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박고 시작합니다.






이 글은 리부트 / 투킬사냥 / 사냥:보스 10:0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진지하게 봐도 좋으니 이 점 염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Q&A


Q. 그러시는 이유가 있을 거 아니에요

A. 체질상 한 캐릭을 연속으로 하는 것보다는 여러 캐릭을 돌려가는 플레이를 좋아하는 스타일입니다. 처음엔 T-boy 뚝배기 둘둘 및 링크 3렙 대비용으로 키웠지만 어쩌다보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Q. 굳이 리부트에서 한 이유는?

A. 처음 메이플 시작한 목표가 앱솔 없이 스데 솔격이었기 때문에 일부러 리부트에서 시작했습니다. 또한 보스 파티격보다는 사냥터 버닝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리2에서 육성을 시작했습니다. 이후에 9000을 도전하게 된 것을 보면 후회 없는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Q. 10000까지 달릴 것인지?

A. 유니온 효과를 챙기기 위한 250 둘둘을 조금 생각하고 있긴 합니다.


Q. 왜 원킬 사냥을 안했는지?

A. 리부트 서버 특성상 원킬 스펙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적어도 17둘둘 및 코강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를 45직업 전체에 맞춰주기 위해서는 메소 및 코젬도 문제지만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투킬이 원킬이 된다고 사냥 효율이 2배가 되는 것도 아니므로 떨어진 사냥 효율만큼 더 오래 사냥을 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Q. 보스는 전혀 돌지 않는지?

A. 사냥 투킬 스펙으로는 카룻돌이는커녕 이시돌이로도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보스돌이에는 큰 관심이 없어 이는 완전히 배제하고 육성했습니다.


Q. 이 글을 봐야하는 이유는?

A. 제가 사냥하면서 경험한 것과 가장 유사한 환경은 버닝 서버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220까지 육성하는 이벤트가 보편화된 만큼, 모든 직업에 대해 5차 이후의 성능을 비교하는 글은 별로 없어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버닝섭이나 무자본 육성을 희망하는 유저들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하는지의 대략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Q. 사냥터는 어디로 갔는지?

A. 200 이전에는 주로 몬컬을 목적으로 비주류 사냥터를 선택했었습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루트를 따르고 있습니다.

1~30 직업 튜토리얼 or 블루 머쉬맘

30~65 골드비치 or 엘리넬 or 리에나 해협

65~80 하늘계단1

80~90 유랑단의 텐트

90~100 관계자 외 출입금지

100~110 하늘둥지3

111~120 삐뚤어진 시간

121~130 시련의 동굴1

131~145 검은 와이번의 둥지

145~150 2층 카페 <2>

150~170 2층 카페 <4>

170~180 시작되는 비극의 숲1

180~190 위험한 파이트클럽3

190~200 인적이 끊긴 남쪽령

200~205 풍화된 분노와 슬픔의 땅

205~210 동굴의 서쪽길2 or 숨겨진 연구열차

210~215 길쭉 동글숲2 or 몽땅 동글숲2

215~220 격류지대1 or 격류지대3

220~225 닭이 뛰노는 곳3


Q. 템세팅은 어떻게 했는지?

A.

6펜살 (모자/한벌옷/장갑/망토/신발/무기 12성)

응축 10성 아쿠아틱 8성 블라썸 10성 카혼목 12성 데아 12성 로얄숄더 12성

미스틱 벨트 10성 플래티넘링 12성 쥬얼 크래프트링 5성 딥다크링

리튬 하트 5성 영생의 돌을 라라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에 공통으로 착용했습니다.

위 템세팅으로 스타포스는 딱 180 나옵니다. 기타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스 선행 퀘스트 개편이 이루어졌으므로 미스틱 벨트, 쥬얼 크래프트링, 영생의 돌을 각각 골클벨, 이피아의 반지, 성배로 교체할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 모든 캐릭에 대해 교체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Q. 저 표는 어디서 쓸 수 있음?

A. https://www.inven.co.kr/board/maple/2304/28340


Q. 3카 5앱을 채용하지 않는 이유는?

A. 주간퀘를 45배로 하는 것은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에 포기했습니다.


Q. 펜살 추옵작은 했는지?

A. 여기까지 올 줄 알았으면 했을 텐데 어차피 6000 찍고 그만둘 바엔 그냥 사냥을 더 하고 말지라는 마음가짐으로 안했습니다.


Q. 하이퍼스탯 투자는?

A. 아케인포스 11렙, 일몹뎀 10렙, 나머지는 데미지와 크뎀을 균형을 맞춰가며 찍었습니다. 가끔 크확이 2%정도 부족한 친구들은 크확에도 2렙 찍어뒀습니다.


Q. 코강은 어떻게 했는지?

A. 극 약식 코강을 사용했습니다. 극 약식 코강이란, 매우 적은 수의 코젬을 까서 매트릭스 포인트로만 주력기를 강화하는 방식입니다. 제 경우에는 한 직업당 코젬 30개를 사용했으며, 45직업이므로 일부 직업을 제외해도 1000개 이상의 코젬을 요구합니다. 이때 보스 전용 스킬은 강화하지 않았으며, 약식 코강과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Q. 렙업에 걸리는 시간은?

A. 최근 1~200은 테라버닝으로만 키워서 시간을 이렇다 저렇다 하기 애매한 상황입니다.

200~210 은 4시간가량, 210~215는 3시간가량, 215~220은 4시간가량 걸렸습니다. 단, 직업이나 아이템에 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타 질문은 댓글로 해주시면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2. 평가 방식


1) 원킬컷




12펜살 템셋 기준으로 원킬컷을 계산해 등급을 나눴습니다.



2) 스펙




자력 공격 속도 2등급 : 3점

자력 공격 속도 3등급 : 1점

기본 크리티컬 확률 50% 이상 : 2점

기본 크리티컬 확률 35~49% : 1점

기본 크리티컬 확률 34% 이하 : 0점

위와 같은 기준으로 점수를 합산해 등급을 나눴습니다.



3) 4차 사냥

5차 스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주관적인 기준으로 사냥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4) 5차 사냥

5차 스킬을 사용했을 때 주관적인 기준으로 사냥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5) 피로도

사냥을 하면서 동시에 얼마나 유튜브 시청 등의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점수를 매겼습니다.



6) 극딜




엘리트 몬스터 처치를 기준으로 하여 직업별로 단일 스킬의 데미지를 계산해 등급을 나눴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엘몹 처치에 걸리는 시간과는 괴리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기동성




X축 이동 속도는 츄츄 아일랜드 마을 횡단을 기준으로 하여 7초 미만은 상, 7초~7.99초는 중, 8초 이상은 하로 등급을 나눴습니다. 이동은 오로지 기본 이동 스킬만을 사용했습니다.


Y축 도달 높이는 배고픈 무토의 양 끝 지형에서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등급을 나눴습니다. 이동은 기본 이동 스킬 외에도 공격 스킬 등에 부가적으로 있는 이동 스킬 역시 사용했습니다.


