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나로크 조이룸에 올렸던 글입니다.

부족하다고 생각되지만, 기왕 적은 글인데,

최대한이면 많은 분들이 도움 얻으실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인벤에도 올립니다.

너무 진지하게는 말고, 가볍게 [아..이 자식이 지금 무슨 소리 지껄이고 있구나..]

정도의 느낌으로 즐겨봐주세요. 스타게이머분들 조이룸도 많이 찾아가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바포메트 서버의 Abel Kielheim 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2-1. 전투비숍을 위한 팁 ; 스탯에 대한 고찰. 


쓰기전에..

초심자를 위한 팁은 아니지만, 초심자가 아니신 분들은 이미 알고 있을 것들은 다 알고 계셔서 별로 쓸 데가 없는 가이드가 되지 않을까..싶었습니다만, 가끔 보면, 캐릭터는 이미 커버렸지만, 뭘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신다거나, 다른 스타일로 육성하시다가 전투로 전향하고자 하시는 분들, 밀리캐는 처음이신 분들...은 가끔 딜레마에 빠지시거나, 의외로 간단한 것을 질문하시는 것을 보고 대략 기초적인 마인드..랄까...베이스 같은 것들..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뭐라고 표현하기가 조금 애매한데, 그냥 편히 읽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투비숍에 있어서의 스탯과 능력치에 대한 고찰과 시뮬과 공식,아이템등을 조금 신경쓰는 방법..? 이라고 하면 그나마 조금 정확할 것 같네요. 아도라숍에 대해서는 전투에 대한 팁이 정리되는 대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스탯

레벨업을 할 때마다 일정량의 스탯포인트가 주어집니다. 100 베이스레벨 이전에는, 레벨업을 할 때마다 3 의 스탯포인트가 주어지며, 5 의 배수의 베이스레벨이 될때마다 추가로 1 씩 더해집니다. 100 베이스레벨 이후에는 10 의 배수의 베이스레벨이 될때마다 추가로 1 씩 더해집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A 레벨 도달' 부터 'B 레벨 도달'까지는 'C 포인트'가 주어진다]를 [A - B : C] 라고 하면,

2 - 5 : 3 point

6 - 10 : 4 point

11 - 15 : 5 point

...

96 - 100 : 22 point

101 - 110 : 23 point

111 - 120 : 24 point

...

인 식입니다.


반면, 스탯이 잡아먹는 스탯포인트는, 100 스탯 이전에는 2 포인트를 시작으로, 스탯 10 개를 추가로 올리실 때마다 1 씩 추가로, 101 스탯 이후에는 16 포인트로 급격하게 증가한 후에, 10 개를 추가로 올리실 때마다 4 씩 추가로 잡아먹습니다.


[스탯이 A 부터 B 에 도달하려면 한 스탯당 C 포인트 가 필요하다] 를 [A - B : C] 라고 하면,

2 - 11 : 2

12 - 21 : 3

22 - 31 : 4

...

82 - 91 : 10

92 - 100 : 11

101 - 105 : 16

106 - 110 : 20

..

의 식이 되는 것입니다. 더 쉽게 말씀드리자면,

 

 

와 같은 식이 되는 것입니다. 스탯 시뮬레이터를 조금 돌려보시다보면, 제가 무슨 말하고있는지 금방 아실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무튼,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스탯이 높아질 때마다 스탯포인트를 더 많이 잡아먹는데, 높은 스탯포인트를 잡아먹는다고 해서 그 스탯이 더 월등한 능력을 보이는 것도 아니고, 낮은 스탯포인트를 잡아먹었다고해서 올리나 마나인 효능을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자가 똑같은 스탯 한 개] 라면, 똑같은 스탯포인트가 주어지더라도, 최대의 효율을 보일 수 있게 찍자고 말씀드리고 싶은 겁니다.


추가로, 스탯 시뮬레이터에 관한 자료는 '은빛늑대'님 홈페이지에서,

각종 공식들이나 자료에 대해서는 '바람의 자유'님의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은빛늑대의 라그나로크[링크]


바람은 자유롭다[링크]

 


 

STR.

