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제약사인 얀센(존슨앤드존슨), 화이자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전날 이 같은 계약이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정 총리는 "얀센의 경우 당초 예정된 물량인 200만명분보다 많은 600만명분을 계약했다"며 "내년 2분기부터 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화이자 백신에 대해서는 "1천만명분을 계약했고, 내년 3분기부터 들어온다"며 "도입 시기를 2분기 이내로 앞당기고자 국가 차원의 역량을 총동원 중이고,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했다. 정 총리는 "영국,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대부분 백신이 절박한 나라들"이라며 "정부는 먼저 접종된 백신이 안전한지, 효과가 충분한지 등을 면밀히 들여다보며 국민이 가능한 한 빨리 안심하고 접종을 받도록 꼼꼼히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에 앞서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한 1천만명분을 제외하고 제약사와의 계약으로 3천400만명분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의결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와는 1천만명분에 대한 계약을 완료했으나 해당 백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돼 국내 공급도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백신은 국내 절차를 따라 들여오는 것이어서 미국 FDA의 승인 여부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커진 점은 차원이 다른 문제로 지적된다. 일단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이번 화이자·얀센과의 계약까지 완료한 정부는 모더나와의 백신 공급 계약 체결만을 남겨두게 됐다. 한편, 정 총리는 이날부터 11일간 시행되는 특별방역대책에 대한 전 국민의 동참을 당부했다. 정 총리는 "모임과 만남으로 거리가 붐빌 시기이지만 올해만큼은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이동을 줄이고 만남도 후일을 기약해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