또한 직업 특유의 이동 스킬이 있을 경우, 1점을 가산했습니다.


X축 이동 속도 상 : 3점

X축 이동 속도 중 : 2점

X축 이동 속도 하 : 1점

Y축 상시 이동 가능 : 2점

Y축 조건부 이동 가능 : 1점

Y축 이동 불가능 : 0점

특이 이동 스킬 보유 : 1점


위와 같은 기준으로 점수를 합산해 등급을 나눴습니다.



8) 코강




코강은 극 약식 코강을 기준으로 하여 등급을 나눴습니다. 극 약식 코강이란, 50~90 개 정도의 코젬을 소모해 V매트릭스 포인트로만 코강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코어의 전체 종류가 적을수록 더 높은 등급을 매겼습니다.

전체 코어 중에서 주력기를 강화하는 코어 4가지를 뽑는데 필요한 코어의 개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 강화 코어 등장 확률은 80%로 했습니다.

8코어 : 51개

9코어 : 55개

10코어 : 60개

11코어 : 65개

12코어 : 69개

13코어 : 74개

14코어 : 79개

15코어 : 84개

16코어 : 89개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등급을 매겼습니다.


8코어 : 5점

9코어 : 4점

10코어 : 3점

11~13코어 : 2점

14~16코어 : 1점



9) 육성 가치


특정 직업을 200에서 250으로 레벨을 올렸을 때 얻을 수 있는 유니온 공격대원 효과를 기준으로 등급을 나눴습니다.



10) 점유율






2022년 2월 2일 기준 리부트 1, 2 서버의 220 이상의 인구를 기준으로 등급을 나눴습니다.



11) 총점/랭크


1~10의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랭크를 매겼습니다. 

랭크는 S, A, B, C, D입니다.



12) 사용되지 않은 평가 방식


유틸 : 오직 사냥만을 평가했기 때문에 무적, 바인드 등의 유틸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내구도 : 5차 이후에는 거의 의미가 없으며, 4차 이전은 기억나지 않아 배제했습니다.




3. 직업별 평가


1) 히어로 (225)



원킬컷 : 레이지 블로우 / 1.47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25%로 매우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레이징 블로우의 기본 범위가 대폭 상향되었으며 레이징 블로우 외에도 오라 블레이드, 인사이징, 레이지 업라이징 등의 광역기로 사냥을 보조합니다. 발할라로 기본기를 강화할 수 있으나 가동률은 떨어지는 편입니다.

5차 사냥 : 소드 오브 버닝 소울 / 발할라 등의 기본기 강화를 번갈아가며 사냥 시간의 절반 정도를 강화 레이징 블로우 상태로 사냥할 수 있습니다.

피로도 : 레이징 블로우의 기본 범위가 대폭 상향되어 뇌빼기가 가능할 정도로 상향되었습니다.

극딜 : 콤보 인스팅트 / 0.63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레이징 블로우 데미지를 감안하지 않았으므로, 이 값은 실제보다 저평가되었습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조건부 이동(플래시 슬래시)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9199명으로, 3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2) 팔라딘 (220)




원킬컷 : 디바인 차지 / 3.06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7%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후 자동으로 발동하는 광역기인 디바인 스티그마 / 성흔 폭발을 추가로 받아 사냥이 상당 부분 개선되었습니다. 생츄어리는 전직업 중에서도 최상급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어지간하면 원킬이 나는 편입니다. 그럼에도 기본기인 디바인 차지의 범위는 좋지 못한 편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5차 사냥 : 블래스드 해머는 시전자 주위에서 자동으로 공격하는 스킬로, 가동률은 50%입니다. 이를 활용하여 삑원킬 상태의 몹을 정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티 묠니르는 자동으로 적을 추적하는 사출기입니다. 데미지는 준수한 편이나, 지속 시간이 짧고 날아가는 방향이 랜덤이라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는 스킬입니다.

피로도 : 자동으로 발동되는 스킬이 많아 피로도는 매우 적은 편입니다.

극딜 : 그랜드 크로스 / 2.39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4056명으로, 19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3) 다크나이트 (220)




원킬컷 : 다크 임페일 / 2.03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5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이퍼스킬 리인카네이션 - 크리티컬 레이트를 채용할 경우, 크확은 75%까지 상승합니다.

4차 사냥 : 비홀더 쇼크 / 다크 신서시스가 짧은 쿨과 넓은 범위의 광역기의 역할을 하여, 비교적 좁은 기본기의 사냥 능력을 보조해줍니다. 특히, 리마스터 이후 비홀더 쇼크의 범위가 더욱 상향되었습니다.

5차 사냥 : 짧은 쿨과 넓은 범위의 광역기인 다크 스피어 / 비홀더 임팩트가 추가되어 조금 과장하자면 기본기를 거의 쓰지 않아도 사냥이 될 정도로 많은 광역기를 보유하게 됩니다. 다크 스피어는 시전자 주위에서 시간을 끌다가 발사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거리에 따라서 원킬컷이 다릅니다.

피로도 : 짧쿨 광역기 4개의 쿨타임을 모두 감안해야 하여 조금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피어스 사이클론 / 0.90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9종류이며, 5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비주류 스탯인 HP%를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매우 밀립니다.

점유율 : 4520명으로, 16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4) 불독 (220)




원킬컷 : 플레임 스윕 / 1.60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기본기인 패럴라이즈가 플레임 스윕으로 변경되었으나, 스킬 범위만 조금 늘어났을 뿐 크게 구조가 변화하진 않았습니다. 기본기가 점샷이 안되고 Y축 범위가 저열하며 광역기는 메테오 하나뿐이라 기본기의 원킬컷이 준수함에도 불구하고 사냥 능력은 매우 낮습니다. 인피니티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원킬컷이 심하게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5차 사냥 : 갑작스럽게도 도트 퍼니셔 / 포이즌 노바 / 포이즌 체인 3개의 짧쿨 광역기를 받아 사냥 능력이 대폭 상승했습니다. 또한 언스테이블 메모라이즈를 채용할 경우 인피니티의 가동률이 대폭 상승해 원킬컷 관리가 더욱 쉬워집니다.

피로도 : 5차 짧쿨 광역기 3개의 쿨타임을 모두 감안해야 하나, 모두 25초로 같아 스킬들을 순서대로 사이클을 돌릴 수 있습니다.

극딜 : 퓨리 오브 이프리트 / 10.92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3종류이며, 7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비주류 스탯인 MP%를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매우 밀립니다.

점유율 : 1828명으로, 31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5) 썬콜 (226)




원킬컷 : 체인 라이트닝 / 0.93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후 기본기인 체인 라이트닝의 전이 범위는 넓어지고 전이 속도는 느려진 듯한 체감을 받았습니다. 광역기는 블리자드 하나뿐이지만 기본기가 우수한 편이라 적당한 수준의 사냥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피니티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원킬컷이 심하게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5차 사냥 : 초대형 광역기 썬더 브레이크, 지속형 설치기 아이스 에이지 / 스피릿 오브 스노우를 받아 맵 장악력이 대폭 상승합니다. 또한 언스테이블 메모라이즈를 채용할 경우 인피니티의 가동률이 대폭 상승해 원킬컷 관리가 더욱 쉬워집니다.