1당 ATK 1 증가, 무게상한선 30 증가.

 

아주 특별한 상황 때문에 무게상한선을 증가시켜야하는 상황이 아니시라면, 단순히 데미지를 위한 스탯. 이 스탯 자체의 효율을 떠나서, STR 을 투자하면 기본데미지가 올라가는 것은 사실입니다. [엔첸트 블레이드]용 룬나이트 캐릭터가 있으신 분들에게는 소홀해져도 나쁘지 않을 스탯이지만, 개인적으로는 5분마다 왔다갔다하면서 플레이하기도 싫고, 끌고다니면서 텔이 불가능한 사냥을 하는 것도 싫기에, 기본적으로 스스로 데미지를 늘릴 수 있게 해주는 STR 스탯을 아주 좋아라합니다. 1 당 ATK 1 증가라고 하면, 데미지 증가폭이 그렇게 크지는 않지만, 초반의 STR 수십개는 똑같은 포인트를 잡아먹는 고어질 몇개보다 효율이 좋습니다. 단순히 STR 에 의한 데미지 증가만이 아니라, 자신의 셋팅에 따라 크기패널티추가증가, 속성패널티추가증가와 크리티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몇 배로 뛰기 때문에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자랑하는 소중한 스탯이라고 생각합니다. 엔첸트 블레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MATK 만을 고집하는 방향보다, 스탯포인트에 따라 INT를 우선으로 하되, STR과 번갈아 투자하시면 더 높은 데미지를 기대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AGI.

1 당 Flee 1 증가, 5 당 Def 1 증가, 공격속도 공식에 관여.

 

이런저런 셋팅이나 질문들을 봤을 때, AGI 부분에서 상당한 오류를 범하시는 분들이 많이 생기신다고 생각합니다. 밀리캐니까 당연히 AGI 은 높아야하고, 소중합니다. 하지만 AGI 이 항상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비숍이전이라면 몰라도, 비숍 이후에 100 AGI 이 넘어가기 시작하면, 잡아먹는 스탯포인트가 엄청나지기 시작합니다. 그러기에, 제 생각에 AGI 은 그저 [높은 공격속도를 위해 많이 찍을 수 밖에 없는 스탯이지, 진리의 스탯은 아니다] 라는 가정 위에, 어차피 고AGI을 줘야한다면, AGI 을 무조건 높게 잡아놓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능한 최고공속을 뽑아낸 후에, 나머지 잉여 AGI 은 쳐내자는 겁니다. AGI 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대로 줄이자는 것이 포인트인데, Flee 는 생각하지 않도록 합시다. 어차피 아무리 쳐내도 꽤 고AGI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회피걱정은 그리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브라디움 브로치 처럼 120 AGI을 요구하는 악세사리등의 장비때문에 어쩔 수 없는 AGI 120 은 생략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조금 늦게 베이스레벨이 어느 정도 따라준 후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VIT.

MAXHP 와 HP 회복량 증가, 2 당 Def 1 증가, 5 당 Mdef 1 증가.

 

비숍이전에는 사실 안찍어도 그만이었던 스탯. 하지만 비숍 이후로는 니플헤임, 기사단, 무명섬 등의 사냥터에서 몰림 혹은 고데미지스킬을 사용하는 몬스터들로 인해, 말그대로 훅가는 것을 원하지 않으신다면 꼭 줘야만하는 스탯. 왜 체력을 vital 이라고 했는지, 니플헤임부터 절실하게 이해되기 시작합니다. 한마리, 한마리 때려잡다 보면 빨리잡는 것에만 치중하게 되버릴 수도 있는데, 몰리면 도망가면 된다고 해도, 레벨이 올라갈수록 사냥터마다 몰리는 빈도가 높아지다보니, 마냥 서너마리가지고 마구 도망가기는 조금 지치실겁니다. 또한 한방에 눕기 쉬운 스킬인 소닉블로우나 브랜디쉬 스피어가 썩 반갑지는 않으실 겁니다. 빨리잡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서너마리정도는 몇 대 맞으면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력을 키우심을 강하게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니플헤임은 20, 기사단은 30, 무명섬은 40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더 주셔도 아깝지는 않겠습니다.


