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일 브라켓 스테이지 GEN vs G2 경기를

1~4세트 밴픽 위주로 글을 작성했습니다.




1 SET 






1) G2 극단적인 스노우볼링 조합

 

캐리형 원딜을 선호하는 GEN의 아펠 선픽에

대응하기 위해 G2는 드레이븐을 내세운 바텀

중심의 스노우볼 조합을 준비했습니다.

드레이븐은 보조 룬으로 보물 사냥꾼까지

쓰며 바텀 중심의 초반 움직임을 암시합니다.

 

아리-바이를 보고 나온 리산드라는 GEN

노림수를 흘리며 양 사이드에 영향력을

끼치려는 의도였으며 브라움은 주도권과

변수 창출이 부족하지만, 인베이드와

CC기 연계에 강점이 있기에 이를 활용해

바텀에 다이브 압박을 주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내비친 픽이었습니다.

 

 

2) GEN 교전 중심의 상체 조합

 

GEN는 교전 능력이 최고라 평가받는 아리-바이를

포함한 상체 중심의 조합을 완성합니다.

바텀의 부족한 억제력을 레오나로 보완하며

초반 다이브를 받아내고, 탑에서

피오라 후픽을 통해 주도권을 채우며

전령 싸움에 우위를 가지고

사이드 운영으로 차이를 벌려야 합니다.

 

 

1세트 인게임 짧은 리뷰






선픽 유체화 다리우스는 초반 피오라를 압박

할 수는 있으나 솔킬을 내기는 어렵고

브라움 또한 그랩서폿과 달리 자체적으로 변수를

만들기 어려워 리산드라의 로밍이 필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리산드라의 발이 묶이면서 G2의 스노우볼은

초반 킬을 따냈음에도 멈추고 말았습니다.

 

미드 솔킬이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날 수 있었으나,

Chovy 선수는 이를 활용해 다른 라인에 영향을 끼칩니다.

탑에 빅 웨이브가 쌓여 다리우스 쪽으로

밀려가는 상황에서 아리는 딜교와 함께 미니언을

공격하며 라인 선푸쉬를 잡습니다.

 

이때, 리산드라는 탑의 미니언 빅웨이브를 체크하고

미해분과 스킬을 활용해 아리를 미드에 붙들며

로밍을 최대한 억제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나오지 못했고

아리의 탑 다이브로 연결됩니다.

 




수확의 낫 & 챔피언 밸류가 좋아 중후반 복구가

가능한 아펠과 달리 텔포가 없는 다리우스는

계속 손실 없이 성장해야 했는데,

미니언 빅웨이브를 먹지 못하고

데스를 기록하며 탑에 구멍이 뚫리게 됩니다.

 

스노우볼링을 통해 무조건 앞서나가야 했던 G2

라인 스왑을 통해 탑의 격차를 어떻게든 만회하려 했으나,

이 과정에서 되려 바텀의 격차마저 조금씩 줄어듭니다.

결국, 텔포 유무에 따른 교전 설계에서 차이가 발생했고

GEN가 승리를 굳히게 되었습니다.

 

 

2 SET





1) G2 상체 중심의 스노우볼링 조합

 

G22set에서 블루진영을 택하며

1set에 부족했던 후반 밸류를 보완하며

교전 능력이 탁월한 상체 중심의

스노우볼링 조합을 준비했습니다.


Hans Sama 선수는 이번 시즌 아펠을 한번도

써보지 않았기에 Peyz 선수의 아펠을 잘 대처 할 수

있는가가 밴픽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였습니다.

1set의 경우, 스노우볼링 조합을 통해

바텀 영향력을 억제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기에 2set에서는 모스트 3중 하나인

징크스를 픽하며 캐리력 맞대결을 선택했습니다.

 

G2는 쓰레쉬의 로밍으로 GEN의 정글과 미드에

영향력을 끼치며 비에고가 성장할 시간을 벌고

이후 전령 중심의 스노우볼링을 굴려야 합니다.

 

 

2) GEN 라인 주도권 중심의 스노우볼링 조합

 

GEN는 선픽으로 나온 케넨과 쓰레쉬를

상대로 블츠와 트리스타나로 카운터치며

주도권을 뺏고 역으로 스노우볼링을

굴리는 밴픽을 완성합니다.

 

GEN1티어 픽인 케넨과 애니를 풀며 이에

대한 대처로 탑 트타와 리산드라를 픽합니다.

탑을 제외하고는 무난한 밴픽을 완성했기에

챔피언 티어 및 상성 정리에도 활용하기

좋은 밴픽 전략이었다고 생각합니다.

 

GEN는 블츠가 쓰레쉬의 로밍을 억제하며

라인 주도권을 바탕으로 오브젝트

스노우볼링을 굴려야 합니다.

 

 

2세트 인게임 짧은 리뷰





G2는 비에고의 성장을 바탕으로 상체 중심의

교전을 설계해야 했으나, GEN의 바텀이

연이어 솔킬을 내며 카운터픽의 면모를 발휘합니다.

