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5레벨 장비에 마테를 채워서 일반 채집이나 밑재료 준비를 하면서 결속도를 올리는 일을 자주 한다. 그런데 주장비/보조장비가 루미스가 되면서 작숙/가숙은 만들기 위한 스펙이 차고도 남는 상황에서도 간이 제작은 곧잘 실패가 뜨는 걸 볼 수 있었다. 간이 제작 성공률은 어떻게 적용되는 것일까.

1. 정확하게 실험한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템레벨 150대 주장비/보조장비를 낀 상태와 비교해서, 루미스를 꼈을 때 별 차이가 없었던 것 같다. 따라서, 작숙/가숙의 실제 값은 영향이 별로 없을 것이다.

2. 왼쪽 방어구는 전부 결속작용 착용렙 55레벨 방어구들인 상태에서, 오른쪽을 결속도+가 되는 장신구로 싹 바꿨을 때, 실패가 확연하게 보였었다. 기존과 가장 크게 차이 나는 부분은 템레벨이였고, 이것을 실험해보기로 한다.

3. 원래 하던 것과 비슷한 환경, 즉 50대 후반~60의 밑재료를 테스트하려고 했으나, 루미스 모래가 싸다는 것에 착안해서, 루미스 모래와 녹나무 원목을 대량 구매하고 이것으로 실험하기로 했다. 그러나 2성 제작은, 커트라인이 높아서 장비 제한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후 변인 통제에 있어서, 즉흥적으로 시도했고 결과적으로 완전히 실패했다.

4. 첫번째 실험, 주장비/보조장비는 템레벨 150, 140 HQ, 다른 모든 부위는 갈론드 제작 세트로, 평균 아이템 레벨 183, 작숙 829, 가숙 883(음식포함)으로 루미스라이트 덩어리 99개를 간이 제작했다. HQ 1개, NQ 96개, 실패 2회.

5. 두번째 실험. 왼쪽 방어구 6피스를 템렙 100, 90, 주장비/보조장비를 포함한 다른 부위는 모두 갈론드 제작 세트로, 평균 아이템 레벨 148, 작숙 829, 가숙 710(음식포함)으로 루미스라이트 덩어리 99개를 간이 제작했다. HQ 2개, NQ 92개, 실패 5회.

6. 세번째 실험. 템레벨 차이에 비해 실패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아서, 템레벨을 크게 떨어뜨려보기로 한다. 아예 장비를 다 벗기고, 2성 제작을 위한 가숙을 겨우 채울 정도로 장비를 6피스만 입혔다. 평균 아이템 레벨 85, 작숙 945, 가숙 696(음식포함). NQ 79개, 실패 20회.

7. 네번째 실험. 세번째에서 갈란드 1부위를 탄소 2부위로 바꾸고, 비어있던 오른쪽의 장신구 5피스를 전부 전투용으로 템레벨만 뻥튀겼다. 평균 아이템 레벨 181, 작숙 919, 가숙 698(음식포함). 녹나무 목재 59회 시도 NQ 51개, 실패 8회. 루미스 덩어리 40회 시도 NQ 29개, 실패 11회. 두 값을 같은 조건으로 볼 수 있다면 총 99회시도 NQ 80개, 실패 19회.

8. 6&7로 볼 때 비어있던 장신구 자리를 전투 장신구로 채우는 것은, 즉 템레벨 자체로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ps. 사실은 더 한 뒤에 글을 써야 하지만, 점검이 너무 길면 이런 뻘글을 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