 


INT.

1 당 MATK 1.5 증가, 1 당 Mdef 1 증가, MAXSP 와 SP 회복량 증가, 변동캐스팅 공식에 관여.


엔첸트 블레이드를 사용하시는 유저분들이라면 힘과 같이 번갈아 찍으셔야하니, 무심하게 찍으시다보면 듀플레라이트 미리엄, SP, 힐량 등의 소소한 보너스들도 같이 따라오니 말씀 드릴 것도 없지만, 저처럼 엔첸트 블레이드가 없으신 분들에게는 무조건 찍으라고 말씀드리기는 조금 애매한 스탯. 더페이퍼 카드 라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거의 필수겠지만, 그냥 평범하게 크기류 증뎀카드를 사용하신다면, 굳이 주지 않으셔도 딱히 불편하지는 않은 스탯. 다만, INT 를 주지 않으셨을 경우, 힐이 생각보다 sp 소모를 많이 하는편이니, 하이네스 힐 1레벨 사용을 권장합니다. sp 가 40% 정도까지 떨어졌을 때 쯤, 마니피캇 2 ~ 3 번 정도 사용하시면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느 다시 MAXSP 로 돌아갑니다.


 


DEX.

1 당 HIT 1 증가, 5 당 ATK 1 증가, 5 당 MATK 1 증가, 공격속도 공식에 관여, 변동캐스팅 공식에 관여,

원거리무기/악기/채찍 장착시 STR 은 5 당 ATK 1 증가로 DEX 는 1 당 ATK 1 증가로.


영향을 미치는 능력치가 많지만, 전투비숍으로서 주목해야할 사항은 기본적으로 HIT, ATK, 공격속도. 그 중에서도 특히 HIT 가 가장 중요하고, 공격속도 공식에는 상당한 미량이 관여. ATK 는 보너스 정도로 생각하는 바입니다. 개인적으로, DEX 는 [miss 를 내지 않기 위한 도구]라고만 생각합니다. 잠시 후에, AGI 과 같이 공격속도 공식에서 추가로 설명하겠습니다.


 


LUK.

3 당 ATK 1 증가, 3 당 MATK 1 증가, 3 당 HIT 1 증가, 3 당 CRI 1 증가, 5 당 Flee 1 증가, 10 당 완전회피 1 증가.


거의 모든 클래스가 어느 수준 이상은 줄 정도로 인기있는 스탯이라고 생각합니다. 취향상 크리티컬 전투비숍을 키우신다면 말씀드릴 것도 없이 중요하고, 크리티컬이 옵션이라고 해도 최소 60 정도는 투자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에인션트 미믹 카드 덕분에 AGI 을 증가시키는 데도 한 몫 하고 있고, 어느 정도 베이스레벨이 뒷받침되어서, LUK 이 많이 쌓인다면, 심심하지 않게 뜨는 완전회피 Lucky 도 보기 좋습니다. ATK, MATK,HIT 도 소량이나마 증가하니 찍어서 절대로 나쁜일은 없을 스탯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적화 셋팅법.

스탯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들만 적고 넘어온 이유로는, 아무래도 스탯을 주는 방법에 대한 방법은 따로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됐기 때문입니다. 어느 정도 정리해보자면,

 

AGI 은 공격속도를 위한 도구, DEX 는 명중률을 위한 도구.

STR, VIT, LUK 은 많이 줄 수만 있다면 많이 찍어주고 싶은 스탯.

INT 는 논외...


정도의 포인트인데, 전달이 잘 됐는지는..잘 모르겠네요...사실 이 세 줄만 읽으셨던게 더 좋았을지도...
...아무튼..

우선, 공격속도 공식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이미 알고 계실 테지만....



