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글에서 NAS의 효용성과 NAS에 최적화된 WD RED의 벤치마크 및 소개를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나스의 설치과정과 레이드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려합니다.



'WD RED 4TB + 시놀로지 NAS 최고의 조합'


NAS는 24시간 가동되는 장비로 일반 하드를 사용 시 안정성 문제로 일반 하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스토리지전문 기업 웨스턴디지털에서도 하드디스크의 등급을 구분하여, NAS용 하드디스크 제품을 따로 있는데요. 앞서 소개했던  웨스턴디지털의 RED 4TB는 24시간 작동하는 극한의 환경에 맞게 

설계된 NAS용 하드디스크입니다.



NAS를 구축하면 외부에서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고, 주요 데이터를 백업하는 등 끊임없이 

읽기/쓰기 과정이 진행되며, PC와 다르게 여러명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기도해서 

내구성과 안정성을 중점으로 만들어진 하드디스크입니다.



웨스턴디지털의 RED 4TB 2개와 시놀로지 DS418 NAS 사용하여 NAS를 구축해봤습니다.

시놀로지는 NAS 브랜드 중 독보적인 입지로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시놀로지 DS418 NAS 는 최대 4베이를 지원하여, 쿼드코어 프로세서(1.4Ghz)가 탑재된 제품으로

50만원 상당의 제품입니다.



하드디스크 베이 하나 하나 잠금 장치를 적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했으며, 캔싱턴 락을 지원하여

도난 방지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HDD는 각각의 베이에 장착한 후 세로로 NAS에 장착하여 

부드럽게 눌러주면 장착이됩니다.



2개의 랜포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USB 3.0포트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퍼포먼스급 공유기에도 USB 포트가 있고 USB 장착하여 여러개의 디바이스에서 

USB 메모리 안에 든  영화, 드라마 같은 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데, NAS에서도 가능합니다. 

물론, 대용량 HDD를 대신에 굳이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NAS 설치 및 기본 세팅


설치 과정이라고도 할 것없이, 전원연결 하고 랜포트를 공유기에 연결하고 부팅하면 됩니다.

부팅되는데 몇초의 시간이 소요되니 잠시 기다려줍니다.




공유기를 처음 설치 후 초기 세팅하는 것과 비슷하게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설치가 진행됩니다.

크롬을 실행 후 http://diskstation:5000 주소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NAS 이미지와 함께 화면이 뜹니다.




DSM 설치를 진행하면, NAS의 운영체제가 알아서 설치되기때문에 초보자도 간단히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클린 설치처럼 DSM 설치 시 하드디스크는 포맷되니, 

중요한 자료는 다른 하드에 백업해 둡니다.



관리자 계정을 설정하도록합니다. 공유기 설치는 정말 여러번해봤는데, 계정 설정하고 비번 설정은 공유기

설정과 비슷한 부분이 많이 보입니다. QuickConnect는 간단하고 빠르고 로그인할 수 있어서, 

간단하고 기억하기 쉽게 설정해 줍니다.




DSM 운영체제 설치까지 10분 안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화면을 보면 해상도 낮은 윈도우 화면도 비슷해서

사용하기가 편리합니다. 예전에 PMP 사용할 때 바탕화면을 보는 느낌이 드네요.




제어판에서 대부분 설정을 할 수 있는데, QuickConnect, 외부 엑서스 설정, 업데이트, 

백업 등이 가능합니다. 시놀로지 하이브리드 레이드를 선택하여 볼룸을 구성하였고, 

미디어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등 주요 어플을 설치하여 간단하게 NAS 구축을 마무리하였습니다.




■ 레이드구성


시놀로지 홈페이지 또는 가이드에 여러개의 HDD를 묶는 레이드 종류 및 설명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10여개 이상의 종류가 있는데, HDD 2개로 레이드를 구성한다면 실제로 쓸수 있는 레이드 종류는 

굉장히 한정적입니다. 몇가지 레이드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JBOD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단일 저장공간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1번, 2번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저장장치로 보이게하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 보편화된 방식이라고 봅니다.



출처- 시놀로지


RAID 1은 데이터 백업 중점을 두어 동일한 데이터를 백업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예를들어서 4테라 2개를 사용한다면, 실사용은 4TB 1개만 가능하고 

다른 1개는 백업용으로 사용하게됩니다.

소규모 사업장에서 보안과 데이터 안전을 위해서 사용하기 좋은 것 같습니다. 회사에서 

주요 데이터가 매일 몇시에 백업된다고 하는데, RAID 1를 사용하여 레이드를 구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RAID 0는 읽기/쓰기 속도 향상에 중점을 둔 방식으로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개의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여 단일 디스크에서 읽기/쓰기보다 빠르게 여러개 디스크에서 처리하게됩니다.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스트리밍, 파일 백업 등은 다음 리뷰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패키지 센터에서 문서 뷰어, 미디어 서버, 텍스트 편집기, 음악 플레이어, 캘린더 등 수십가지의

어플라케이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NAS에 영화, 드라마를 저장하여 테블릿과 스마트폰에서 

스트리밍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문서를 저장하여 외부에서 접속해서 자료를 업로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NAS용으로 출시한 WD RED 4TB를 활용하여 NAS를 다양하게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WDC 엠버서더 활동으로 HDD를 제공받았으며, NAS는 대여하여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