비에고의 움직임은 상체 위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고 이를 트타가 계속 확인하며 갱킹을 흘려

G2의 승리 플랜은 망가지고 맙니다.

 

 

3 SET





1) G2 라인 주도권 중심의 밸런스 조합

 

G2는 바텀 패배를 위주로 피드백하며 캐리력

맞대결보다는 바텀의 주도권을 확실히 챙기려 합니다.

아펠 밴, 자야 선픽에 이어 성장 대신 갱킹 템포가 빠른

뽀삐를 정글챔으로 픽하며 주도권을 활용해

킬 압박으로 연결하려 합니다.

 

후반 밸류도 높은 G2의 조합이었기 때문에

G2는 니달리 중심의 GEN의 움직임을 최대한

회피하며 성장할 시간을 벌어야 합니다.

 

 

2) GEN 정글-미드 교전 능력 중심의 스노우볼링 조합

 

GEN는 니달리와 크산테를 빠르게 선픽하며

니달리를 중심으로 스노우볼링을 굴리려 합니다.

GEN는 라인 주도권과 밸류가 부족한 대신

CC기가 충분한 만큼 교전을 통해 킬을 내고

또한, 오브젝트 위주의 스노우볼링이 필요합니다.

 

 

3세트 인게임 짧은 리뷰





일방적으로 스노우볼링을 굴려야 했지만

GEN는 크산테의 교전능력이 발휘되지 못했고

데스를 당하며 애니에게 밀리기 시작합니다.

여기에 2용을 앞둔 한타에서 패배하며

G2에게 성장할 시간을 줬습니다.

 





비록 골드는 GEN가 리드하고 있었지만, G2

오브젝트와 킬에서 앞서나가며 시간이 부족한

GEN를 조급하게 만듭니다. 결국, 급한 마음에

무리한 움직임이 나왔고 데스와 함께 바론을

내주며 게임은 G2에게 넘어갑니다.

 

 


4 SET




1) GEN 정글-미드 교전 능력 중심의 밸런스 조합

 

GEN는 앞선 경기보다 정글-미드에 힘을

더 실어주는 한편, 부족했던 바텀의 밸류를

보완한 밴픽을 완성합니다.

 

GEN는 중반에 강점이 있는 조합으로

운영 면에서는 사이드 주도권이 있었고

한타에서는 징크스+룰루의 시너지라는

파괴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g2보다

상대적으로 라인 주도권이 부족했기에

라인이 말리지 않게 엘리스가 교전을 통해

각 라인을 풀어줘야 했습니다.

 

 

2) G2 라인 주도권 중심의 후반 밸류 조합

 

G2는 바텀과 탑의 라인 주도권을 바탕으로

아우솔의 성장 시간을 벌며 게임을 후반으로

이끌어야 합니다.

GEN의 정글-미드 교전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G2는 엘리스의 동선을 계속 체크하며

바텀과 탑에서 충분히 압박해서 상대의

스노우볼링을 억제해야 합니다.

 

 

4세트 인게임 짧은 리뷰





팽팽하던 경기는 중반이 되자, GEN

정글-미드의 힘을 활용해 승리 플랜이었던

사이드 압박을 시작합니다.

 

아우솔에게 사이드 푸쉬를 막을 힘이 없었기에

조급한 G2는 룰루의 귀환을 방해한 턴을 노려

아우솔을 성장시키기 위해 바론 앞 한타를 계획합니다.

 

G2의 예상대로 시야를 확보할 수단이 없던

GEN는 상체를 앞세워 시야를 뚫으려 합니다.

GEN의 딜러진이 케넨에게 노출되는 듯 보였으나

아우솔은 케넨에게 호응하기 어려운 위치였고

케넨은 룰루에게 마크 당하기 쉬웠습니다.


여기에 뽀삐가 궁을 쓰지 않는 등

바론 획득보다는 교전을 유도하려는

노골적인 의도를 보이자 크산테는 더욱

뒤를 신경 쓰며 케넨의 위치를 찾습니다.

 

G2는 강타 싸움 직전까지 유도하며 GEN

포지션을 흩트려놓은 후 케넨과 뽀삐가

진입을 해야 했지만, 신중히 접근했던

GENG2의 한타 설계에 흔들리지 않고

잘 대처했습니다.

 

결국, 한타는 G2의 딜러진이 갈리며 열렸고

포지션이 무너지며 대패하게 되었습니다.

 

난전에 강점을 보이는 G2지만 주요 한타

설계에서 부족한 점이 계속해서 드러났기에

이를 중점적으로 피드백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GEN의 경우 이번 경기를 통해 의미 있는

데이터를 획득했다고 생각하며 챔피언

티어 정리를 통해 좋은 밴픽을

보여줄 것이라 기대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마추어부터 시작해 프로 코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리뷰 글은 주 1~2회 올라옵니다.

 

* 시즌 11은 각각 미드, 원딜 위주로 마스터 티어 2개 달성

시즌 12는 서폿으로 마스터 300점 마무리

* 주요 장면은 LCK 유튜브에서 가져왔습니다~!

*이메일: kidbizu@naver.com

* 피드백, 댓글 감사드립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