피로도 : 광역기가 4개이지만 쿨타임이 비교적 긴 편이라 자주 스킬을 갱신할 필요가 없습니다.

극딜 : 주피터 썬더 / 1.09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모험가 법사 중에서는 X축 속도가 가장 좋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1종류이며, 6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6430명으로, 10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6) 비숍 (225)




원킬컷 : 빅뱅 / 1.7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7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모험가 법사 중에서 유일하게 기본기인 빅뱅이 점샷이 가능합니다. 서포터 특성상 사냥기는 거의 없고 파티 유틸만이 넘치도록 있어 광역기는 제네시스와 헤븐즈 도어 뿐이라 사냥 능력은 매우 낮습니다. 인피니티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원킬컷이 심하게 차이가 나는 편입니다.

5차 사냥 : 추가로 광역기인 피스메이커를 받아 사냥에서 도움을 받게 되지만 여전히 맵 장악력은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격류지대와 같이 기동성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는 맵에서는 이점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언스테이블 메모라이즈를 채용할 경우 인피니티의 가동률이 대폭 상승해 원킬컷 관리가 더욱 쉬워집니다.

피로도 : 사냥의 90% 이상이 빅뱅이므로 피로도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극딜 : 디바인 퍼니시먼트 / 1.34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5687명으로,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7) 보우마스터 (220)




원킬컷 : 언카운터블 애로우 / 1.98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69%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기본기인 언카운터블 애로우의 범위가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또한 플래시 미라주가 추가되었으며 유효킬을 기대할만한 퍼뎀을 가지고 있어 리마스터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사냥 능력을 보입니다. 따라서 애로우 플래터가 유효킬이 아니어도 플래시 미라주의 발동을 위해 상시 깔아놓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또한 광역기인 윈드 오브 프레이 역시 범위가 대폭 상승했습니다.

5차 사냥 : 사냥기로 애로우 레인 / 잔영의 시 / 실루엣 미라주가 추가되었지만 잔영의 시와 실루엣 미라주는 확실한 한 방을 때리는 게 아니라 자동 사출되는 추가타 느낌이라 화려한 겉보기에 비해 실제 맵 장악력은 낮은 편입니다.

피로도 : 자동으로 발동되는 스킬이 많아 피로도는 매우 적은 편입니다. 단, 애로우 플래터를 주기적으로 깔아놓는 것을 염두해야 합니다.

극딜 : 퀴버 풀버스트 / 0.7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그러나 화염 화살이 한번에 쏟아지는 게 아니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사출되므로 실제보다 과대평가된 점이 있습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표식을 남긴 곳에 귀환(퀴버 플로우)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1종류이며, 6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1187명으로, 41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8) 신궁 (220)




원킬컷 : 피어싱 / 2.66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69%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기본기인 피어싱의 Y축 범위가 대폭 향상되어 드디어 사람 구실을 하는 사냥기로 변모했습니다. 롱 레인지 트루샷의 경우 발동 이펙트가 보이지 않아 범위 측정에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하지만 체감 상 범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5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스플릿 애로우의 가동률이 50%에서 60%로 상승하여 사냥과 보스 양면으로 상향을 받았습니다. 또한 차지드 애로우의 추가로 X축 사냥 능력은 최상위권의 모습을 보입니다.

피로도 : 차지드 애로우를 상시 차징하고 있는 점만 제외하면 크게 신경쓸만한 요소가 없습니다.

극딜 : 트루 스나이핑 / 2.97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표식을 남긴 곳에 귀환(퀴버 플로우)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크리티컬 확률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064명으로, 34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9) 패스파인더 (225)




원킬컷 : 카디널 블래스트 / 5.28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79%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적으로 카디널 블래스트 - 카디널 디스차지 매크로를 사냥에서 사용합니다. 이 경우에 약간의 버벅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블래-디차를 번갈아가며 사용하여 트리플 임팩트 / 엣지 오브 레조넌스 / 콤보 어썰트 / 스플릿 미스텔의 쿨타임을 비약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역기를 쉴 새 없이 쏟아부을 수 있게 됩니다.

5차 사냥 : 이동형 설치기인 레이븐 템페스트, 고정형 설치기인 렐릭 언바운드(트랜지션) 외에는 4차 사냥과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레이븐 템페스트의 경우에는 바닥의 지형이 복잡할수록 고장 나기 쉬우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피로도 : 기본기인 블래-디차의 후딜 뿐만 아니라 광역기 4개가 불규칙적인 쿨타임을 가지고 있어 깔끔한 운용이 힘들 수 있습니다.

극딜 : 얼티밋 블래스트 / 5.56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중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좌우텔, 윗텔(카디널 트랜지션)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9종류이며, 5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6982명으로, 6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10) 나이트로드 (220)




원킬컷 : 쇼다운 챌린지 / 3.30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쇼다운 챌린지의 범위가 대폭 상향되었으나, 저스펙 도적의 특성상 데미지는 낮은 편입니다. 이것이 빠른 기동성과 서로 역 시너지를 일으켜 몬스터가 줄줄 샐 수 있습니다. 광역기는 써든레이드와 포 시즌으로, 눈여겨볼만한 특징은 없습니다.

5차 사냥 : 스로우 블래스팅이 원킬컷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로우 블래스팅의 가동 여부에 따라 사냥 속도가 극심하게 차이를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단시간 설치기인 풍마수리검과 장시간 설치기인 다크로드의 비전서가 사냥을 보조해줍니다.

피로도 : 기본기의 범위는 넓지만 4개의 광역기의 쿨이 다 따로 돌기 때문에 다소 운영에 불편함이 있습니다.

극딜 : 스프레드 스로우 / 3.40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1종류이며, 6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크리티컬 확률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6470명으로, 6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11) 섀도어 (220)




원킬컷 : 크루얼 스텝 / 2.0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로 많은 모험가가 수혜를 받은 것과 비교해볼 때 섀도어는 사냥 측면에서는 거의 혜택을 보지 못했습니다. 원킬컷 자체는 준수하지만 저열한 범위와 쓸데없이 빠른 기동성이 서로 역 시너지를 일으킵니다. 또한 광역기가 써든레이드 하나뿐이라 최하위권의 사냥 능력을 보입니다.

5차 사냥 : 5차에서 새롭게 받은 스킬 중 사냥에 유의미하게 사용될만한 스킬이 쉐도우 어썰트 하나뿐이라 사냥 능력은 여전히 최하위권입니다.

피로도 : 운용할만한 광역기는 거의 없지만 기본기의 범위가 좁아 세심한 컨트롤이 요구됩니다.

