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잡설
창천에서 대담한 선별은 손상도를 15나 소모하는 페널티가 큰 선별입니다. 그래서 창천에서는 거의 잊혀진 기술이였고, 소장가치 240일 때의 용례 정도만 알려져 있습니다(http://www.inven.co.kr/board/ff14/4467/6338). 그러나 홍련에서 손상도 상승이 15에서 10으로 좋아져서, 다른 선별과 혼용하는데 무리가 없어지게 됩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례를 알아보기에 앞서, 이 글에서는 대담한 선별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 내부 작동 방식 역시 홍련이 되면서 바뀔 수도 있습니다. 다만 만, 대담한 선별은 분석에 품이 꽤 들기 때문에, 패치 이후에는 실험할 시간이 안날 것 같으니 지금 하고 유지되길 기도하는 것이지요. :)

1. 선별로 얻는 희귀도 상승 일반론
감별력에 따른 기본값은 신중한 선별로 알 수 있는데, 창천 기준 최소 80에서 최대 120의 값을 가지는데, 범위 내 정수는 41개이지만 그 중 21개의 정수로만 나옵니다. 그리고 이 값을 기준으로 선별의 배율이 곱해지고, 선별값을 1.5배해주는 심미안의 효과가 있다면 적용된 다음 소수점처리를 거쳐서 희귀도가 상승합니다.

2. 대담한 선별의 게임 내 설명
대담한 선별의 게임 내 설명에 따르면, 소장품 서브퀘스트를 완료한, 원예가나 광부가 51레벨이 될 때(혹은 그 역일 때) 자동으로 얻는 기술로, 감별력에 따른 기본값(신중한 선별을 사용했을 때의 희귀도 상승값)의 0.8 ~1.5(무작위)만큼 희귀도를 상승시키며, 이에 따른 비용으로 손상도 상승 15, 채집 횟수 1회를 소비한다고 합니다. 채집 횟수 1회의 비용은 다른 선별과 동일하고, 손상도 상승은 다르지만 홍련에서 같아지므로, 이 글에서는 0.8~1.5(무작위)에 대해서만 다룹니다. 배율이 범위라는 얘기만 보면 범위 내의 모든 수가 나올 수 있다는 것처럼 보입니다. 정말 그러할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열심히 도끼질을 해보았습니다.

3. 실제 측정 결과
신중한 선별 기준으로 115인 경우, 그리고 거기에 심미안을 더한 경우, 각각의 범위는 115는 92~172.5, 115*1.5를 172라고 한다면 137.6~258, 172.5라고 한다면 138~258.75가 됩니다. 115라면 81개의 정수, 115*1.5라면 121개의 정수가 그 범위에 속하죠. 그러나 실제로 조사해본 결과 각각 70개의 정수값만 나왔습니다.

115의 경우 그 값은,
92, 93, 94, 95, 96, 97, 98,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8, 109, 110, 111, 112, 113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1, 132, 133, 134, 135, 136
138, 139, 1410, 141, 142, 143, 144,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4, 155, 156, 157, 158, 159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9, 170, 171

115*1.5의 경우
138, 139, 141, 143, 144, 146, 148, 150, 151, 153, 155, 156, 158, 160, 162, 163, 165, 167, 169, 170
172, 174, 175, 177, 179, 181, 182, 184, 186, 188, 189, 191, 193, 194, 196, 198, 200, 201, 203, 205
207, 208, 210, 212, 213, 215, 217, 219, 220, 222, 224, 225, 227, 229, 231, 232, 234, 236, 238, 239
241, 243, 244, 246, 248, 250, 251, 253, 255, 257

4. 배율 추정
측정값을 바탕으로 배율을 추측해본 결과, 0.8부터 1.49까지 0.01 단위로 50개의 배율로 보입니다. 즉, 1.5배는 실제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심미안의 경우 기본값에 배율을 곱하고 심미안을 곱한 이후에 소수점 처리를 하는 것 같구요.

5. 이후 보완 예정
우선 겉보기로는 50개 내에서는 동등한 확률을 가진 것 같아보이긴 합니다만 정말 그렇다고 할 수 있는지 검증을 해볼려고 생각은 해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통계학 책을 오랜만에 다시 봐야 하니 홍련 전에 될지 모르겠구요.
또한 소수점 처리, 그리고 통계적 검증이 아닌 다른 확률 추측 방법으로, 신중한 선별 80, 그리고 심미안이 적용된 경우에 대한 실험도 하고 있습니다. 80을 기준으로 할 경우 범위는 64~120으로 정수가 57개, 120을 뺀다면 56개만 존재합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배율이 같은 결과값으로 나오는 값 14개의 빈도수가 높게 나올 것으로 추측합니다(1). 그리고 심미안을 적용하는 경우 96~180으로 다시 70개를 넘는 범위가 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70개가 아니라 80과 같이 56개만 나온다면(2), 그리고 빈도의 분포 방식까지 80과 같다면(1) 더할 나위 없겠죠.(자기 전에 덧붙혔더니 말도 안되는 소리를 썼네요. 기본값은 정수로 정해지고 그 뒤로는 다 곱한 다음에 소수점 처리를 하는데 이렇게 될리가...)

6. 홍련 이후...
홍련 채집 스탯 조사를 일단 끝내고, 소장품 채집에 대한 글을 쓰기 전에 대담한 선별 값이나 좀 더 모아야지 하고 두들기다가, 심미안 80 기준 125라는, 현재 방법론으로는 불가능한 값이 나왔습니다. 심미안이 없다고 한다면 1.5배 밖이고, 심미안이 있는 경우 120의 1.04배는 124가 되고, 1.05배는 126이므로 125는 나올 수가 없는 값입니다. 

이러한 값이 그나마 80이나 115, 그리고 심미안 115에서 나왔으면, 창천 때 나올 수 없었는데 홍련에서 나오는 것을 보니 대담한 선별 작동 기제가 바뀌었나보다 하겠는데, 하필 조사를 덜 해둔 심미안 80이라... 바뀐 것인지 아니면 제가 소수점 처리 등에서 제대로 못한 부분이 있는 것인지를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