분노생성 스킬이나 아이템이 필요없다(자유롭다)
        - 그외 다수.

2. 스킬을 많이 찍을 수록 데미지가 늘어나고, 또 쿨타임이 줄어들기 때문에 올스킬 및 재감옵션이 중요하다.
   1) 샤코가 빛을 발할 수 있으며, 필수아이템이다.(하지만 샤코는 누구에게나 빛이되어 주는...)
   2) 도약, 돌진은 스킬레벨이 올라갈수록 데미지가 늘어나지만 "발차기" 스킬은 스킬을 여러개 찍어도
       데미지가 늘어나지 않는다. 단지 쿨타임만 줄어든다.
       - 발차기는 1개만 찍어주면 된다.
       - 도약, 돌진의 경우 스킬을 16개까지 찍어줄 수 있지만.. 데미지가 드라마틱하게 늘어나진 않는다.
          따라서 스킬레벨에 너무 목을 메지는 말자.
       - 샤코4, 목걸이(난투3), 스킬포인트 5 = 12포인트를 줄 경우 도약 쿨타임은 9.17초(재감 18.3% 기준)

3. 활용 스킬을 "난투스킬" 로 집중할 경우 스킬의 효율성이 좋다.
    1) 목걸이로 난투스킬3을 챙기면 발차기+3, 전장의 함성+3, 돌진+3, 도약+3 도합 12스킬 증가
    2) 위상 : 곰혈족 광전사의 자원위상(광폭화 상태에서 적을 처치하면 난투기술의 재사용대기시간 감소)
        - 전장의 함성의 경우 담대한 족장의 반지 위상이 없어도 쿨타임 줄어듬

4. 주력 공격 스킬은 "도약" 그 이유는 무제한 사용가능한 위상들이 있기 때문.
    1) 영원한 발구르기의 위상 : 발차기 또는 발구르기로 피해를 주면 도약 재사용 대기시간 초기화
    2) 거인의 발걸음 위상 : 적중당한 적 하나당 도약 쿨타임 5초만큼 최대 9초 줄어듬.

5. 도약, 돌진은 범위 딜이기 때문에 몹을 다수 타격할 경우 불복 스택을 빨리 쌓거나, 출혈을 다수 일으킬수 있음.
   1) 무쇠피 위상을 쓸 경우 도약1번에 5출혈로 20%뎀감 확보가능함.

6. 기본적인 공격 매커니즘
   [돌진으로 몹 몰이 -> 도약x 3 -> 발구르기(도약 초기화) -> 도약 -> 발차기(도약 초기화) -> 도약] x 무한반복

7. 난투 스킬은 다수의 쫄몹을 상대할때는 강력하나, 보스 및 도살자등 단일 몹에게는 다소 약함.
   1) 악던100단 도살자는 광전사의 진노가 충전되어 있을시 그나마 낫고, 주변에 쫄몹이 있다면 끌고와서
      싸워야함(무한 도약 가능하려면 몹이 2마리 이상되어야함)

8. 돌진 / 도약은 양손둔기, 양손검, 쌍수무기 모두 지정 가능함.
    1) 필멸의 패(정복자 문양 : 무기 교체시 극대화), 대지격퇴자(무기 교체시 제압피해 증가) 활용 가능.
    2) 핵심지속효과 : 걸어다니는 무기고는 평타를 사용안하므로 비추.
    3) 돌진은 둔기, 도약은 양손검을 지정할 경우 전문성 기예 없이도 출혈 발생 가능(양손검 특성)
        - 단, 양손검이 둔기보다 데미지가 낮으므로 도약 데미지 줄어듬.


9. 그외 기억해야할 점.
   1) 핵심 스킬이 없어서 추방목 사용 불가.
   2) 붉은 열광의 반지 사용불가.
   3) 핵심 스킬이 없어서 솟구치는 격노 사용 불가(핵심 지속효과) -> 고삐풀린 힘 반 고정..
   4) 전투의 열성 스킬로 상시 광폭화 유지가능(전투의 열성 : 난투로 공격시 광폭화)
   5) 보스전을 위해서 파열, 결정타등을 조합해봤으나, 위상 따라붙지 않아서 그런지 데미지가 낮았음.



