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만약 sintolol이 4/4를 치고 물정을 소환했다면 어땠을까 싶어서 계산해봤습니다.

그럴 경우
Frozen 체력 22
3/2(물정)-빙결 2/2(까마귀)

3/6(물정)
Sintolol 체력 28

인 상태로 종료가 예정됩니다. 턴 종료시 프로즌에 탈진 1딜이 부여되므로

Frozen 체력 21
3/2(물정)-빙결 2/2(까마귀)

3/6(물정)
Sintolol 체력 28

2/2 까마귀로 상대 물정을 때린다면 물정에 영능이 강요 됩니다. 이럴 경우 프로즌 선수 물정은 3/2 신토롤 선수 물정은 3/3이므로 2/2 까마귀를 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수는 2/2 까마귀를 내고, 2/2는 본체, 3/6에 영능을 칩니다.

Frozen 체력 21
3/2(물정)-빙결 2/2(까마귀) 2/2(까마귀)

3/5(물정)
Sintolol 체력 26

인 상태로 종료가 예정됩니다. 턴 종료시 신트롤에게 탈진 3딜이 부여되므로


Frozen 체력 21
3/2(물정) 2/2(까마귀) 2/2(까마귀)

3/5(물정)
Sintolol 체력 23

일단 영능을 칠 수 있는 곳은 내 물정 or 상대 본체 뿐입니다. 
내 물정에 영능을 할 경우 3/4가 되므로 반드시 까마귀를 쳐야합니다. 이럴경우 3/2가 된 상태로 턴이 종료. 프로즌 선수는 2/2로 물정을 다시 또 때려서 3/2 물정을 남기므로 악수입니다.

따라서 영능은 상대 본체가 맞습니다. 그렇다면 3/5 물정이 할 수 있는 것은 상대 물정을 정리하느냐 상대 본체를 치냐입니다. 상대 본체를 칠 경우 2/2 까마귀 때문에 3/1이 되므로 상대 3/2 물정을 정리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Frozen 체력 23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 빙결
Sintolol 체력 26

인 상태로 종료가 예정됩니다. 턴 종료시 프로즌 선수에게 탈진 2딜이 부여되므로 

Frozen 체력 21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 빙결
Sintolol 체력 26

상대 물정은 다음턴까지 얼어있으므로 본체치는게 가장 좋습니다.

Frozen 체력 23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 빙결
Sintolol 체력 21

인 상태로 종료가 예정됩니다. 턴 종료시 신토롤선수에게 탈진 4딜이 부여 되므로

Frozen 체력 23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 빙결
Sintolol 체력 17

신토롤 선수는 상대 영능에 본체 밖에 칠 수 없습니다.


Frozen 체력 22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 빙결
Sintolol 체력 17

인 상태로 종료가 예정됩니다. 턴 종료시 프로즌 선수에게 탈진 3딜이 부여되므로

Frozen 체력 19
2/2(까마귀) 2/2(까마귀)

3/2(물정)
Sintolol 체력 17

물정을 정리하고 본체를 칠 경우

Frozen 체력 19
2/2(까마귀)

Sintolol 체력 17

딱 봐도 프로즌 선수의 승리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결국 프로즌 선수가 실수만 하지 않았다면 신토롤 선수가 최선의 수를 두었어도 졌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