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ff14.co.kr/community/knowledge/46

1. 총사령부가 뭐지?


총사령부는 각 도시지역의 군사동맹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각 군사동맹은 해당 지역의 공통된 목표를 위해 자원을 모으거나 군사력을 집결시키곤 합니다. 

이 총사령부는 레벨 20이 되면 받는 메인스토리를 통해 결정하게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공홈 가이드를 보시면 되겠죠.

시작 도시가 어디이든 상관 없이 원하는 총사령부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총사령부는 동시에 여러개를 선택할 수 없고, 반드시 하나만 선택하는 것입니다. 

 

2. 각각 도시의 총사령부는?


The Maelstrom Flag.png 림사로민사의 흑와단.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그라다니아의 쌍사당 The Immortal Flames Flag.png울다하의 불멸대

 

3. 총사령부 꼭 들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첫째, 우선 총사령부를 들어야지만 초코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세계는 넓고 발은 느리니까요!

둘째, 총사령부의 아이템들은 꽤 고급입니다. 첫 직업을 키울 때에는 사실 포인트가 모자라서 아이템을 사기 쉽지 않지만

       두번째 직업을 키우는 도중 마땅한 옷이나 무기가 없다면 

       시장을 찾기 전에 총사령부의 아이템을 먼저 둘러보는 것을 권해요.

셋째, 능력치 초기화 아이템 (영문으로 Keeper’s Hymn)을 군표 250개로 바꿀 수 있습니다. 특히 만렙일 경우 

        직업을 바꿀 때 30에 달하는 포인트를 그대로 둔채 바꾼다면 효율이 많이 떨어지겠죠. 

        따라서 이 아이템으로 간단히 바꿀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경험치 증가 스크롤 등 이곳에서만 얻을 수 있는

        소모, 재료 아이템들이 있습니다. (랭크에 따라 접근성이 틀려집니다)

넷째, 자유부대를 결성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총사령부에 들어가야 추가되는 게임 시스템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총사령부 임무 (제작, 전투, 수집)는 퀘스트가 없어 허덕댈 때 큰 도움이 되고, 

           레이드 퀘스트 역시 이 총사령부에서 제공합니다. 또 각 총사령부 전용 토벌수첩이 열립니다.

 

4. 총사령부를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점과 아닌점은?

우선 달라지지 않는것을 살펴볼게요.

 -어느 총사령부를 선택하든 초코보는 얻습니다.

 -총사령부 퀘스트가 아닌 다른 퀘스트를 제한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총사령부 관련 레이드는 다른 총사령부를 선택한 유저끼리도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영향없슴다. 

 -총사령부를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메인스토리가 약간씩 달라집니다. 물론 결과적으로는 다 같습니다.

 

달라지는 것을 살펴볼까요.

 -초코보 안장 : 초코보 안장은 각 총사령부마다 다르기 때문에 룩을 중요시 하는 분들이 고려하는 요소일 듯 합니다.

                    물론 안장은 외양외에 초코보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없습니다.

 -길드 의뢰 : 길드 의뢰의 보상이나 내용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다른 길드의 의뢰도 할 수는 있지만 자신이 속한 길드의 

   의뢰에 대한 보상이 더 우월합니다.

 -총사령부 아이템 : 총사령부마다 제공하는 장비의 능력치가 다릅니다. 물론 외양도 틀립니다.

 저도 구체적인 수치는 지금 글섭에서 겜하고 있는게 아니라 정확히 모르겠고 검색을 통해 가져왔네요. 저도 총사령부 장비를 입은 적이 없어서; 우선 총사령부 장비중 고레벨 장비에는 sanction 발동이라는게 있습니다. 이 버프는 각 총사령부 npc에게 무료로 받거나 스크롤을 사서 쓰는 버프인데요 이게 발동할 때만 추가로 붙는 능력치가 있기 땜에 위의 표에서 발동시와 비발동시로 나눈거 같아요. 왼쪽부터 쌍사당, 흑와단, 불멸대입니다.