잠깐, 난투 스킬이 분노를 소모하지 않는다고?(발차기 제외) 그렇다면....?

1. 궁합이 좋은 위상
    1) 무감각한 진노(분노가 최대일때 생성하는 분노당 보강증가)
    2) 검의 달인(분노가 최대일때 기술피해 20%[X] 증가)

2. 분노가 소모되지 않는다면.. 분노통이 곧 피통이 되는 셀.리.그랑 궁합은 베스트 아닌가?
   1) 실제로 바지 티볼트를 입은상태(피감 옵션이 부족한 상태)에서 셀리그를 착용 했을때 분노유지가 어려웠음.
   2) 분노를 생성하는 도약, 발구르기 스킬이 9-10초마다 발동하는데.. 그 사이 큰 데미지를 받을 경우
      분노를 확보할 수단이 없어서 위기가 종종 발생했기에 별로라고 개인적으로 결론 내렸었음.

3. 다만, 현재 글을 올리는 시점에서 생각해보니.. 본캐릭으로 고유템을 모두 먹은 상태였기에
   부캐로 난투바바 육성시 80레벨에 셀리그를 착용했었고, 정복자등 미비한 상태에서의 결론이었기에
   현재 글을 업로드 후 테스트 해볼까 함(따라서 셀리그에 대한 답은 보류)




난투바바 스킬트리 및 조합 / 궁합 소개

스킬트리 : https://diablo4.inven.co.kr/db/skilltree/35897

1. 난투스킬로 가기위한 기본 공격은 버리는 스킬(어쩔수 없..)

2. 난투스킬이 아니지만 발구르기가 도약 쿨타임을 초기화 시켜주므로 사용
   1) 분노 생성을 쓰는이유는 도약과 더불어 2개의 스킬로 분노를 빠르게 채우기 위함
   2) 궁극기 광전사의 진노를 쓰더라도 무감각한 진노, 검의달인 유지를 위해서는 필수.
       
3. 발차기를 분노 소모하는 힘의 발차기를 사용하면.. 발차기를 사용하는 순간 분노가 0이 되는데
   그러면 검의 달인 효과가 사라지지 않나? 발차기 사용할때마다 분노가 사라진다면 별로이지 않을까..?
   1) 강력한 발차기를 사용할 경우(분노사용X) 상시 검의 달인 위상 버프를 받으면서 쫄몹을 상대하는
       구간에서는 좋다. 다만, 난투 스킬의 경우 상대적으로 보스전이 느린편인데 보스전에서는
       확실히 힘의 발차기를 사용하는 것이 딜차이가 큼.
    2) 발구르기(분노) + 도약(분노)를 조합할 경우 발차기로 0이 된 분노를 순식간에 100까지 채울수 있어서
        검의 달인의 공백시간이 짧음.(2개의 스킬을 분노 스킬로 두는 이유)

4. 전장의 함성 - 강력한 전장의 함성(보강)의 경우 부족한 탱에 대해서 상시 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므로
   필수(무감각한 진노 및 흡혈귀의 힘에서 핏빛보호대를 써도 없으면 아쉬움)
   1) 영상을 보면 몹을 다수 몰이하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사기템 셀리그를 쓰지 못함으로 인하여
       매우 아픔, 따라서 상시 보강 유지하는건 선망야만보다 더 중요함.
   2) 티볼트를 사용할 경우 전장의 함성 대신 도전의 외침으로 방어를 챙기는 것을 권장.
       - 티볼트는 있지만 좋은 피감 갑옷이 없을 경우 추천.
       - 단, 상위 언급한거처럼 셀리그가 적용될 수 있다면 티볼트도 가능성은 생길수 있으나,
         현재 상태에서는 티볼트 사용은 비추함(탱이 너무 안됨)
       - 셀리그 없이 티볼트를 착용 후 악던을 돌면.. 맵을 골라서 돌아야 할 것으로 추정.
       - 99단까지도 티볼트 입고 죽은적은 없었으나, 유독 100단 돌때 한두번씩 죽었었음.
 
5. 힘의 돌진(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or 강력한 돌진(취약) 중에서
   재감이 부족할 경우(샤코가 없거나, 재감목걸이가 없거나, 곰혈족 위상이 없거나) 힘의 돌진 추천.
   재감이 충분할 경우 강력한 돌진(취약) 추천.