극딜 : 소닉 블로우 / 3.1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조건부 가능(인투 다크니스)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몬스터에게로 점멸(인투 다크니스)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6339명으로, 11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12) 듀얼블레이더 (225)




원킬컷 : 블레이드 퓨리 / 4.4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0%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듀블의 핵심 스킬은 파이널 컷입니다. 파이널 컷은 60초 동안 최종 데미지를 40% 증가시켜주나, 쿨타임이 90초이기 때문에 써든레이드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가동률을 100%로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본기인 블레이드 퓨리는 퍼뎀과 범위 모두 최하위권이며 광역기 역시 써든레이드와 아수라뿐이라 사냥 능력은 최하위권입니다.

5차 사냥 : 블레이드 토네이도와 카르마 퓨리의 도입으로 듀블의 사냥 메타가 완전히 바뀝니다. 4차 이전에는 제자리 블레이드 퓨리로 갈아내는 사냥을 한다고 했을 때, 5차 이후로는 블토/카퓨의 압도적인 퍼뎀과 범위로 순간적으로 폭딜을 우겨넣는 사냥이 됩니다. 조금 과장하자면 듀블은 블토 카퓨로만 사냥하고 나머지 시간에 아무것도 안 해도 사냥이 될 정도까지 됩니다.

피로도 : 파이널 컷의 상시 유지를 신경 써야 하지만 그 난이도가 크게 어렵지 않아 피로도 자체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극딜 : 블레이드 스톰 / 1.6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6종류이며, 8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10814명으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13) 바이퍼 (220)




원킬컷 : 훅 봄버 / 1.70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0%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리마스터 이후 기본기의 X축이 하향되고 Y축이 상향되어 사냥터 선정에서 조금 더 유연함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한 자동 발동되는 광역기인 씨 서펜트 버스트와 써펜트 어썰트 스킬을 받았습니다. 럭키 다이스를 타임 리프로 초기화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훅 봄버 투킬 기준으로도 서펜트 스크류를 준 상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동기 및 광역기인 퓨리어스 차지와의 조합으로 거의 원킬 사냥이나 다름없게 되어 사냥터 장악력이 매우 상승하였습니다.

피로도 : 서펜트 스크류가 자동 발동되는 온오프 스킬이기 때문에 피로도는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극딜 : 하울링 피스트 / 1.71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좌우/대각 돌진(퓨리어스 차지)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4954명으로, 13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14) 캡틴 (220)




원킬컷 : 퍼실레이드 / 1.6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7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캡틴은 다양한 소환수를 이용하여 사냥을 보조하는 캐릭터입니다. 고정형 설치기인 배틀쉽 봄버, 시즈 봄버와 시전자 주위를 따라다니는 소환수인 서먼 크루로, 총 3가지의 소환수를 이용합니다. 이 외에 전함 노틸러스, 스트레인지 봄 등의 광역기가 있으며, 럭키 다이스를 통해 사냥에 도움이 되는 버프를 랜덤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자동 조준기인 데드아이, 지속형 이동 광역기인 불릿 파티, 자동 추적기인 데스 트리거 등 사냥에 도움이 되는 5차 스킬이 3가지나 되어 5차 이후 사냥 능력이 대폭 상승합니다.

피로도 : 다양한 광역기 및 소환수를 관리해야 하여 다소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노틸러스 어썰트 / 1.33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4종류이며, 7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소환수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443명으로, 36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15) 캐논슈터 (225)




원킬컷 : 캐논 바주카 / 2.0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기인 캐논 바주카는 넓은 X축 범위와 좁은 Y축 범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정형 소환수인 서포트 몽키 트윈스와 광역기인 전함 노틸러스로 사냥을 보조합니다. 럭키 다이스, 오크통 룰렛을 통해 사냥에 도움이 되는 버프를 랜덤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이동형 설치기인 빅 휴즈 기간틱 캐논볼로 짧은 라인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ICBM으로 광역기를, 풀 메이커로 지속형 광역기를 받아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피로도 : 소환수 및 광역기가 장기간 지속되는 스킬이 많아 스킬의 가짓수에 비해 피로도는 크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기간틱 빅 휴즈 캐논볼 / 3.1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움직이지 않는 소형몹을 상대로 측정한 타수이므로 실제 사냥에서는 엘몹 유도를 통해 더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2단 윗점(캐논 점프)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6종류이며, 8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2228명으로, 26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16) 소울마스터 (225)




원킬컷 : 크레센트 디바이드 / 1.6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0%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크레센트 디바이드 / 솔라 피어스의 공격 범위가 번갈아서 바뀌기 때문에 사냥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광역기인 크로스 더 스틱스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셀레스티얼 댄스, 소울 이클립스, 엘리시온 모두 장시간 지속되는 광역기이기 때문에 5차 이후 사냥 능력이 대폭 상승합니다. 또한 플래어 슬래시 역시 자동 발동되는 광역기이기 때문에 소울마스터는 동 스펙 다른 직업들보다 한 단계 위의 사냥터에서 사냥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피로도 : 사냥에 도움이 되는 스킬이 대부분 쿨타임 2~3분인 지속형 스킬이기 때문에 피로도는 매우 적은 편입니다.

극딜 : 엘리시온 / 0.21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조건부 가능(솔루나 슬래시)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비주류 스탯인 HP를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매우 밀립니다.

점유율 : 6589명으로, 8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17) 플레임위자드 (220)




원킬컷 : 블레이징 오비탈 플레임 / 1.93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기인 오비탈 플레임의 퍼뎀이 매우 낮기 때문에 속사기처럼 운영해야 합니다. 광역기인 인페르노라이즈, 카타클리즘과 설치기인 마엘스트롬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귀환기인 파이어 블링크와 이동형 설치기인 블레이징 오비탈 플레임을 조합하여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역기인 플레임 디스차지, 전이기인 샐리맨더 미스칩, 스택형 광역기인 인피니티 플레임 서클로 사냥 능력이 대폭 상향됩니다.

피로도 : 기본기의 운영이 이질적이고 다양한 광역기를 운용하기 때문에 다소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인피니티 플레임 서클 / 0.58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인플서가 사냥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적당히 끊어주고 다른 광역기 등으로 처리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표식을 남긴 곳에 귀환(파이어 블링크)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1192명으로, 40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18) 윈드브레이커 (225)




원킬컷 : 스파이럴 볼텍스 / 2.29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60%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기인 스파이럴 볼텍스가 밀격기이기 때문에 몹몰이 사냥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본 공격 범위가 애매하여 한번에 공격할 수 있는 몬스터는 그리 많지 않은 편입니다. 광역기인 몬순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이동형 설치기인 하울링 게일, 이동형 끌격기인 볼텍스 스피어, 광역 사출기인 아이들 윔이 사냥을 보조합니다. 하울링 게일이 좌우로 바닥에 붙어서 움직이고 볼텍스 스피어가 X축에 평행하게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X축이 넓은 사냥터에서 사냥하는 것이 스킬을 운용하기 용이합니다.

