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지난번에 이어 WD Blakc SN750 SSD 250GB 모델의 벤치마크 결과값을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앞선 시간은 벤치마크 툴을 이용해 SN750의 성능 확인했다면 이번에는 게임 로딩 및 파일 복사, 압축등을 이용한 실사용 성능과 더불어 온도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지난글 바로가기

WD Blakc SN750 SSD 250GB 벤치마크 1부

http://www.inven.co.kr/board/it/2417/93093



1. 게임 로딩 속도 테스트



먼저 온라인 게임 및 패키지 게임의 로딩 속도를 테스트해보았습니다. 런쳐에서 클라이언트를 실행 했을때 게임이 실행되어 인트로 화면이 나타나기까지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였는데요. 세부 구간으로는 클라이언트 실행, 로그인 체크 및 안티치트 프로그램 구동, 게임 로딩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시간을 체크하였습니다. 별다른 런쳐 절차나 가드 프로그램 없이 바로 구동되는 위쳐3의 경우에는 바로 클라이언트가 구동되는 시간만 기록하였습니다.



런처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GTA5나 안티치트 프로그램이 먼저 구동 된 뒤에 게임이 시작되는 디비전2나 블레이드 앤 소울의 경우 구동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으나 이러한 별도의 과정 없이 바로 실행되는 위쳐3의 경우 아주 빠른 실행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NVMe / SSD(SATA3) 저장매체 간 큰 차이가 없기에 다양한 벤치마크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식이지만 프로그램의 실행은 CPU 및 메모리등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감안하고 수치를 참고해주셨으면 합니다.



2. SSD-Z 벤치



CPU-Z, GPU-Z과 계보를 같이하는 SSD 정보 확인 및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최신버전의 프로그램을 다운 받았음에도 아직 데이터 베이스에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것인지 WD Blakc SN750의 상세 정보가 표기되지 않는 점은 아쉬웠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와 같은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SN750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던것을 고려하면 SN750이 최근에 출시된 제품일 뿐더러 SSD-Z가 현재 베타 버전이기에 발생하는 문제인것으로 보입니다. 

출시된지 한참된 구형 SSD의 경우에는 정보 표기 및 벤치마크 결과도 모두 표기되었습니다.



정산적으로 테스트 결과가 표기된 항목들을 확인해 봤을때 다른 벤치마크 툴을 사용한 결과값, 스펙표에 표기된 표기값과 유사함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 파일 복사 및 이동 테스트


1GB, 5GB, 10GB 3종류로 용량을 구분하여 단일 파일 및 다중 파일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는 다른 드라이브에서의 이동, 동일 드라이브에서의 복사 두가지 방식으로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컨트롤러의 안정성과 쓰기 속도를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본래 작업 시간을 기록하려 하였으나 정확히 측정이 불가능하여 이부분은 제외하였습니다.



◆단일 파일 이동

평균 전송속도 : 450MB/s ~ 430MB/s 일정하게 유지


◆다중 파일 이동

평균 전송속도 : 450MB/s ~ 430MB/s 일정하게 유지


드라이브간 파일 이동 테스트에서는 용량이나 파일의 갯수에 관계없이 450M/s ~ 430M/s 수준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속도를 꾸준히 유지하였습니다. 이는 SATA3 형식의 구형 SSD에서 NVMe SSD로 데이터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일 파일 및 원본 파일이 저장된 구형 SSD의 느린 읽기 속도로 인한 병목현상이 발생한것이 원인으로 추측됩니다. 때문에 전송 시간도 용량별로 거의 동일하게 측정되었습니다.



◆단일 파일 복사

평균 전송속도 : 1,350MB/s 에서 점차 하락 후 370MB/s 유지


1GB의 테스트 파일의 경우, 전송 명령과 거의 동시에 전송이 완료 되어버릴 정도로 빠른속도로 작업이 이루어져 진행 내용을 측정하지 못하였습니다. 이외의 다른 5GB, 10GB 용량의 테스트 파일은 전송 시작과 동시에 최대 약1,350MB/s를 기록하며 이후 점차 속도가 느려기지 시작하여 최저 약 370MB/s 전후의 속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속도가 저하된 이후에는 큰 편차 없이 370MB/s 속도를 일정하게 기록하였습니다.