6. 전투의 열성으로 광폭화 유지시 3스킬까지 투자는 필요없음(무조건 3개찍지 말것)
   1)도약을 쉬지 않고 쓰므로 상시 광폭화 상태 유지됨.

7. 전문성 기예 양손검(출혈) + 무력화(출혈 감속) + 무자비(감속 극확) 세트
    1) 전문성 기예 양손검 없이, 무력화 스킬 투자 없이 강력한 도약 스킬(70%감속)로 무자비 사용 가능.
       (단, 도약에서 분노 생성을 뺄 경우, 검의 달인 / 무감각한 진노 효율 떨어질수 있음)

8. 도약/돌진을 모두 양손둔기로 지정 묵직한손(양손극피) + 야수의힘(양손제압피해증가) + 맹공(취약데미지증가) 
   1) 무기 교체하는 위상 및 필멸의 패 사용 불가.
   2) 맹공을 취약데미지 증가로 쓰려면 강력한 돌진(취약) 고정.
   3) 맹공을 기절데미지 증가로 쓰려면 뇌진탕 3스킬 투자 및 용맹위상 조합 추천.

9. 광전사의 진노(보스 딜을 위해서 필수) , 고삐풀린힘(쓸수 있는게 고삐풀린 힘 외엔 없음)




흡혈귀의 힘 (현재 제 세팅 기준 : 탈태, 피종기, 핏빛보호대, 탄력 , 혈마법)

1. 탈태 : 저지불가 목적
2. 피종기 : 핵심 스킬은 없지만 20초 제압딜 목적
3. 핏빛보호대, 탄력 고정
4. 탱이 부족하다 : 불멸 / 탱은 버틸만하다 : 혈마법(탱+딜)
5. 지배(기절 24%[x] 추뎀) - 상위 스킬에서 뇌진탕, 용맹위상등으로 기절을 챙길시 조합가능.
6. 약육강식 : 돌진으로 취약을 걸다보니 약육강식 대신 방어용 흡혈귀의 힘 사용.
                   따라서 약육강식이 효율이 좋아지더라도 우선순위는 떨어짐




정복자(8보드 7문양 3전설)

정복자 보드 :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46939

1. 8보드까지 간 이유
   1) 사용할 만한 전설 노드가 선망대비 적음.
   2) 추가 보너스를 발동시키기 위한 목적 외에 추가 딜을 위해서 정복자를 더 투자할 경우
      생각보다 딜 증가폭 체감이 안됨.
   3) 한아비, 샤코등 고유템 덕분에 의지력 800 맞추기 용이해짐.
      - 8번째 보드 활성화를 위한 정복자 포인트는 충분히 있으나, 의지력 / 민첩 2개다 800은 현재템으론 불가능

2. 무기전문가 보드 - 난투 문양은 난투를 사용할 경우 고정적인 자리.
   1) 난투문양의 특징 : 물리 피해 및 피해감소 속성 증가
   2) 물리피해 및 피해감소 마법노드가 공존하는 곳이 유일하게 무기전문가 보드임.
   3) 희귀노드 무쇠의 힘, 순수한힘에서도 물리피해 및 방어도 증가.
    


3. 기본보드에서 희귀노드 몸집, 희귀노드 순수한 힘은 정복자 포인트가 남아서 마지막에 찍은 것으로
   가장 효율이 좋다고 판단한 것이므로 자유롭게 변형 가능.

4. 제압이 딜 상승에 메인 역할을 하므로 분쇄자, 지배 정복자 문양 및 뼈파괴자 보드 사용.
   1) 상위에 언급한 무기 교체 및 필멸의패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분쇄자 효율 떨어질것으로 추정. 
   2) 그 외에 정복자 문양은 자유롭게 가능.

5. 할복은 출혈을 사용하므로 궁합이 좋음. 따라서 레벨업 중이거나, 장비 세팅중에는 사용함.
   다만, 필요한 재감을 맞춘 후에는 필요없어지므로 데미지를 증가시켜주는 위상으로 교체.