피로도 : 스킬의 가짓수가 적어 피로도는 적은 편입니다.

극딜 : 하울링 게일 / 3.87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볼텍스 스피어와 하울링 게일이 이동형 설치기이므로 실제보다 값이 과소평가된 측면이 있습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3660명으로, 23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19) 나이트워커 (220)




원킬컷 : 퀸터플 스로우 / 1.5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0%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주력기인 퀸터플 스로우가 단일기이기 때문에 실제 사냥은 설치기인 다크니스 오멘, 전이기인 쉐도우 배트를 주로 이용하게 됩니다. 매우 적은 사냥 스킬의 종류에 비해 실제 사냥에서는 의외로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지속되는 버프기인 도미니언을 이용해 쉐도우 배트를 지속적으로 소환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쉐도우 바이트, 장시간 지속되는 버프기인 쉐도우 스피어로 맵 장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쉐도우 스피어를 발동한 경우 다크니스 오멘 2개를 쉴 새 없이 갱신할 수 있게 됩니다.

피로도 : 사용하는 스킬의 가짓수는 적지만 특유의 점샷 때문에 약간의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래피드 스로우 / 2.68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9종류이며, 개의 55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2266명으로, 25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20) 스트라이커 (220)




원킬컷 : 벽력 / 1.59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35%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벽력-파도 캔슬을 통해 기본기인 벽력의 후딜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트라이커의 핵심 스킬인 축뢰의 쿨타임 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광역기인 해신강림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교아탄, 지속형 버프기인 신뇌합일, 자동 광역기인 뇌신창격을 통해 사냥의 장악력이 한 층 상향됩니다.

피로도 : 특유의 파도 캔슬이 있지만 난이도가 높지 않아 피로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창뇌연격 / 2.28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934명으로, 43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21) 미하일 (220)




원킬컷 : 샤이닝 크로스 / 1.53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0%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미하일의 핵심 스킬은 로얄 가드입니다. 로얄 가드 5스택을 상시 유지하며 최대 범위 및 퍼뎀의 광역기 및 최대 버프를 상시 유지해야 최고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버프기인 세이크리드 큐브가 발동 중일 때는 로얄 가드의 발동 난이도가 대폭 하향됩니다. 이 외에 데들리 차지 등의 광역기가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로 아이아스, 라이트 오브 커리지가 극딜 버프기로 사용되고 소드 오브 소울 라이트가 극딜기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냥에 도움되는 스킬은 클라우 솔리스 하나 뿐입니다. 따라서 4차 이전과 사냥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 편입니다.

피로도 : 로얄 가드 스택 유지 때문에 피로도는 매우 큰 편입니다.

극딜 : 소드 오브 소울 라이트 / 0.46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9종류이며, 5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비주류 스탯인 HP를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매우 밀립니다.

점유율 : 1077명으로, 42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22) 블래스터 (220)




원킬컷 : 쇼크 웨이브 펀치 / 2.28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6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블래스터의 핵심 스킬은 리볼빙 캐논 관리입니다만, 이를 활용하기 위한 커맨드를 습득하지 못해 쇼크 웨이브 펀치 캔슬만을 사용해 사냥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광역기인 릴리즈 파일 벙커를 사용하지 못해 사냥 능력을 과소평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동형 끌격기인 허리케인 믹서, 광역기인 하이퍼 매그넘 펀치로 사냥을 보조하는 동시에 피로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버프기인 벙커 버스터, 애프터이미지 쇼크, 맥시마이즈 캐논을 운용하여 일시적으로 릴리즈 파일 벙커를 활용하는 사냥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피로도 : 특유의 캔슬 난이도 때문에 피로도는 최악 수준입니다.

극딜 : 버닝 브레이커 / 1.71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6단 윗점(익스플로젼 무브)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2종류이며, 6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방어력 무시 비율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418명으로, 37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23) 배틀메이지 (220)




원킬컷 : 피니쉬 블로우 / 2.2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0%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기인 피니쉬 블로우가 상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직업 최악의 범위를 가지고 있어 사냥 능력은 매우 낮은 편입니다. 과장하자면 실제 사냥은 데스와 다크 라이트닝으로만 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광역기인 배틀킹 바, 다크 제네시스가 그나마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버프기인 유니온 오라가 가동되는 중에는 피니쉬 블로우가 사신의 낫으로 강화되어 퍼뎀과 범위 모두 상향됩니다만, 여전히 다른 직업들과 비교하면 조악한 편입니다. 설치기인 그림 리퍼, 블랙 매직 알터 등으로 맵 장악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부실한 기본기 때문에 여전히 사냥 능력은 그리 좋지 못한 편입니다.

피로도 : 기본기의 범위가 워낙 좁아 다소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그림 리퍼 / 1.24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1710명으로, 33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24) 와일드헌터 (220)




원킬컷 : 와일드 발칸 Type-P / 3.22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73%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기본기를 속사기나 광역기로 선택할 수 있지만, 저스펙에서는 광역기가 더 나은 편입니다. 이 외에도 공중 설치기인 어시스턴트 헌팅 유닛과 지상 설치기인 드릴 컨테이너, 광역기인 플레쉬 레인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재규어를 탑승하고 있기 때문에 재규어 스킬은 이용하지 않습니다.

5차 사냥 : 와일드 그레네이드가 4초마다 충전되기 때문에 준 상시 광역기처럼 운용할 수 있습니다. 재규어 스톰을 광역 설치기처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봉인되었던 재규어 스킬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피로도 : 기본기의 범위 때문에 섬세한 위치 조정이 필요해 다소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와일드 발칸 Type X / 1.80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데미지를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766명으로, 44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25) 메카닉 (225)




원킬컷 : 매시브 파이어 : SPLASH-F / 6.19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메카닉의 핵심 스킬은 로봇 마스터리이므로 실제 딜 점유율이 낮더라도 가능한 많은 종류의 로봇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맵에 어떤 설치기를 어디에 설치할지를 미리 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럭키 다이스를 통해 사냥에 도움이 되는 버프를 랜덤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마이크로 미사일 컨테이너, 이동형 설치기인 멀티플 옵션 M-FL, 메카 캐리어를 운용하여 맵 장악력을 높이고 로봇 마스터리의 효과 또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피로도 : 8가지의 설치기를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극딜 : 메탈아머 전탄발사 / 2.09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대시(제트 부스터)가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4종류이며, 7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버프 지속시간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352명으로, 38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26) 제논 (215)




원킬컷 :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폭격 / 2.5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제논 운용의 핵심 스킬은 오파츠 코드입니다. 오파츠 코드 - 엑스트라 서플라이 콤보를 통해 상시로 최종뎀 버프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멀티 모드 링커를 통해 여러 가지 스킬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지만, 퍼뎀 문제 때문에 기본기로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포격 대신 퍼지롭 매스커레이드 - 폭격을 채용합니다. 광역기인 멜트다운 익스플로젼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설치기인 홀로그램 그래피티 : 융합 외에는 사냥에 쓸만한 스킬이 없기 때문에 4차 이전과 동일하게 기본기만 사용하는 사냥이 계속됩니다.

