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바꿧습니다. 항상 수정중이니 일침 자주 날려주세요!

 

 

미리쓰지만 저는 고티어도, 히오스의 엄청나게 오래해온 하드 유저도 아닙니다.

최근에 옵치이벤트를 통해서 히오스를 처음으로 제대로 해보게됬고

정말 이 게임이 재미있고 매력적이다라는것을 느끼고 요즘 굉장히 많은 시간을

히오스에서 보내고있습니다.

인공지능 > 빠른대전 > 일반전 > 영웅리그 > 팀리그를 거치고

현재는 팀리그를 정말 많이 즐기고 있으며,

혼자 게임하는것을 안좋아해서, 보통 5인 팀리팟을 만들고

그래도 이겨보고자 게임을 열심히하는 유저입니다.

 

이 글(팁)은 게임들어가기 전에 (특히 팀리,혹은 영리)

본인이 히린이지만 지원가를 거의 대부분하면서 느낀점,

혹은 제가 주로하는 실수, 등등을 기억하고 

게임이 잡히기 전에 한번 읽고 시작하자는 취지로 적는 팁입니다.

 

[나는 매일 얽어도 한번더 읽자!!]

 

고티어분들은 그냥 넘어가셔도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혹시나 제가 모르거나, 이것도 중요합니다! 라고 하는부분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

배우는걸 좋아하고, 습득하고, 또 활용하려고 하는 유저라서

일침, 혹은 추가팁같은게 있으면 정말 도움이 많이됩니다 :)

 

 

 

1.지원가는 서포트하고 케어하는 영웅이다. 지원가의 역할을 잊지 말자.

 

정말 제가 자주 잊어먹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나 특정 영웅 (우서, 말퓨, 레가르) 같은 영웅을 픽하게 되었을때는

[천폭, 황꿈, 늑폼]등을 다수 적중하기위해서 앞에서 나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판을 말아먹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적어두게 됬습니다.

판을 만드는것도 어떻게보면 게임의 재미가 되겟지만 (명장면만들기)

기본적인 역할은 아군을 보호하고, 케어하면서 한타(싸움)의 유지력을 늘리기위한게 가장 주된다는점.

천폭과 황꿈을 다수를 적중시키면 좋은거긴하지만

그만큼 앞으로나가면 지원가가 짤릴 위험성이 커지고, 지원가가 짤리게되면

한타의 아군 유지력이 대폭 감소해서, 스킬을 다수 적중시켜도 한타를 질수는 있다는 점을 명심하기위해서 적어둡니다.

 

특히나 레가르같은 경우 늑폼이 굉장히 강한거같고, 앞에서 싸워도 될것같은 포스로 생겼지만

레가르가 앞으로 나가서 전사(탱커)와 함께 딜을하려고 하는순간

아군의 딜러들이 짤릴 위험성이 커지고, 레가르의 선치(궁)를 쓰지도 못하고 레가르가 죽는경우도 생기기때문에

항상 아군의 딜러들을 물러들어오는 상대방 앞라인(탱커,혹은 근딜러)을 함께 아군 딜러와 케어하면서

늑폼으로 딜을넣고 유지력싸움을 이어간다는 개념을 잊으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지원가는 킬캐치를 하는 영웅이아니라, 말그대로 지원을 하는 영웅으로 만들어진 영웅이 대다수고,

힐유지력싸움에서 지원가가 짤리는 순간 유리한 한타가 뒤집어질수도 있다는점을 잊으면 안될거 같습니다.

 

 +추가사항

그렇다고 너무 사리는것만 생각하진 말것. 들어갈때와 사려야할때를 잘 판단해야하는걸 잊지말자!★

 

 

 

2.질리더라도, 이것저것 내맘대로의 픽은 자제하자

 

5인 팀리를 즐기는 저로써, 특정 영웅들이 조금 지겨워 질때도 있습니다.

특히나 말퓨리온은 게임당시에는 재미있지만, 그다음 게임이 잡혔을때는 다른걸 해볼까?라는 생각을 하고

이것저것 고민해볼때가 많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원가도 실제로 영웅이 엄청나게 많은건 아니고, 지원가 중에서도 역할이 나뉘어지는 영웅들이있어서

실제로 힐을 넣고 지원하면서 케어하는 역할은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까먹지 않기위해서 즐겨찾기로 영웅을 등록햇지만,  게임들어가기 전에 한번더 정리를위해서

영웅별로 정리를 해봤습니다.(주관적인 제 생각+다른 팀리하시던분들과 손을 맞추는데 있어서 참고하고자 정리합니다.)

정답도 아니고 제가 플레이하면서 느낀부분+제가 활용하는 법을 중심으로 정리한거니

아래 ㄱ,ㄴ,ㄷ 으로 정리한부분은 편하게 읽어보시고 그냥 넘어가셔도 좋을 부분인거 같습니다.

 

테사다르는 버프가됫지만 아직도 개인적으로는 섭딜러 역할이 더 중점이되는거같아서 제외했습니다.