6. 문양 난동의 경우 70힘을 찍으면 약 550% 지진데미지가 늘어나지만.. 실제로 체감은 거의 안됨.
    1) 추가 보너스 : 지진 활성화시 우두머리외 추가데미지 10%[X]가 중첩됨.
       실제로 4-6회까지 중첩되는걸 확인.






상태창, 착용 아이템 및 위상

1. 상태창



2. 착용 아이템 및 위상

1) 곰혈족 반지의 경우 모자란 냉기저항을 맞추다보니 옵션이 완벽하지 않음.
2) 한손무기는 둔기 고정 : 제압선망 대비 탱, 딜에 여유가 없으므로 효율 논란이 있는 도검은 제외.
3) 불카토스의 목걸이 : 불카토스의 위상의 경우 도약을 주로쓰는 난투바바에게 필수 위상이라 목걸이보단
    양손무기에 가야할듯 하나.. 양손무기에 각인이 불가능함. 그래서 목걸이에 사용하는 것.
4) 상태창을 보면 나오듯이 목걸이 포함 총방어도를 잘 챙겨서 방어력 수치가 높음(따라서 불복 사용 x)
5) 하지만 방어력이 낮았다고 해도 동시 출혈 효율이 좋기 때문에 무쇠피가 방어위상으로 좋음.
6) 그외 사냥꾼의 위상(발차기, 돌진에 피해받은 후 죽으면 주변에 폭발데미지) 의 경우 차선책으로
    쓰일수 있으며, 궤멸자가 없어서 한손무기에 추가로 넣거나, 곰혈족(반지) 위상이 없을 경우 넣을수 있음.
7) 신발 및 바지의 부상피해감소는 최근 이슈도 있었지만.. 필수 옵션에 가까움
8) 앞서 난투스킬 시작 설명에 스킬레벨에 대해서 너무 목메지말자고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아래 바지를 사용했을시 총방어만 빠지고 현재 착용중인 바지와 동등한 옵션이며,
    도약스킬이 16스킬로 늘어나지만.. 실제로 딜이 늘어나는 체감은 크지 않고
    총방이 빠짐으로해서 2000 정도 떨어지는 방어력 때문에 죽을 위기가 조금이라도 더 자주 찾아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사용하지 않고 또 권장드리지 않지만.. 궁금하신 분은 직접 테스트 해보시길
    바랍니다.





사냥 영상(악던100단 사막풍, 버려진 아랫길 - 탱 확인용 / 자카라 종탑 - 보스전 확인용)
*보통은 몹을 회피기로 무시하고 2-3차례 지나간 후 어그로 끌린 몹들이 충분히 모이면.. 뒤로 돌아서
돌진으로 몹을 뭉치게해서 도약으로 딜을 넣습니다. 참고하세요







1. 자카라 종탑 보스의 경우 궁극기 광전사의 진노를 켠 후에 돌진으로 취약을 묻히고 발구르기로
지진을 유발(지진 내 데미지 증가) -> 발차기를 쓰는 패턴을 취하면 보스에게 한방딜을 강하게 먹일때가
많았는데.. 영상에서는 좀 꼬였습니다.  하실분들은 참고하셔서 순서대로 사용해보세요.






마무리

아이템을 살펴보면 갑옷 및 바지에 피감등 파밍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최근에 롭을 통해서 나온 좀비바바와 유사하며, 그만큼 셀리그의 공백상황에서 탱을 챙겨야 하기 때문이기도한데요
슬프게도 저렇게 졸업급 템들을 입어도
셀리그 선망 야만에 비교하면.. 많이 아픕니다.(셀리그.. 사기...)

그래도 악던 맵이나 몹의 특성에 따라 추려서 돌지 않아도 죽지 않고 클리어 할수 있는 스펙은 가능하며,
아이템 파밍, 세팅난이도에 비해서 케릭이 많이 강력한건 아니기에 권장드리는건 아닙니다.

다만, 혹시나 관심있어하시는 소수분들에게 도움이 되길바라며,
그리고 시즌 2 이후에라도 난투 바바가 쓰일날이 온다면 참고해서 자료를 살펴볼 수 있는 글이 되기를 바라며,
이만 맺습니다.

언젠가 쓰일수 있는 날이 오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