피로도 : 기본기 외에 신경써야할 스킬이 오파츠 코드뿐이기 때문에 피로도는 매우 낮은 편입니다.

극딜 : 메가 스매셔 / 1.93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4종류이며, 7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681명으로, 45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27) 데몬슬레이어 (225)




원킬컷 : 데몬 익스플로젼 / 2.52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2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핵심 스킬이었던 블루 블러드가 온오프 스킬로 바뀌어 운용 난이도가 급락했습니다. 따라서 기본기인 데몬 익스플로젼만 쓰면서 사냥하다가 DF 회복기인 서버러스를 쿨마다 적절히 적중시키면 사냥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5차 사냥 : 소환 스킬인 오르트로스와 설치기인 요르문간드, 버프기인 데몬 어웨이크닝을 번갈아가며 사용해 맵 장악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피로도 : 서버러스를 통해 DF를 주기적으로 회복해야 하지만, 그 난이도는 크게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데몬 베인 / 0.79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몬스터에게로 점멸(데몬 트레이스)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5종류이며, 8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점유율 : 1971명으로, 29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28) 데몬어벤저 (220)




원킬컷 : 익시드 : 문라이트 슬래시 / 3.30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25%로 매우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데벤의 핵심 스킬은 릴리즈 오버로드입니다. 익시드 스킬을 사용해서 쌓인 오버로드 디버프를 소모해 최종 데미지를 향상시키므로, 약 1분마다 스킬을 갱신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사출기인 실드 체이싱, 광역기인 사우전드 소드가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블러드 피스트, 디멘션 소드를 이용해 맵 장악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버프기인 데몬 프렌지는 잃어버린 HP%에 비례해 최종 데미지를 향상시키므로, 낮은 체력을 유지하며 사냥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피로도 : 광역기가 쿨타임이 짧은 편이라 다소 피로도가 있습니다.

극딜 : 디멘션 소드 / 1.46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2종류이며, 6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보스 데미지를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2068명으로, 28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29) 아란 (220)




원킬컷 : 파이널 블로우 / 5.2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아란의 핵심 스킬은 콤보 어빌리티입니다. 몬스터를 타격할 때마다 콤보 수가 쌓이며 1000콤보에 도달하면 아드레날린 상태에 돌입하여 공격 범위 및 퍼뎀이 상향됩니다. 아란의 사냥 사이클은 파이널 블로우 - 비욘더 1, 2, 3타이기 때문에 타격마다 공격 범위가 달라져서 사냥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광역기인 마하의 영역으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브랜디쉬 마하, 버프기인 인스톨 마하, 비욘더의 강화기인 펜릴 크래시가 추가되어 조악한 아란의 사냥이 다소 상향됩니다.

피로도 : 특유의 연계 시스템이 있지만 그 사이클이 복잡하지 않아 피로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블리자드 템페스트 / 1.3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2단 윗점(파이널 토스)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3종류이며, 7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HP 회복량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3691명으로, 22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D



30) 에반 (220)




원킬컷 : 서클 오브 마나 / 1.58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50%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에반의 핵심은 미르 스킬과 에반 스킬의 융합 스킬입니다. 미르 스킬 종류마다 2가지의 융합 스킬이 존재하며 주로 사용되는 것은 다이브 오브 어스, 브레스 오브 윈드, 브레스 오브 어스입니다. 세 스킬 모두 준 설치기처럼 운용할 수 있으며 ‘돌아와!’를 통해 중간에 끊고 다른 스킬을 발동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설치기인 스위프트 오브 마나가 추가되어 맵 장악력이 향상됩니다. 또한 광역기 및 극딜기인 임페리얼 브레스로 넓은 범위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피로도 : 융합 스킬 특유의 키 입력 때문에 피로도가 다소 있는 편입니다.

극딜 : 조디악 레이 / 0.80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2종류이며, 6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MP 회복량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874명으로, 30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31) 루미너스 (250)



원킬컷 : 빛 - 라이트 리플렉션 / 2.07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0%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루미너스의 핵심 스킬은 선파이어, 이클립스, 이퀼리브리엄입니다. 선파이어일 때는 빛, 이클립스일 때는 어둠, 이퀼 상태일 때는 둘 모두가 강화됩니다. 각 속성에 맞는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게이지가 충전되어 선파이어→이퀼리브리엄→이클립스→이퀼리브리엄→선파이어 순서대로 상태가 변합니다. 주로 빛 - 라이트 리플렉션과 어둠 - 아포칼립스를 이용해 사냥하게 됩니다.

5차 사냥 : 설치기인 진리의 문, 퍼니싱 리소네이터를 이용해 맵 장악력이 향상됩니다. 특히 진리의 문은 범위와 지속 시간 모두 매우 큰 대신 이퀼 상태에서만 발동할 수 있습니다.

피로도 : 게이지에 맞는 속성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피로도는 낮은 편입니다.

극딜 : 리버레이션 오브 / 3.2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변신(이퀼리브리엄)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3종류이며, 7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4140명으로, 17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32) 메르세데스 (240)




원킬컷 : 리프 토네이도 / 1.98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60%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메르의 핵심 스킬은 이그니스 로어입니다. 따라서 여러 스킬의 연계를 통해 로어 스택을 10스택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콤보는 주로 리프 토네이도→롤링 문썰트→리프 토네이도→레전드리 스피어→리프 토네이도→래쓰 오브 엔릴 순서대로 사용합니다.

5차 사냥 : 버프기인 실피디아를 탑승하고 좌우/대각 상향 돌진을 통해 맵을 휩쓸고 다닐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버프기인 엘리멘탈 고스트와 로얄 나이츠가 가동 중일 때는 맵 장악력이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피로도 : 계속해서 연계 스킬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피로도는 다소 높은 편입니다.

극딜 : 이르칼라의 숨결 / 0.58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상하좌우 탈출(스피릿 이스케이프)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쿨타임 감소 비율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806명으로, 32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33) 팬텀 (220)




원킬컷 : 카디널 블래스트 / 2.8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5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팬텀의 핵심 스킬은 스틸 스킬입니다. 이로 인해 같은 직업이어도 어떤 스킬을 훔치느냐에 따라 운용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1차는 카디널 디스차지(패파), 2차는 카디널 블래스트(패파), 크로스 오버 체인(닼나), 4차는 파이널 컷(듀블)을 채용했습니다. 광역기인 로즈 피날레 카르트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마크 오브 팬텀, 리프트 브레이크와 사출기인 블랙잭을 통해 사냥 능력이 대폭 향상됩니다.

