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8월 24일 테스트 올렸던 글 확인하신 분께 정말 죄송합니다.
당시에도 여러 가지 변수가 통제되지 않아서 불완전한 실험이었던 건 알고있었지만
해 보니 결과가 차이나더라는 제보가 있어서요.

섣불리 정확하지 못한 글 올려 혼란스럽게 해 드린 점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앞으로는 좀더 고민해 가면서 작성하도록 많이 노력하겠습니다..
이하 내용에서도, 제가 잘못 기재한 내용이 있다면 아낌없이 혹독한 지적 부탁드립니다.



A. 관련 내용 확인

물리공격력 공식 (바람의자유님) : [ 링크 ]
방어력 공식 (바람의자유님) : [ 링크 ]

대체 뭐 이렇게까지 복잡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만...
사실 이것만으로도 부족하기까지 합니다. 소숫점 처리라거나, 크리티컬 증뎀과 스텟방어력의 관계 등..

먼저 지적하고 싶은 내용은, 방어력은 데미지감소율에 정비례하지는 않는다는겁니다.
방어력이 높아질수록 데미지 감소율은 떨어집니다. 즉..


이런 식으로, 단위 DEF당 효율은 낮은 방어력일 때 더 높습니다.

이게 말해주는건 1) 방어무시없음- 2) 방어무시50%- 3)방어무시100%
단계별 "변화량"은 같지 않다는것이죠.. 단순히 숫자 크기만 비교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여기에 더해 방어력은 장비방어력(하드def)과 스텟방어력(소프트def)으로 나누어지기에,
어떤 쪽의 영향이 높은지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B. 페니셋의 효과 확인


PVP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불행히도 페니셋은 유저(플레이어형)에 대한 방어무시효과가 없습니다.
아무튼 기준점이 될 페니셋의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우선 프론 알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기준이 될 캐릭터입니다. 만렙비숍이고, 크레칸토+글로리아를 기본 버프로 사용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스텟 ATK는 273, 무기공격력은 37, 랜덤추가치는 5입니다.
여기에 페니셋 착용하면 페니웨폰에 의한 ATK+5, 그리고 웨폰쉐도우 제련치에 의한 증가가 있는데
제가 사용한 것은 +9 바이브레이션 웨폰 쉐도우라 최종 +14 ATK 증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상태에서 크리티컬로 낼 수 있는 최대 데미지는

( 273 + 37 + 5 + 14 ) * 1.4 = 460.6

즉 460이 나옵니다.
확인 결과, 150-100-50 3종의 알에 모두 크리데미지 460이 나왔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점은.. 페니셋은 장비방어력과 스텟방어력을 모두 무시한다 는 것이겠지요.
후술하겠지만 무형의 다른 몹에게도 모두 페니셋 크리데미지 460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C. 알 대상으로 빅벨/네오펑크 카드 세트와 병행

이후 프론 알을 대상으로, 페니셋과 빅벨/네오펑크 카드 세트를 비교했습니다.
빅벨 카드는 그 자체로 무형몹에게 공격력 10% 증가 효과가 있고,
빅벨/네오펑크 카드 세트는 무형몹에게 방어력 50%감소 효과가 있습니다.
(알은 보스형이기에 직업 6셋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보면, 페니셋의 ATK증가를 감안하더라도 c와 d의 데미지 차이가 꽤 큽니다.
def 120으로는 20.76% 데미지감소가 일어나는데.. 그거치고는 차이가 크지요.
아마도 이것은.. 카프라에 기재된 def 가 장비 def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러니 먼저 150알에 한해 스텟def를 구해보면...

[ ( 273 + 37+ 5 ) * 0.79{장비방어120} - softDEF ] * 1.4{크리증뎀} = 243

softDEF = 75 -> 150알의 스텟def는 75입니다.

이 숫자를 바탕으로 빅벨/네오펑크 카드의 데미지를 확인하면...

[ ( 273+ (37+5)*1.1{무형증뎀} ) * 0.88(장비방어60) - 75{softDEF} ] * 1.4{크리증뎀}=  288.25

f의 결과와 동일하게 288이 나옵니다.

g의 결과는 페니셋만 착용했을 때 비해 빅벨카드에 의한 10%증뎀이 더해진것이겠구요.

