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주 목요일 조인트 갓 패치. 다만 오밸이라는 소리가 많은데.. 설명충 등판해서 짜집어놓겠습니다.


기존의 조인트는 광역공격비율 옵션을 '파괴'/'무시'하는 시스템 이었습니다만.

현재로서는 광역공격비율 및 갯수 제한 타격 스킬에 조인트가 모두 잘 적용 되고 있습니다.
_다만 기존에도 오밸이던 무한광공비 장판의 경우. 오버밸런스틱한 데미지가 뽑히고 있는실정._

또한 여러번 조인트 패치로 인해 적용이 항상 바뀌었던 속성공격력 역시 이번 패치로 안정화되었습니다.


기존에 있던 광역공격 비율 인벤 글입니다. 이쪽도 참고하세요.

1. 광역 공격/방어 비율 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바뀌었나.

일단 광역공격비율 이전 광역 방어 비율 먼저 알고갑시다. 광방비는 소형1 중형2 대형3 초대형5의 광방비를 가지며. 광역방어비율 만큼의 광역공격비율을 깎아먹습니다.

광공비 10 = 광방비 10만큼 공격가능 = 소형10마리 = 중형5마리 = 대형3마리 = 초대형2마리

-기존의 조인트-
사클이 몹 10마리를 치던. 3마리를 치던. 조인트 대상에게는 항상 1번만 데미지 적용
광공비를 적용받는 물딜러 : ㅉ 링커 있으면 어차피 글래디 ㄴㄴ 닥시셀 미만잡

-패치후 조인트-
조인트 상태에서 조인트된 대상을 광공비 10으로 소형 10마리를 동시 타격할경우
10x10만큼 데미지를 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광공비를 적용받는 물딜러 : 음. 링커있다면 더욱더 글래디는 고려해 볼만한 템임.

2. 속성 공격력과 런닝샷은 어떻게 바뀌었나.

아르데 +153(or 블레싱 153데미지)를 장착할시

알몸 평타 :
평타공격력+153 (1번 적용)
인챈트 평타 :
평타공격력+153 , 인챈트공격력+153 (2 적용)
인챈트 카프리선 :
평타공격력+153 , 인챈트 공격력+153 , 카프리선+153 (3 적용)
인챈트 카프리선 사크라멘트 :
평타공격력+153 , 인+153 , 카+153 , 사크라멘트+153 (4 적용)

-기존엔 A B C몹을 조인트후 평타를 A몹에 칠경우-

카프리선, 사크라멘트, 인챈트 파이어, 블레싱 후 공격시
A : (평공+153+블레싱), (인공+153+블레싱), (카공+153+블레싱), (사크공+153+블레싱) (4 적용)
BC : 평타공격력 + 인챈트 공격력 + 카프리선 + 사크라멘트 공격력 +153 +블레싱 (1 적용)

A몹엔 위같은 공식이 제대로 적용되지만 B C 몹은 153데미지가 한번만 적용되었습니다.
런닝샷도 문제였는데. 런닝샷의 경우엔 런닝샷 추가데미지가 BC몹에 적용되질 않았습니다.

-패치후 A B C 몹을 조인트후 평타를 A몹에 칠경우-

카프리선, 사크라멘트, 인챈트 파이어, 블레싱 후 공격시
ABC : (평공+153+블레싱), (인공+153+블레싱), (카공+153+블레싱), (사크공+153+블레싱) (4 적용)

A몹에 적용되는 데미지가 B C몹에도 적용되었습니다.
런닝샷 또한 모든 몹에 잘 적용되고 있습니다.








상향/문제점

조인트에 위와같은 패치가 일어나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광역공격 딜러의 스킬 밸런스입니다.

광공비 투자에 따른 조인트 효율화는
기존의 미미했던 광공비 세팅에 날개를 달아주는 패치입니다.