피로도 : 4가지 광역기를 운용해야 하지만 쿨타임이 15초, 30초로 유사해 피로도는 높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조커 / 1.2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불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3연속 텔레포트(팬텀 슈라우드)가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4종류이며, 7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메소 획득량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4061명으로, 18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34) 은월 (220)




원킬컷 : 귀참 / 1.5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0%로 매우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은월의 사냥은 저스펙은 귀참 사냥, 고스펙은 폭류권 사냥으로 갈립니다. 귀참 사냥의 경우 어빌리티에서 다수 공격 시 1타겟 증가 옵션을 채용하면 사냥에 유용합니다.

5차 사냥 : 정령 결속 극대화, 정령 집속, 귀문진을 동시에 발동시켜 맵을 장악하는 것만 제외하면 4차 이전의 사냥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피로도 : 귀참과 폭류권 어느 쪽이든 광역기 없이 하나의 스킬만 사용하므로 피로도는 매우 낮습니다.

극딜 : 파쇄 연권 / 3.25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점멸(축지)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5종류이며, 8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크리티컬 데미지를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4021명으로, 20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35) 카이저 (225)




원킬컷 : 소드 스트라이크 / 2.39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6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카이저의 핵심 스킬은 파이널 피규레이션입니다. 따라서 파이널 피규레이션 변신을 위해서 모프 게이지를 빠르게 채울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사용되는 스킬은 윌 오브 소드, 윙비트, 블루 스트릭, 인퍼널 브레스 등이 있습니다. 광역기인 프로미넌스로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강화기인 드라코 슬래셔의 추가로 다소 약했던 X축 장악력이 대폭 상향되고 이동형 설치기인 드래곤 블레이즈, 고정형 설치기인 가디언 오브 노바의 추가로 사냥 관련 5차 스킬을 다양하게 받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피로도 : 모프 게이지를 채우기 위해 계속해서 쿨타임을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다소 피로도가 있는 편입니다.

극딜 : 윌 오브 소드 : 스트라이크 / 6.73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변신(파이널 피규레이션)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3종류이며, 7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4594명으로, 14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B



36) 카인 (225)




원킬컷 : 스트라이크 애로우 / 2.4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60%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카인의 핵심 스킬은 포제션입니다. 맬리스 스톤을 소모할 때마다 포제션을 발동시켜 일반 스킬을 발현 스킬로 강화할 수 있으며 해당 적에게 축복을 내리게 됩니다. 축복을 받은 적을 처형 스킬로 타격하면 축복을 소모하고 추가타가 발동되며 공로 버프가 주어집니다. 발현 스킬의 퍼뎀이 높아 이를 활용하는 것은 쉽지 않음에도, 카인은 스캐터링 샷, 폴링 더스트, 체이싱 샷, 스니키 스나이핑과 끌격기인 샤프트 브레이크 등의 많은 광역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5차 사냥 : 5차가 모두 보스기로 출시되어 사냥은 4차 이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냥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피로도 : 일반 스킬과 발현 스킬을 모두 활용하기 때문에 매우 큰 피로도를 보입니다.

극딜 : 드래곤 버스트 + 페이탈 블리츠 / 1.13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3371명으로, 24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37) 카데나 (220)




원킬컷 : 웨폰 버라이어티 / 2.3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카데나의 핵심 스킬은 웨폰 버라이어티입니다. 8가지 공격 스킬을 모두 타격해 최종 데미지를 유지하고 웨폰 버라이어티 추가타를 계속해서 발동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웨폰 버라이어티를 발동하기 위해 필요한 스킬은 시미터, 클로, 윙대거, 샷건, 나이프, 릴리싱 봄, 브릭, 니들배트가 있습니다. 또한 기본기인 체인아츠:스트로크를 1타만 넣고 캔슬할 경우 이어지는 스킬의 최종 데미지가 상승하는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설치기인 체인아츠:메일스트롬, A.D 오드넌스가 그나마 사냥에서 사용할 만 하지만 4차 이전의 스킬들이 워낙 성능이 우수해 유의미하게 사냥 메타가 변화하지는 않습니다.

피로도 : 스킬들에 강제 이동이나 움직임에 있어 제약을 거는 경우가 있고 웨폰 버라이어티 버프를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므로 피로도는 높은 편입니다.

극딜 : 체인아츠 : 퓨리 / 10.61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실제로는 프로페셔널 에이전트의 평딜 강화 효과로 인해 훨씬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므로 이 값은 실제보다 매우 과소평가되었습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2102명으로, 27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38) 엔젤릭버스터 (220)




원킬컷 : 프라이멀 로어 / 2.1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3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엔젤릭버스터의 핵심 스킬은 소울 시커이며, 프라이멀 로어 사용 시 일정 확률로 소울 시커가 발동되어 자동으로 적을 향해 사출됩니다. 이 외에 설치기인 슈퍼 노바, 끌격기인 소울 레조넌스 등이 사냥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이동형 설치기인 스포트라이트와 광역기인 트리니티 퓨전이 사냥에 사용됩니다.

피로도 : 기본기인 프라이멀 로어의 범위가 넓고 사출기가 자동으로 사출되므로 피로도는 낮은 편입니다.

극딜 : 마스코트 패밀리어 / 2.90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빠름,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2종류이며, 69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4588명으로, 15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39) 아델 (251)




원킬컷 : 디바이드 / 3.24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45%로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아델의 핵심 스킬은 에테르입니다. 트리거 스킬이 적중할 때마다 에테르를 활성하며 이를 이용해 크리에이션 및 오더를 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오더가 소환되어 있을 때는 광역기인 게더링과 블로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기인 디바이드의 범위가 압도적인 범위를 자랑하기 때문에 사냥터를 크게 가리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5차 사냥 : 5차가 모두 보스기로 출시되어 사냥은 4차 이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냥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피로도 : 오더의 소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매우 쉽기 때문에 피로도는 그리 높지 않은 편입니다.

극딜 : 인피니트 / 0.52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조건부 가능(임페일-레조넌스)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8방향 돌진(임페일-레조넌스)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20486명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40) 일리움 (220)




원킬컷 : 크래프트 : 자벨린 / 8.51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일리움의 핵심 스킬은 크리스탈 차지이며, 자벨린은 1, 오브는 2, 롱기누스는 3만큼 충전합니다. 크리스탈과 자벨린/오브가 충돌할 때 광역기인 리액션:디스트럭션/도미네이션이 발동하며 150차지를 모두 충전하면 글로리 윙이 발동되어 20초 동안 비행이 가능해집니다. 기본기인 자벨린은 몬스터나 크리스탈과 충돌할 때마다 전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리스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5차 사냥 : 포탈기인 크리스탈 게이트는 맵의 3군데를 자유롭게 워프하는 포탈을 생성하며, 포탈 자체도 설치기의 역할을 하는 스킬입니다. 소울 오브 크리스탈은 리액션:디스트럭션/도미네이션을 추가로 발동시키는 역할을 맡습니다. 두 스킬 모두 위치 선정이 중요하여, 어떤 맵에서 어떤 곳에 설치할지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피로도 : 크리스탈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어 피로도가 높은 편입니다.

