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공식 미정리에서 crafting optimizer의 추측과는 달리, 레시피 레벨 변화에 따른 작업/품질 증가량은 서로 연결되는 것이 있다고 저는 추측했는데요.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작업 숙련도/가공 숙련도를 고정한 상태에서 레시피 레벨에 따른 작업 증가량, 품질 증가량을 조사했습니다. 고정된 변수는 캐릭터 레벨 60, 작업 숙련도 915, 가공 숙련도 871입니다. 작업 쪽은 따로 설명할 이름은 없고, 가공 쪽은 장고 - 장족의 발전 + 고급 가공으로 효율 300%, 고장고 - 고급 상태 + 장족의 발전 + 고급 가공으로 효율 450%, 최고급 상태 - 장족의 발전 - 고급 가공으로 효율 1200%입니다. 레시피 레벨에서 ~1, ~2, ~3은 각각 1성, 2성, 3성이며, '1, '2는 인게임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실제로는 다른 레시피 레벨인 경우입니다(요구 작업량이 달라서 제작하기 전에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 굵은 수치는 위의 수치와 다른 경우이며, 50레벨 1성부터는 수치가 자주 변하므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정작 50레벨 2성이 50레벨 1성과 똑같긴 합니다만...).

레시피레벨 작업 모작1 모작2 중작 강작 장고 고장고 최장고
1 317 285 380 475 792 1107 1660 4428
2 317 285 380 475 792 1107 1660 4428
3 317 285 380 475 792 1107 1660 4428
4 317 285 380 475 792 1107 1660 4428
5 316 284 379 474 790 1105 1658 4422
6 316 284 379 474 790 1105 1658 4422
7 316 284 379 474 790 1105 1658 4422
8 316 284 379 474 790 1105 1657 4420
9 316 284 379 474 790 1105 1657 4420
10 316 284 379 474 790 1105 1657 4420
11 315 284 378 473 789 1104 1657 4418
12 315 284 378 473 789 1104 1657 4418
13 315 284 378 473 789 1104 1657 4418
14 315 284 378 473 789 1104 1657 4418
15 315 284 378 473 789 1104 1657 4418
16 315 283 378 473 788 1104 1656 4416
17 315 283 378 473 788 1104 1656 4416
18 315 283 378 473 788 1104 1656 4416
19 315 283 378 472 788 1103 1655 4415
20 314 283 377 472 787 1103 1654 4412
21 314 283 377 472 787 1103 1654 4412
22 314 283 377 472 787 1103 1654 4412
23 314 283 377 472 786 1102 1654 4411
24 314 283 - 472 786 1102 1654 -
25 - - - - - - - -
26 314 283 377 472 786 1102 1654 4411
27 314 283 377 472 786 1102 1654 4411
28 314 283 377 471 786 1102 1653 4410
29 - - - - - - - -
30 314 283 377 471 786 1102 1653 4410
31 314 282 376 471 785 1101 1652 4406
32 - - - - - - - -
33 314 282 376 471 785 1101 1652 4406
34 313 282 376 470 784 1101 1651 4405
35 313 - - 470 - 1101 1651 -
36 313 282 376 470 784 1101 1651 4405
37 - - - - - - - -
38 313 282 376 470 784 1101 1651 4405
39 - - - 470 784 1100 1651 4403
40 - - - - 784 1100 - -
41 313 282 376 470 784 1100 1651 4403
42 313 281 375 469 782 1100 1650 4400
43 313 281 375 469 782 1100 1650 4400
44 - - - - - - - -
45 - - - - - - - -
46 313 281 375 469 782 1100 1650 4400
47 312 281 375 469 782 1099 1649 4398
48 312 281 375 469 782 1099 1649 4398
49 312 281 375 469 782 1099 1649 4398
50 312 281 374 468 780 1098 1648 4394
50~1 307 277 369 461 769 1073 1610 4293
50~2 307 277 369 461 769 1073 1610 4293
50~3 305 275 367 458 764 1068 1602 4273
50~4 304 273 364 456 760 1065 1597 4260
51'1 303 273 364 455 759 1063 1594 4252
51'2 303 272 363 454 757 1061 1591 4244
52 302 272 363 454 756 1059 1589 4237
53 302 271 362 453 755 1057 1586 4230
54 295 266 355 443 739 1056 1584 4225
55 287 258 345 431 718 1055 1583 4221
56 275 247 330 412 687 1054 1581 4217
57 262 236 315 394 657 1053 1579 4212
58 250 225 300 375 626 1052 1578 4208
59 220 198 264 330 550 1050 1576 4203
60 200 180 240 300 500 1050 1575 4201
60~1 109 98 131 164 274 785 1177 3140
60~2 108 97 130 163 271 777 1165 3108
60~3'1 107 96 128 160 267 770 1156 3083