티란데는 그냥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영웅이고, 많이 썻기 때문에 추가 했습니다.

 

ㄱ. 케어가 80%이상 중심이 되는 영웅[스킬구성도 케어가 대부분인 영웅]

     아우리엘 / 빛나래 / 모랄레스중위 / 천보 찍은 우서 / 선치찍은 레가르 /  신성장법 카라짐

 

ㄴ. 케어+궁의 활용도가 중요한 영웅[스킬구성에 케어용 스킬도있지만, 한타에 스킬활용도가 중요한영웅]

     천폭 찍은 우서 / 말퓨리온 / 루시우 /

 

ㄷ. 케어 50% 딜 50%의 영웅[스킬에 분명 케어가있지만, 전장에서 딜러처럼 움직이고,활용하는 영웅]

     리리(리리가 케어보다는 실명활용도가 더 크다고하시네요.실명활용영웅!) / 티란데 / 카라짐 /

 

이중에서 1픽으로 꼽아도 되고 팀원의 픽컨셉

혹은 상대방의 픽컨셉에 무난하게 대응하기 좋은 픽인 [말퓨리온]을 제외하고는

굳이 힐러를 1픽으로 뽑을 필요는 없다고 팀리그에서 많이 느꼇습니다.

 

무난하게 3가지 분류로 나누엇지만

영웅별로 장점및 단점이 많기때문에 상대방의 픽을보고, 어떻게 영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까를

팀원들과 상의해보고 결정하면 좋을거같아서 좀 보기 편하게 나누어봤습니다.

 

이기기위해서 게임을한다면, 영웅을 활용할줄 알아야하고 또 팀과의 시너지를 항상 생각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단순히 이 영웅을 하고싶다! 라는생각이 강하면, 개인빠대 돌리는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고

혹은 팀원과 미리 상의해서 [이번판은 이 영웅을 하고싶습니다]라고 어필을하고

팀원에게도 조합을 맞출 시간을 주고, 팀리를 돌리는것이 가장 좋으니

 

항상 내맘대로의 꼴픽보다는, 상의하고, 준비하고 팀원과 함께 즐길 게임을 준비합시다.

(또한 팀리나 영리는, 맵이 먼저 선공개되므로, 맵에 잘 활용할수 있는 영웅도 상의 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 딜량과 힐량,누가 많이 죽엇는지에 대한것은 제일 중요한것이 아니다.

 

타게임이든 히오스든, 저는 개인적으로 [누가많이 죽엇는지]. [누가 딜을 많이 넣엇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블리자드의 오버워치에서도, [딜금] 보다는 조합과 팀원과의 시너지가 중요하듯이

이런부분은 그저 숫자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참고하자면 지원가의 입장에서 [우리팀의 메인딜러,딜을 잘 넣고있는 딜러가 누구인지]

정도의 파악정도를 하고 케어에 중심을 두기위해서 잠깐 체크하는것이지,

상대방보다 내가 힐을 더 잘 넣엇나, 내가 지원가인데 우리 딜러보다 내가 딜이 높다

이런것에 신경쓰지 말자는 취지에서 적게되었습니다.

 

히오스에서 체크해야될것은 [특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대방이 어떤 특성을 타고, 어떤식으로 영웅을 운영할건지

특히나 10렙 특성은 정말 중요하죠.

 

지원가입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히오스는 특성에 따라서 영웅이 딜러가될수도, 탱커가될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딜러같은경우에도, 발라만 놓고봤을때 q발라인지 w발라인지 평타발라인지가 나뉘고,

겐지도 용검겐지와 폭렬참겐지는 느낌부터가 틀리죠.

 

지원가 역시 이에 맞춰서 특성을 타야되는 순간이 온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우서를 픽했는데 상대 켈타스가 불사조가 아닌 불덩이 작렬을 찍엇을경우

제가 그걸 생각안하고 천폭을 찍었을때, 한타가 굉장히 많이 바뀌는걸 느꼇엇습니다.

 

이런걸 위해서 특성은 항상 체크를 해야되고. 10렙을 찍엇다고 바로 그냥 클릭해서 난 이거가야지 라는 선택보다는

정말 정석적인 궁특성을 찍는 특정 영웅이아니라면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타가 당장 벌어지는 상황이 아니라면, 카운터를 칠수 있도록 궁특성등을 활용합시다.

 

또한 단순히 내 특성을 찍는거 뿐만아니라

 

[상대방의 중요 특성이 있다면 아군에게 알려줍시다 채팅으로라도]

 

그레메인이 궁을 탄환을 찍엇는지, 늑폼을 찍엇는지.

자리야가 궁을 모으는걸 찍엇는지 뿌리는걸 찍엇는지.