극딜 : 크리스탈 이그니션 / 0.98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비행(크리스탈 포탈)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1257명으로, 39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C



41) 아크 (275)




원킬컷 : 플레인 차지드라이브 / 3.02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아크의 핵심 스킬은 잠식 제어입니다. 잠식 제어를 통해 레프 상태와 스펙터 상태를 번갈아가며 운용할 수 있으며, 레프 상태일 때 정신력을 충전해 스펙터 상태일 때 정신력을 소모하게 됩니다. 레프 상태일 때는 플레인 차지드라이브, 스펙터 상태일 때는 끝나지 않는 흉몽을 이용해 후속 스킬의 선딜을 캔슬할 수 있습니다. 사냥에는 기본기인 플레인, 광역기인 악몽/흉몽, 스칼렛/상처, 충동, 거스트/굶주림, 어비스/혼돈, 공포 등이 사용됩니다.

5차 사냥 : 악몽/흉몽의 강화기인 새어나오는 악몽/흉몽의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아크의 맵 장악력이 더욱 강화됩니다.

피로도 : 많은 스킬을 운용할 뿐 아니라 강제 이동이 달려있는 스킬이 많아 피로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극딜 : 근원의 기억 / 0.67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조건부 가능(멈출 수 없는 충동)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변신(잠식 제어)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6819명으로, 7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42) 라라 (225)




원킬컷 : 정기 뿌리기 / 3.8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라라의 핵심 스킬은 용맥 읽기입니다. 지면에 랜덤으로 생성되는 용맥을 분출/발현/흡수할 뿐 아니라 용맥의 자취를 통해 점멸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용맥 변환이나 자유로운 용맥을 이용해 더 유연한 용맥 운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사냥에는 주로 광역기인 분출 스킬과 버프기인 발현 스킬을 사용합니다. 이동하는 중에도 계속 용맥이 생성되므로 분출 스킬을 계속 운용하면서 넓은 범위의 맵을 장악할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광역기인 용솟음치는 정기, 사출기인 큰 기지개, 이동형 설치기인 산등성이 굽이굽이를 받아 맵 장악력이 더욱 상향됩니다.

피로도 : 용맥의 생성 위치에 따라 유연한 빌드 변경이 불가피한데다가 쉴 새 없이 갱신하는 분출 스킬과 수많은 광역기들의 조율을 요구해 피로도가 매우 심한 편입니다.

극딜 : 해 강 산 바람 / 1.02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조건부 가능(용맥의 자취)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가까운 용맥으로 점멸(용맥의 자취)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8종류이며, 51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7018명으로, 5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43) 호영 (225)




원킬컷 : 여의선 : 인 / 2.66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2등급, 크확 55%로 매우 높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호영의 핵심 스킬은 부적 도력, 두루마리 도력입니다. 천/지/인 스킬이 적중할 경우 부적 도력이, 천/지/인 스킬 혹은 부적 스킬이 적중할 경우 두루마리 도력이 충전됩니다. 천/지/인 스킬을 순서대로 발동하면 더 많은 도력이 충전되지만 실제 사냥에서는 쿨타임이 끝나는 대로 사용하기만 해도 충분히 도력을 채울 여력이 생깁니다. 사냥에는 기본기인 여의선:인과 광역기인 멸화염:천, 지진쇄:지, 금고봉:인, 부적 스킬인 추적 귀화부, 환영 분신부, 두루마리 스킬인 권술:흡성와류, 권술:미생강변이 사용됩니다.

5차 사냥 : 자동 타격기인 선기:극대 분신난무와 선기:천지인 환영이 새롭게 추가되어 맵 장악력이 한층 강화됩니다.

피로도 : 많은 스킬을 운용할 뿐 아니라 특유의 이중 게이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피로도는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극딜 : 선기 : 강림 괴력난신 / 1.41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보통,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비행(근두운)할 수 있습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9종류이며, 55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8216명으로, 4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S



44) 제로 (222)




원킬컷 : 플래시 어썰터-스핀 커터 / 1.85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55%로 적당한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제로의 핵심 스킬은 듀얼 컴뱃입니다. 알파와 베타가 태그하며 현재 조종하지 않는 유닛이 어시스트 스킬을 사용해 추가타를 넣게 됩니다. 사냥에 사용되는 알파의 스킬은 플래시 어썰터-스핀 커터, 롤링 커브-롤링 어썰터, 윈드 커터-윈드 스트라이크-스톰 브레이크이며 베타의 스킬은 터닝 드라이브-휠 윈드, 기가 크래시-점핑 크래시-어스 브레이크입니다.

5차 사냥 : 설치기 및 귀환기인 쉐도우 플래시, 자동 타격기인 에고 웨폰이 추가되어 비록 퍼뎀은 낮지만 검기와 함께 맵 전체를 장악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피로도 : 10가지 기본 스킬을 운용하고 공격 범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피로도가 높은 편입니다.

극딜 : 조인트 어택 / 3.32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상시 가능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상하좌우 대쉬(버스트 스텝)가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0종류이며, 60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경험치 획득량을 향상시키므로 우선 육성 대상입니다.

점유율 : 1547명으로, 35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45) 키네시스 (225)




원킬컷 : 얼티메이트 - 싸이킥 불릿 / 2.22 킬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스펙 : 공속 3등급, 크확 45%로 낮은 스펙을 가지고 있습니다.

4차 사냥 : 키네시스는 고유 자원으로 싸이킥 포인트 PP를 사용합니다. 싸이킥 그랩, 싸이킥 드레인 등으로 PP를 수급하고 얼티메이트 스킬로 PP를 소모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보입니다. 싸이킥 그랩과 싸이킥 포스2 등의 밀격, 끌격, 잡기 등의 스킬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몹몰이 사냥에 최적화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5차 사냥 : 노쿨 광역기 얼티메이트-싸이킥 불릿의 추가로 키네시스는 5차 직업 중 제일 큰 변화를 맞게 됩니다. 싸이킥 불릿의 PP 소모가 극심한 만큼 싸이킥 드레인의 적절한 설치가 요구됩니다. 설치기 및 끌격기인 로 오브 그라비티 역시 사냥을 보조해줍니다.

피로도 : 드레인을 설치하기 쉬운 맵의 경우에는 간편하지만 그렇지 못한 맵에서는 PP 수급에 장애가 생겨 피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극딜 : 얼티메이트 - 무빙 매터 / 1.32 극딜 정도의 값을 가집니다.

기동성 : X축 속도 느림, Y축 조건부 가능(싸이킥 무브)의 능력치를 가집니다. 유틸성으로 비행(싸이킥 무브)이 가능합니다.

코강 : 강화코어는 총 13종류이며, 74개의 코젬이 필요합니다.

육성 가치 : 단순 스탯만을 향상시키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점유율 : 3706명으로, 21위를 차지했습니다.

총점 : A



이상으로 전직업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부족하거나 틀린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T-boy 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