◆다중 파일 복사

평균 전송속도 : 850MB/s 에서 점차 하락 후 360MB/s 유지


단일 파일 복사 테스트에 비해서는 다소 느렸지만 여전히 최대 약 850M/s 수준의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으며, 1GB의 테스트 파일의 경우 마찬가지로 전송 명령 후 거의 바로 전송이 완료 되었습니다. 5GB, 10GB로 테스트 파일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송 속도가 하락하는 구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최저 약 360MB/s 전후 수준의 속도를 보여주었으며 이후에는 해당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4. 파일 압축 테스트


◆압축 풀기 소요시간 - 2분 34초


◆압축 하기 소요시간 - 36초


파일 압축에는 10GB의 고용량 파일을 단일 파일 및 다중 파일로 구분하여 테스트 하였습니다. 테스트에는 압축 프로그램 중 압축하기와 압축풀기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반디집을 사용하였습니다.

10GB의 테스트 파일을 압축 풀기에는 약 2분 34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압축 하기에는 약 36초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스토리지의 랜덤 읽기, 쓰기 성능이 압축 작업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만큼 SSD의 빠른 작업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4. 발열량


테스트에 사용한 WD Blakc SN750 SSD 모델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방열판이 없는 모델이지만 메인보에 M.2 소켓 방열판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기에 해당 히트싱크를 사용하여 방열판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2가지의 케이스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아이들 온도는 컴퓨터를 부팅 후 약 20분 정도 스토리지에 별다른 작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풀로드 온도는 스토리지에 가장큰 부하를 주는 나래온 더티 테스트를 3회 반복 실행 후 측정하였습니다. 실내온도는 별다른 냉난방을 하지 않은 상태로 약 20도 기준인 상황에서 측정하였으며 SSD의 온도는 M.2 소켓 위치와 주변 하드웨어간의 간섭 여부, 케이스 내부의 온도와 쿨링 시스템 수준 그리고 시스템이 위치해있는 장소의 온도등의 다양한 변수로 인해 제가 측정한 데이터와 상이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유휴 상태의 경우 방열판이 있을 때 39도, 없을 때는 50도로 각각 11도 정도의 온도차이를 기록하였으며, 최대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는 방열판이 있을 때 48도, 없을 때 64도로 16도 차이를 기록하였습니다. 곧 출시 예정인 EKWB에서 제작한 히트싱크를 장착하고 있는 SN750 모델의 경우 히트싱크를 장착하지 않은 모델에 비교해서 약 20도 정도의 온도차가 난다는 말씀을 WDC 앰버서더 발대식에서 질의 응답을 통해 확인했었는데 그 답변 내용과 유사한 측정 결과였습니다. 



5. 총평


WD Black SN750 250GB 제품을 다양하게 측정해본 결과 3GB 미만의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 속도는 제품의 표기 스펙을 상회하는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큰 용량의 파일을 테스트할 경우 HD Tune Pro의 그래프에서는 3200MB 구간 전후에서 급격하게 쓰기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나래온 더티 테스트에서도 순간 최대 속도는 2080MiB/s를 기록하였지만 약 1.5% 구간 이후에는 쓰기 속도가 480~470MiB/s 선을 유지하였습니다. 232.8GB의 1.5%는 약 3.4GB에 해당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테스트에서 3GB에서 4GB 사이 구간의 용량부터 쓰기 속도에 변화가 발생 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SN750 250GB 모델에 탑재된 SLC 캐시 버퍼의 허용범위가 3.4GB 정도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인 것으로 보입니다. 더욱 용량이 큰 제품의 경우 더욱 큰 SLC 캐시 버퍼의 허용범위로 해당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용량의 미디어 파일의 읽기 쓰기 작업등에서는 보다 쾌적한 사용을 위해 500GB 혹은 1TB 수준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지만 일반적인 실생활에서의 가벼운 사용이나 게이밍 환경등에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고성능 SSD를 체감하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뿐만아니라 250GB의 스토리지에 5TB를 상회하는 읽기, 쓰기 테스트를 진행하는 환경에서도 최저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제품에 사용된 3D 낸드와 컨트롤러의 품질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후에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다양한 게이밍 환경에서 WD Blakc SN750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본 게시글은 WDC SSD 앰버서더로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하드웨어를 지원 받아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