수치를 확인하시면 알겠지만 보통 탱커분들은 흑와단을, 크리티컬 데미지를 중시하는 밀리들은 쌍사당을, 마법사들은 불멸대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장비는 다른 곳에서도 다 맞출 수 있기 때문에 꼭 반드시 어느곳으로 가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택은 유저의 몫이죠.

 -PVP : 피비피 존에 들어갈 때 각 총사령부의 팀으로 분배됩니다. 

 

5. 총사령부의 군표 어떻게 얻나요?


 -길드의뢰 : 길드 의뢰중 총사령부 의뢰를 주는 곳이 있습니다. 이 의뢰들의 내용은 다양한 필드 전투에요. 렙업할 때

                많이 쓴답니다. 길드 의뢰를 주는 곳은 다음과 같아요.

 총사령부

 위치

 좌표

 수행 적정 레벨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

 

검은장막 숲 동부삼림 

16-27

 

20-25

 The Maelstrom Flag.png

 

저지 라노시아 

23-34

20-25

 The Immortal Flames Flag.png

 

 동부 다날란

14-23 

20-25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

 

 검은장막 숲 남부삼림

17-30 

30

 The Maelstrom Flag.png

 

 동부 라노시아

 33-30

30 

 The Immortal Flames Flag.png

 

 남부 다날란

 18-13

30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The Maelstrom Flag.pngThe Immortal Flames Flag.png

 

 커르다스 중앙고지

25-28 

35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The Maelstrom Flag.pngThe Immortal Flames Flag.png

 

 커르다스 중앙고지

11-16

40

 The Order of the Twin Adder Flag.pngThe Maelstrom Flag.pngThe Immortal Flames Flag.png

 

 모르도나

30-12

45

 

 

 - 총사령부 임무 : 던전에서 나오는 고급 장비를 가져다주거나, 제작아이템을 주는 것 같은 임무들이 있습니다. 특히 제작 아이템이나 수집 아이템을 주는 임무들은 제작 경험치, 수집 경험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하루에 한번 초기화 되므로 매일 한번씩 해주면 지겨운 제작과 수집 올리기에 큰 도움이 되요. 이 임무들을 완료하면 군표가 지급됩니다.

 

- 돌발임무 : 사실 군표를 모으는 가장 빠른 방법은 필드를 돌아다니며 돌발임무를 주구장창 해대는 겁니다.

 

 

6. 총사령부의 진급 시스템은?


총사령부 에서 진급을 거듭할수록 구입할 수 있는 아이템이나 접근할 수 있는 임무가 많아집니다. 또한 진급을 통해 군표의 최대치를 늘리기도 해요. 따라서 진급은 꼬박꼬박 하는게 좋겠죠.  

진급시에는 일정량의 군표와 토벌수첩 완성 등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계급

 해당 계급에서

최대 획득가능 군표

 다음 진급에 필요한

군표

 기타사항


 9

10000 

2000 

 

 

 

 8

15000 

3000

 


 7

20000

4000 

 

 Stormcorporal.pngSerpentcorporal.pngFlamecorporal.png

 

 6

25000

5000 

총사령부 토벌수첩 1단계

완료해야 다음 단계로 진급 가능  

 5

30000

6000 

 

 

 4

35000

7000 

 

 

 3

40000 

8000

총사령부 퀘스트 완료해야

다음 단계로 진급 가능 

 Chiefstormsergeant.pngChiefserpentsergeant.pngChiefflamesergeant.png

 

 2

45000

9000 

 총사령부 퀘스트 완료

총사령부 토벌수첩 2단계 

완료해야 다음 단계로 진급 가능

 Secondstormlieutenant.pngSecondserpentlieutenant.pngSecondflamelieutenant.png

 

 1

50000

10000 

 

 

 총사령부를 바꾸려면 소위계급 이상이 되야한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바꾸면 물론 계급이랑 군표는 초기화됩니다

 바꾸고나서 다시 바꾸려면 한달정도 쿨타임도 있다고 합니다


혼자보기 아까워서 퍼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