여기서 [기본 공격속도]는 캐릭터마다 아무 장비,아이템,스킬,스탯이 없을 때의 기본 공격속도입니다.
비숍의 경우 151 이 기본 공격속도입니다. 무기패널티의 경우 메이스는 -0, 책은 +1 입니다. 지팡이나 너클의 경우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방패패널티는 -5 입니다. 뒷부분의 괄호가 들어간 부분에서 소숫점은 생략합니다...만, 그렇게 계산적이라거나 깊게 생각하는 거 별로 안 좋아합니다. 주목하셔야 할 부분은 괄호안에서도 뒷부분, [AGI x (item,skill/200)] 부분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아이템이나 스킬이 AGI 에 따라 그 효율이 변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스탯 외적인 것을 많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AGI 이 그 능력을 더 강하게 자랑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위 식을 A 라고 했을 때,



와 같은 식을 거쳐서 우리가 시뮬레이터나 게임상에서 보는 ASPD 를 만나게 되는 것인데, 여기서도 다른 거 다 필요없고, 주목하셔야할 부분은 (1-(equip,card/100)) 부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장비,카드란, AGI 을 증가시키는 장비가 아니라, 비상하는 천사나 셰실디먼 카드 등의 % 증가류 옵션을 가진 장비,카드등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저의 경우 버서크피쳐와 아드레날린러쉬 스크롤을 사용하고 있는데, 두 종류 모두 AGI 증가와는 다른 종류의 공격속도 증가 방법이다보니, 4 레벨 둔기에 말랑도 인챈을 할 때, ASPD +1 이 두개가 붙은 것, 혹은 ASPD +1 과 AGI 5 가 붙은 것은 공격속도가 2 가 증가하는 반면에, AGI 10 이 붙어있는 것은 공격속도가 3 이 증가합니다. 같은 이유로, 지금은 사용하지 않지만, 캐쉬 AGI 10 요리를 사용할때도, 사용하는 아이템,스킬이 많을 수록 AGI 요리의 효율은 계속해서 달라졌습니다.


([바람의 자유]님의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보면서 단순한 스탯포인트를 이용한 ATK,MATK 최적화와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공격속도 최적화 스탯 주는 방식을 추천드리려고 합니다.


 


1. 은빛늑대님의 홈페이지에서 스탯 시뮬레이터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2. 메인창에서 자신의 레벨(혹은 희망레벨)과 잡레벨(가중치가 있으니 반드시..)을 맞춰주세요.


3. 스킬창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모든 버프류, 패시브 스킬을 배운만큼 익혀주세요.


4. 소지류 아이템에서 자신이 사냥할 때 사용하는 아이템을 모두 사용해주세요. (AGI 요리 포함.)


5. 자신의 모든 장비를 장착해주세요. (카드 포함이며, '기타'란의 펫도 포함합니다. 강화할 수록 능력치가 변한다면, 강화까지 마쳐주세요.)


6. 자신의 취향에 따라 LUK 을 투자해주세요.


7. 'Battle' 창에서 자신의 사냥터에서 주로 사냥하는 몬스터 중, 가장 필요 명중이 높은 몬스터에 맞춰, DEX 를 투자해주세요. 올크리시라면, 건너뛰셔도 좋습니다.



8. AGI 을 투자해주세요, 120 까지 밀어주신 후, AGI 을 하나하나 내려주세요. 공격속도가 감소하는 시점에서 멈춰주세요.


9. DEX 수 개와 AGI 한 개중 스탯포인트를 조금 잡아먹는 쪽을 선택해서 올려주세요. 거의 AGI인 쪽이 많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만, 저는 AGI은 28(1개), DEX는 10(2개) 인것으로 보아, DEX 일 가능성도 꽤 있다고 봅니다.


10. STR, VIT, INT 에 적당히 분배해서 투자해주세요.


 


이상입니다.



무명섬(좀비슬러터 필요명중386)을 기준으로 제 셋팅 완성도를 예시로 올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