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 및 스텟

무자본 분들은 덱스를 30~70으로 주시고 구하기 쉬운 백혈귀에 직접 작을 해서 쓰시고,

 

악세사리 같은걸로 부족한 덱스를 보충하시면 됩니다.

 

덱스를 낮게 잡는 이유가 [메이플 용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인데,

 

메용을 쓰지 않는 스트라이커는 덱스를 높게 잡고 힘템으로 보충해도 상관없습니다.

 

 

 

자본이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은 올힘으로 해주시고 되팔기 쉬운 64제나 77제 메이플 너클을 끼신후,

 

자투와 덱작템으로 장비를 맞추시면 됩니다.

 

 

 

 

 

1차 스킬
써머솔트 킥 20 - 라이트닝 10 - 대쉬 10 -  스트레이트 1 -  퀵모션 20
스트레이트와 퀵모션은 둘 다 버리는 스킬인데 어차피 안쓰면 패시브가 더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명중 공식이 바뀌었지만 아직도 명중 스텟의 효과는 존재해서 높은 레벨의 몹을 잡을때 좀 더 유리합니다.

 

취향에 따라서 퀵모션을 포기하고 스트레이트를 마스터하셔도 좋습니다.

 

 

 

2차 스킬
스크류 펀치 1 - 에너지 차지 20 - 스크류 펀치 20 - 라이트닝 차지 20 - 에너지 버스터 11 -

 

너클 마스터리 20 - 너클 부스터 20 - HP증가 10
2차의 주력스킬인 스크류펀치가 너클부스터를 써도 크게 차이가 없기 때문에 너클부스터를 뒤로 미뤘습니다.

 

에너지 버스터는 11개만으로도 충분히 효과가 나오기 때문에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스커가 인파이터보다 에너지차지가 빨리 충전되기 때문에 에너지 버스터의 사용빈도가 높아서 빨리 찍었습니다.

 

 

 

3차 스킬
샤크 웨이브 1 - 에너지 드레인 1 - 샤크 웨이브 30 - 트랜스 폼 20 - 크리티컬 펀치 15 -

 

스파크20 - 피스트15 - 윈드 부스터20 - 피스트20 - 에너지 드레인 20 - 쇼크웨이브6

초반에 에너지드레인에 1개가 있으면 물약 절약에 큰 도움이 되서 한 개를 먼저 찍었습니다.

선택사항이기에 찍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110때 바로 윈드부스터를 마스터할 스포를 모으기 위해 피스트는 중간에 15개만 찍고 멈췄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