켈타스가 불사조를 찍엇는지 불덩이 작렬을 찍엇는지

바리안이 거강인지 도발인지 쌍검인지 등등

 

알려주면 팀원들도 어떻게 상대를해야되나 한번더 생각하고 아군의 궁특성을 활용할수 있으니

특성창을 자주 체크하면서, 아군에게 정보를 제공하는것 역시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톡을 안하고있다면 핑으로라도 최소한의 대화를 해두자

 

항상 게임시작할때, 아군에게 핑에대해서 저는 채팅을 한번 해주는 편입니다.

내라인 백핑을 찍으면 내라인에 있던 영웅이 사라진거니 다른 라이너들이 조심해 주세요

라는것을 미리 말을 하고, 팀원들에게 알려주죠.

 

혹은 상대의 루트를 잠깐이라도 봤다면 위험표시 (alt+마우스왼쪽으로) 로 루트를

아군에게 알려주고, 지원이나 방어 핑등을 활용해서 팀원분들에게 도움이 필요한부분을 어필합시다.

 

지원가도 그렇고, 다른 포지션도 정말 다 똑같겟지만

정말 숙달된 게이머가 아니라면 온맵을 보고, 상황을 파악하고, 내 아군의 위치를파악하고

누가물렷는지확인하고 하는것은 거의 불가능이라 생각합니다.

 

흔히 그냥 3인 팀리를 돌리다보면

[왜 딜러물렷는데 안봐주세요 탱커님] [힐좀주세요 지원가님] 등등의 대화를 가끔 볼수 있는데

 

이런걸 최소화하고 팀원이 같이 게임을 잘하기위해서는 이런 핑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내가 백업을 간다 등등 히오스도 핑을 활용을 다양하게 할수있으니

 

미리 팀원에게 알려주고, 핑을 적극적으로 활용합시다.

 

 

5. 맵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자.

 

맵별로 게임을 이기는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부분이 히오스를 즐길수 있는 가장 큰 부분이기도 하다고 생각하구요.

맵별로 중요한 [이기는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정답은아니지만 알고가면 좋은것들이 굉장히 많죠.

 

특히나 팁게시판, 혹은 질문과답변게시판

그리고 지금은 게시판이 삭제됬지만 다시 질문과 답변게시판으로 질문들을 옮겨줄거라고 햇던

인벤에서 이벤트했던 히오스 히린이들과 고수들의 질문,답변 이벤트게시판

 

등등에서 정말 많은 정보를 얻고 배울수 있습니다.

 

특히 맵별로, 좋은 영웅들도 나뉘어져있고(영웅별로는 공략글에도 잘 정리되잇는 글들이 있습니다.)

 

캠프가 중요한맵이나, 캠프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등등에 대한 좋은 답변을

적어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정보를 얻고

[이런 운영법도있구나] 하는것을 느끼면서 게임을 하면

그래도 실력이 조금이라도 더 오르고, 팀원에게도 좋은 정보를 주는거같아서

이것도 적게되었습니다.

 

단순히 한타만이 위주가되고 오브젝트가 1~2개만 있는것이아니라

맵별로 다 특징이 있는 게임이니, 항상 명심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6. 좋은특성은 있지만 모든 공략특성이 [정답]은 아니다.

 

저도 항상 인벤의 공략특성글들을 항상 활용합니다.

영웅별로 [좋은특성트리]가 있고 승률이 높은것은 당연히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에만 너무 집착할 필요도 없다고 느낀것은

위에서도 한번 언급했지만, 영웅의 특성활용도에 따라서 영웅이 공격적,수비적으로 바뀔수도있고

공격방식이 다양해질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략글이 좋은점은 그 특성들을 대부분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그 특성들을 갔을때의 장점,단점들이

고수분들과 고티어분들이 정말 잘 설명한 글들이 많기때문에 이 부분을 참고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제가하는 지원가중에 아우리엘을 예로들자면

1렙특성부터 고렙특성까지, 상대에 따라서 ,아군에 따라서 특성을 찍고 활용하듯이

 

너무 공략글 위에만 있는

[특성 주력픽] 위주로만 보지 마시고 여유가 되면

 

특성에 따른 설명들, 혹은 특성트리를 갔을대 상대법들을 읽어보는게 굉장히 도움이 되는거같습니다.

 

더 시간적 여유가되신다면

영웅별로의 시너지 정리된부분이나, 상대하기 껄끄러운 영웅들을 대부분 고수분들 고티어분들이

정리해주신부분이 많으니 그부분 체크하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 팁게시판에도 정말 좋은 정보와 도움이 되는 정보가 많으니 항상 참고하고 또 참고하자!

 

---------------------------------------------------------------------------------------------------

 

 

일단 이점까지가 제가 생각하는 복습하기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계속 이글도 수정하고, 저도 게임들어가기전에 체크하고 들어갈부분입니다.

 

정답도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꼭 명심해야되는 부분이라고 느꼇기에

이렇게 정리하게됬네요.

 

혹여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 분이 계시다면 정말 다행이고

 

제가 잘못생각하거나 추가해서 도움이 됬으면 하는 팁들이 있으면 적어주시면

정말 좋을거같습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