다만. 무한광공비 장판의 경우 투자가 불필요.
기존의 괴랄한 데미지가 행성파괴급으로 증폭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스팀섭처럼 프클외 무한광공비 장판은 광공비 패치를 해야 얼추 밸런스가 맞지 않을까함)


조인트 패치로 가장 수혜를 본 직업군

엘3 프클의 경우 무한광공비로 인해 조인트 모든 대상을 동시에 초당 3.2타로 타격.
(현재로서는 투자를 아예 하지 않아도 행성 파괴급 성능을 내고있습니다.)

슈바 후사의 경우엔 동시타격 몹갯수 만큼 데미지가 증폭됩니다.
(투자가 적어도 좋은 성능. 라이트한 유저에게 추천할만한 새로운 광역 극딜러입니다.)
현재 버그로 조인트에 후사 한대 후 끊김 ▶◀

응사의 경우 조인트행낫 후 서클링 연계로 모든 광역공격스킬을 무한 광공비로.
조인트 몹 갯수만큼 데미지를 증폭시킵니다.
(행낫에 광방비 5저하가 있긴합니다만.. 3초입니다.)

소서러 서번트 특성의 경우 아군 광공비를 5 증가시키는 옵션이 있으므로. 그 입지가 상향되었습니다.
광역공격 보조 지향 트리를 짤 수도..!

그외에도 광방비 감소는 쏘마터지 크기축소도 있습니다.




파이브 해머(광역공격비율5) 등 광공비 높은 장비를 고려해 볼만한 직업군
소드맨 기본광공비 4. 클레릭 위저드 기본광공비 3. 아쳐 기본광공비 0.

소드맨, 클레릭의 평타, 보조무기 평타가 상향 되었습니다.
광공비로 동시타격하는 적의 갯수만큼 조인트에 배로 데미지가 증폭.
(특히 평타딜러인 커세어 쌍수맹공, 채플린.....)

하하도펠 사클/스라의 경우. 광공비를 투자한다면
프클(쿨을 포함한)과 얼추 비슷한 성능을 기대 가능할 듯 합니다.

아쳐 멀티샷 레로 페라지의 경우 역시 배라지 광역딜은 광공비 적용 받습니다.

크리비 자이바스의 경우 광공비 특성을 찍을경우 조인트의 50%전기데미지와 광공비에 따른 메리트.
크리비의 경우엔 본인인 클크크팔파가 있음에도 광공비 적용 받는줄 알고 있었네요.
(다만 현재 조인트는 광공비 특성을 키고도 자이바스의 횟수 손해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방당 여러발이 동시에 떨어져도 조인트내에선 동시에 적용이므로 데미지 손해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몽크의 스킬은 범위는 좁지만 거의 모든 스킬이 광공비의 영향을 받습니다.
기본 광공비를 높인다면 레써지와 더불어 상당한 광역 꾸준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평타인 쌍쇄공이 특히 광공비 영향을 받습니다. 다만 클레릭 기본광공비는 3입니다.)

파이로 파이어볼도 광역공격비율을 받으며 이번패치로 스태프를 고려해 볼 만합니다.








기존에 조인트 스킬로인해 광공비 시스템이 파괴되는건 개발 의도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이 패치로 링커가 광공비 시스템을 증폭시키는 필수 불가결한 포지션이 되었는데...

최소 클2프2가 힐러, 엘3 딜러, 클3 패스가 현재 주축 트리이듯 몇몇 트리에 국한된 밸런싱이네양.

향후 너프를 기대해 봅니다만...

현재 우선적으로 패치되어야할 오버밸런싱은.

광공비 투자가 전혀 필요없는 무한 광공비 장판에 대한 조인트 중첩 적용과.

혹은 조인트 자체의 너프가 이루어지지 않을까하네양.
(조인트 레벨별 공유데미지 %차등 / log(몹갯수n) 형식의 데미지 절감 / 조인트 저항몹의 대량 등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