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제품 소개 >



















 이번에 사용 해 볼 제품은


 인텔 CPU하면 떠 오르는 기업~ (주)코잇 통해 출시 된  


 ADATA XPG SX6000 Lite M.2 2280 코잇 (256GB) 입니다.





 출시 된 용량은 128GB , 256GB , 512GB , 1TB이며 


 3D NAND TLC에 최신 리얼텍 RTS5763DL 컨트롤러가 탑재 된


 M.2 2280 폼팩터의 SSD 입니다.





 특징으로는


 NVMe 1.3 지원 / PCIe3.0x4 (32GT/s) / 읽기 최대 1,800MB/s / 쓰기 최대 900MB/s /


 SLC 캐싱 / 방열판(히트싱크) 제공 / 저렴한 가격 / 무상 보증 기간 3년 입니다.





 M.2 2280 NVMe SSD는 성능은 뛰어나지만


 높은 가격과 온도 , 호환성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사용 환경(웹서핑,게임,영화,음악)에서는


 SATA SSD에 비해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지금 부터


 ADATA XPG SX6000 Lite M.2 2280 코잇 (256GB)은 어떤지 살펴 보겠습니다.












(주) 코잇
http://www.coit.co.kr/





(주)코잇은  ADATA 외 인텔 , ASUS , ECS 등 여러 제조사의

CPU , 메인보드 , SSD , 메모리 등 다양한 제품을 유통합니다.










 < 2. 개봉 및 장착 >





 





 ADATA 코잇 정품 스티커가 붙여져 있으며


 각종 안전 검사와 제품 특징에 대해 간략하게 표기 되어 있습니다.


 3D NAND / NVMe 1.3 / SLC 캐싱 / HMB(Host Memory Buffer) / DIY 히트싱크(방열판)












 구성품은 ADATA XPG SX6000 Lite M.2 2280 SSD , 히트싱크(방열판)로 간단합니다.















 M.2 2280 규격에 3D낸드 TLC / RTS5763DL(리얼텍)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으며


 LDPC(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 오류 수정 기술을 지원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과 제품 수명 연장을 보장합니다.





 리얼텍 내장 사운드 , 랜 카드는 많이 사용해봤지만


 리얼텍 컨트롤러가 탑재 된 SSD는 처음 사용해 보는데


 성능과 안정성이 어떨지 기대됩니다.









 기본 제공되는 DIY 히트싱크(방열판)은 검은 색상에 얇은 메탈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히트싱크 사용하면 됩니다.









 효과적인 열 전도를 위해 3M 써멀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한번 붙으면 잘 떨이지지 않으니 방향과 위치 잘 보고 붙이세요.









 깔끔하게 부착이 되며


 검은 색상에 빨간색 XPG 로고가 잘 어우려져 멋집니다.






 - 장 착 -







 사용하는 메인보드에 M.2 소켓이 있는지 확인 후 있다면 그대로 장착하면 됩니다.


 M.2 소켓이 없는 메인보드를 사용 중이라면 PCIe 컨버터를 따로 구매해야 합니다.









 M.2 나사를 이용해 체결 하면됩니다. M.2 나사는 메인보드 구성품중 하나입니다.


 나사를 분실했다면 사용하는 메인보드 AS센터에 문의하거나 따로 구매해야합니다.









 메인보드 제품에 따라 M.2 소켓 개수와 위치별 PCIe 3.0 X2 / X4 가 다르니


 메인보드 제원 잘 확인하고 맞는 소켓에 장착해야 합니다.








 - 드라이브 활성 -





 처음부터 C: (메인)으로 사용한다면 상관없지만


 D: ~ (서브) 로 장착한다면 드라이브 활성을 해야줘야 합니다.


 


 SSD , HDD , M.2 SSD 첫 장착 사용한다면 모두 동일합니다.















 제어판 - 시스템 보안 - 파티션 및 포멧 들어가면


 MBR / GPT 설정 화면이 뜨며 2개중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최신 시스템에 윈도우 10이라서 GPT 선택했습니다.


 사용중 MBR / GPT 설정 변경 가능합니다.









 검은색으로 표기 된 부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새 단순 볼륨 선택 창이 뜨며 클릭하면 됩니다.






















 단일 파티션에 아무 드라이브로 해도 상관없기 때문에


 다음~~ 계속 누르다가 마침 눌렀습니다.


 (파티션 용량 / 드라이브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설정해도 됩니다.)









 비활성 되어 있는 디스크 (검은색)가 활성화 되면 사용하면 됩니다.










 < 3. 프로그램 >











 https://www.adata.com/kr/ss/software/


 SSD 프로그램 (TOOLBOX) ,아크로니스 트루이미지 다운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SD 프로그램 (TOOLBOX) -



















 ADATA XPG SX6000 Lite M.2 2280 SSD의


 정보 / 상태 점검 / 펌웨어 업데이트 / 시스템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 아크로니스 트루이미지 -










 아크로니스 트루이미지를 통해 기존 사용하던 저장장치 (HDD , SSD)의


 자료 백업 및 이미지 복사(마이그레이션 =운영 체제 +자료)를 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맞쳐서 다운로드하면 되며


 기존 다른 제조사의 SSD를 사용하고 있다면


 기존 SSD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도 됩니다.










 < 4. 성능 테스트 >



















 기존 사용하는 SATA SSD와 성능 비교 해 봤습니다.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HDD → SSD 교체 했을때 수준 만큼의 큰 체감은 안 되지만

 벤치 테스트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온도는 M.2 소켓 위치가 발열이 많이 발생하는 CPU , 그래픽카드 사이에


 막혀 있는 공간이다 보니 SATA SSD 보다는 온도가 높은 편입니다.





 최대 온도 70도~ 이상 아니라면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DRAM 리스 - SLC 캐싱 방식이지만


 가격 대비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게이밍 최적의 SSD 입니다.





 많은 양의 자료를 자주 복사 - 이동 등의 작업을 한다면


 DRAM 탑재 된 SSD를 구매하는걸 추천합니다.










 < 5. 사용 소감 >







 근 내부 휜히 보이는 케이스 , 알록달록 화려한 RGB 팬 ,


 깔끔하게 정리가 가능한 플랫케이블  , 모듈러 방식의 파워 등 


 감성적인 면을 강조하는 시스템 구성을 많이 합니다.








 ADATA XPG SX6000 Lite M.2 2280 는


 M.2 2280 소켓 방식이라 케이블이 필요 없어 내부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뛰어난 성능에 히트싱크 기본 제공으로 효과적인 발열 제어가 가능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되어서 부담없이 구매 가능합니다. 





 M.2(NVME)를 지원하는 최신 Intel , AMD 플랫폼의 데스크탑과 노트북에


 잘 어울리는 가성비 최고의 SSD라 생각됩니다. 











 그럼 이만 사용기를 마치겠습니다.














 [이 사용기는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주)코잇으로 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