여기에서, 방어 무시 아이템은 장비 방어력만 감소시킨다 는 점이 확인이 됩니다.
다만, 이번 실험에서는 공격데미지를 낮게 잡았기 때문에 그 점이 두드러지는데
일반적으로 수천~만 단위 데미지를 낼 때에는
설령 스텟방어력이 그대로라도 사실 큰 차이는 안 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종종 다른 장비중에서도 일반장비와 쉐도우장비의 계산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페니셋도 이런 면에서 좀더 장점을 갖는 것 같습니다.


D. 직업쉐도우셋과 빅벨/네오펑크 카드 조합

직업쉐도우 6종 세트는 일반몹 50% 방어무시효과가 있고..
올스텟+10 효과가 있습니다. 계산이 점점 복잡해집니다.



이것으로 스텟ATK는 304가 되고, 힘에 의한 추가공격력이 2 증가합니다.

타격 대상은 탐사로봇 터보이며, 카프라에 나온 방어력은 121로 150알과 거의 같습니다.



일단 이 정보만으로도...
카드세트로 50% + 직업세트로 50% 깎은 결과가 페니셋만큼 안 나온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좀더 자세하게 계산해보겠습니다. 우선 softDEF부터..

[ ( 273 + 37 + 5 ) * 0.79 - softDEF ] * 1.4 = 197


즉 탐사로봇 터보의 스텟방어력, softDEF 는 108입니다.
이 수치를 대입해 빅벨카드장비시, 빅벨/네오펑크셋 장비시를 계산해도 정확히 나옵니다.

6셋 장비시의 데미지를 확인하면,

[ ( 304 + (37+7) ) * 0.88 - 108 ] * 1.4 = 277.536
-> 277로 맞아떨어집니다.

문제는 8번, 카드셋+6셋의 경우입니다. 둘로 나누어 해보겠습니다.
1) 합연산, 방무 50+50으로 100% 무시된다면....
[ ( 304 + (37+7)*1.1) - 108 ] * 1.4 = 341.6 -> 341

2) 곱연산, 즉 50%감소 후 재차 50%감소된다면- 121*0.5*0.5=30.25
[ (304 + (37+7)*1.1) * 0.93{방어력30} - 108 ] *1.4 = 307.104 -> 307

실제 타격치는 341. 즉, 방어무시는 합연산으로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스텟방어력을 무시할 수 없기에 페니셋보다는 낮은 데미지가 나옵니다.



E. 보너스 - 직업셋과 독설발망셋 데미지


독설발망과도 겹치기 적용해보기 위해..
터보 말고 그냥 탐사로봇도 때려봤습니다. 얘는 인간형이라..



계속 비슷한 이야기만 이어질 것 같아 데미지 결과만 첨부하겠습니다;;
아무튼 페니셋이 제일 높게 나온 점만 확인하고 넘어갈까 합니다.
로보아이와 쌍버코가 있다 없다 하는건...
10독설+발망 자체에 어택 12% 증가가 있어서..
쌍버코의 14%와 로보아이 2% 이용해 계산하기 쉽게 맞춰본겁니다.
( 거신뱀에 붙어있는 덱스가 빠져서 페니셋 데미지가 차이가 납니다 )


F. 결론

제가 마련할 수 있는 장비에 한정된 실험이고,
계산과정에도 오류가 있을 가능성도 분명 있습니다만...
판단하기 편하시도록 중간과정을 가능한 한 많이 넣어봤습니다.

지금까지의 결과만을 두고는 이하를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1) 방어무시 아이템들의 효과는 서로 겹쳐진다.
2) 방어무시효과는 합연산으로 적용된다.
3) 일반 장비류의 방어무시아이템은 상대방의 장비 DEF만을 무시한다.
4) 페니셋은 상대방의 스텟 DEF까지 무시할 수 있다.

* 공격데미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스텟 def에 의한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

계산과정에 실수가 있어 수정했습니다.
처음에도 고민하면서 일단 진행했는데..PVP에서 안젤루스를 써가며 확인해보니
크리티컬 타격의 증뎀이.. 크리증뎀전의 ATK를 D라 할 때
   D * 1.4 * hardDEF - softDEF
이것이 아니라....
  [ D * hardDEF - softDEF ] * 1.4
로 나오더군요.. 즉 공격력 증폭이 아니라 최종 증뎀... 제 불찰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스텟방어력에 1.4를 곱하고 나누는 차이라
중간 과정의 차이는 있어도 최종 결과는 소숫점 아래에서 약간 달라지는 정도로 끝났습니다. 다행..
결론은 똑같지만 일단 수식은 고쳐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