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영상으로 편하게 보자!



안녕하세요. 오베르뉴 크로나입니다.
앞으로 9주간 웨스턴 디지털과 당사 제품을 홍보하고, 이번 신제품 WD Black SN750을 체험하면서, 여러분에게 제품 정보와 후기를 전달해드리게 되었습니다. 일회성으로 끝나는 테스트가 아닌, 매주 주요 미션과 함께하는 알찬 구성으로 리뷰를 진행할 테니 지켜봐 주시고, 궁금해하셨던 점 모두 해소하고 가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제품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WD BLACK 라인업의 NVMe 제품인 SN750입니다. 웨스턴 디지털은, 컬러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블랙은 하드디스크 판매 때부터 이어온 컬러 마케팅의 일환으로, 고성능과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을 나타내는 컬러입니다. 현재, NVMe 제품군에서는 Black SN750과 Blue SN500이 있으며, WD Black SN750은 NVMe 성능과 대용량, 전용 소프트웨어 지원 등 게이밍에 특화된 고성능 제품입니다. 순차적 읽기 속도가 최대 3,470MB/s로, SATA 방식의 SSD 속도에 비해 약 6배의 정도의 속도 차이를 보이며, 최대 2TB의 대용량까지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리뷰를 진행하겠습니다.


[본 리뷰는 WDC 앰버서더 4기 활동으로 제품을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스펙







  NVMe ™ 소개



사진 출처 : WD 블로그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2.5 인치의 SSD는, 사실 기존의 HDD 시스템들의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안된 제품으로, SATA/SAS 규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ATA 규격 인터페이스의 경우 한계가 있어, 고속 저장 매체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PCIe 규격을 사용하게 되는데, 초기의 PCIe 기반 SSD는 인터페이스의 표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모든 컴퓨터에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SSD를 고안하다 탄생한 NVMe 인터페이스는, CPU에 직접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미디어(NAND 및 영구 메모리)를 토대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고속 PCIe 레인을 기반으로 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PCIe Gen 3.0 링크의 경우, SATA 규격의 인터페이스보다 2배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낮은 지연율과 PCI 익스프레스 SSD의 병렬 계산 처리에 중점을 두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병렬처리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WD Black SN750도 NVMe 인터페이스의 제품으로, M.2 슬롯을 사용합니다. SN750의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M.2 슬롯에서 진행해야 정상적인 속도를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패키지



제품의 패키지 역시 블랙 색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제가 정말 사랑하는 컬러인데요. WD BLACK 글씨에는 빛이 반사되게끔 디자인한 게 포인트네요.




패키지 전면에는 Black SN750의 용량이 기재되어있으며, 정품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본 스티커가 부착된 제품만 A/S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패키지 뒷면에는 제품의 주요 특징이 기재되어있고, 우측에 실물크기의 SN750이 인쇄되어 있습니다. 또한, 패키지 중앙에는 제품의 시리얼 번호 및 기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창이 나있어서, 패키지를 개봉하지 않고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가 참 좋네요. SN750은 5년의 무상보증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또한, 제품의 개봉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 모두 봉인씰이 붙어있습니다. 구매 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언 박싱




구성품은, WD Black SN750 본체와, 워런티 가이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제품 외형



저는 최근에 시스템을 갈아서, 오늘에서야 M.2 폼팩터의 제품을 처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M.2 2280 제품의 경우, 가로 80mm, 세로 22mm의 아주 작은 크기로 제작되었습니다. M.2 폼팩터의 제품은, 별도의 케이블 연결 없이, M.2 슬롯에 바로 장착하는 방식으로, 앞부분에는 접촉 단자, 뒷부분에는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홈이 나있습니다. 참고로, M.2 폼팩터의 SSD는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제품과, NVMe를 사용하는 제품 2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보통 SATA 방식 제품의 경우, M Key와 B Key로 양쪽에 홈이 나있으며, 속도에서 많은 차이가 나기 때문에, SSD와 메인보드의 M.2 슬롯 모두 확인하셔야 합니다.




본체에 제품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WD Black SN750의 경우, 컨트롤러와 NAND 모두 한쪽에 설계되어 있어, 뒷면은 상대적으로 깨끗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은 장치에, 그것도 한 면에만 설계를 했음에도, 2TB까지 제품의 용량을 늘릴 수 있다니, 웨스턴 디지털의 기술력이 참으로 놀랍네요.




워런티 가이드.





  제품 내부




SN750에 붙어있는 스티커를 제거하면, 컨트롤러 및 NAND, 메모리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AND는 SanDisk의 05561 128G 메모리 2개(250G)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28nm에서 3개의 ARM CPU 코어에 의해 성능이 향상된 SanDisk 20-82-007011 자체 생산 컨트롤러가 적용되었습니다.





  장착




메인보드에 M.2 2280 방열판이 있는 경우, SN750을 장착한 뒤, 바로 방열판을 장착하시면 됩니다.




2280위치에 고정용 나사가 없는 경우, 다른 쪽에 결속되어있는 나사를 옮겨오거나, 메인보드 구성품에 나사가 있으니, 확인하여 결속합니다. 그 후 SN750을 장착하고, 방열판을 장착하면 됩니다.






  


  사용 준비



부팅전, 메인보드상에서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최초 사용 시, 디스크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관리를 통해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그 후, 원하는 드라이브 명과 문자로 볼륨을 설정하여 마무리합니다.





  주요 특징



CrystalDiskInfo 프로그램을 통해 제품을 확인한 모습입니다. NVMe SSD의 경우, 인터페이스와 전송 모드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SATA 방식의 SSD 대비, 읽기 속도의 경우 6배 이상의 속도 차이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HDD의 경우, 150MB/s 정도로 약 20배에 해당하는 속도입니다.




또한, WD Black SN750는 전용 소프트웨어[다운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대시보드를 통해, 게임 모드를 켜고 끌 수 있으며, 각종 모니터링 및 드라이브 관리가 가능합니다. WD SSD 대시보드는 Blue 제품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지만, 오로지 Black SN750 사용자만, 게임 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UI 디자인도 블랙 색상으로 자동 변경됩니다.





  후기



이번 시간에는, WD Black SN750의 개봉기와 사용 방법 및 대략적인 성능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제 SSD뿐만 아니라, M.2 SSD의 가격도 저렴해지고 있고, 인텔의 B 칩셋 보드와 같이 저렴한 보드에도 M.2 슬롯과 NVMe를 지원하게 되면서, 앞으로 NVMe SSD가 메인 저장 장치로, SATA 방식의 초 대용량의 HDD 또는 SSD가 보조 저장 장치로 사용될 것 같습니다. SN750의 경우, 일반 SSD 대비 6배의 속도 차이를 보이며, HDD와는 20배 이상의 커다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해당 제품을 통한 다양한 테스트와 성능 분석 및 활용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려 합니다. 특히, SN750은 게이머에 특화된 기능도 몇 가지 제공하고 있는데요, 그중 한 가지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WD SSD 대시보드가 있습니다. 대시보드 내의 게임 모드를 사용하면, 저장 장치가 유휴 상태에 들어가지 않고, 자료를 빠르게 불러오고 쓸 수 있도록 항시 대기시킬 수 있는 주요 기능입니다. 다음 시간도 기대해주세요~!





제품 다나와 링크 :


[본 리뷰는 WDC 앰버서더 4기 활동으로 제품을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WDC #웨스턴디지털 #SN750 #WD블랙 #BLACK #웬디 #NVMe #SSD #250GB #PCIe #초고속SSD #가장빠른SSD #고성능SSD #SSD설치 #NVMe설치 #NVMe속도 #SSD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