우선 이 표는 3부분으로 나눠서 봐야 합니다. 레시피 레벨이 캐릭터 레벨보다 높은 영역을 우선 따로 봐야 하고, 60레벨부터 작업량은 많이 변하는데 품질량은 약간씩 변하는 영역, 그리고 작업이든 품질이든 약간씩 변하는 영역입니다. 2번째 영역과 3번째 영역을 정확히 어디서 갈라야 하는지는 분석을 해봐야 알겠지만 일단 50레벨 이하는 3번째 영역인 것은 확실합니다.

3번째 영역을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점은, 최장고의 경우 효율을 1200%이기 때문에 레벨별로 차이가 크게 나는 경우가 있으면서도, 차이가 0인 부분도 있으며, 0인 구간이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1-1. 레시피 레벨마다 계수가 있는 것이 아니라, 레시피 레벨 구간 별로 계수가 있거나
1-2. 레시피 레벨과 이로 인한 계수간 방정식은 있지만, 작업이나 품질에 영향을 주기 전에 소수점 처리를 하거나

등으로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1-2라고 해도 실질적으로는 1-1과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구간 책정을 인위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1-2일 가능성을 전보다 높게 되었는데 이는 19레벨 때문입니다. 혼자서 구간 하나를 먹고 있는데 그럴만한 이유가 전혀 없죠...

그 다음 눈에 들어오는 점은, 가공에서 다른 효율이든, 아니면 작업 쪽이든, 최장고가 변할 때만 다른 값이 변할 수 있고, 최장고가 안변할 때는 안변한다는 점입니다. 우선 가공의 경우 (300%가 변하면 1200%는 무조건 변하니까 논외)

2-1. 역시 레시피 레벨별이 아닌, 구간별 계수가 있거나
2-2. 단지 최장고의 효율이 너무 높아서, 450%의 변화가 우연히 1200%의 변화와 함께 한 것이거나

가 될 것이고, 작업의 경우

3-1. 이 레시피 레벨 구간별 계수는 작업/가공이 따로 적용되는게 아니라 같이 적용되거나
3-2. 역시 최장고의 효율이 너무 높아서, 그 잦은 변화에 우연히 함께 한 것이거나

가 되겠죠. 2-2이 아닌가는 최고급-장족-중급 가공으로 1000%를 조사해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지만, 3-2의 경우 작업 중 정격 효율이 250%보다 높은 것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예 다른 작업 숙련도, 이왕이면 더 높은 숙련도에서도 같은 구간별로 변하는지를 조사하는 식으로 확인해야겠죠.

처음 추측으로 돌아가서, 1-50레벨 영역에서 품질 증가 비율을 작업 증가 비율에 대비해보면, 스프레드시트 갓님이 뽑아주신 추세식은 y= 2.94505x-1.5148으로, 1차 방정식으로도 근사한 결과가 나옵니다.

다만 x 앞의 계수가 1이 나왔으면 딱 좋았을텐데 앞으로 어떻게 더듬이를 뻗을지 고민을 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