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쌀이 남아 돈다









벼 재배 면적과 쌀 생산량은 매년 줄어드는 추세지만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쌀 자급률은 104%에 이른다.

국민들의 쌀 소비량보다 더 많은 수량이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매년 40만톤을 의무수입 해야 한다. 이는 국내 쌀 생산량의 11%가량





쌀이 넘쳐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줄어드는 쌀 소비량

벼 재배 면적과 쌀 생산량이 줄어든 것 이상으로
한국인 쌀 소비량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3년 기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으로 사상 최소치.
하루에 154.6g 먹는 셈이다.

30년 전과 비교하면 반 토막 났다.










2. 낮은 벼농사 이탈율

국내 농가 인구는 대다수가 65세 이상 고령층이다.
수십 년 간 재배한 벼 대신 다른 작물로 돌리기 쉽지 않은 나이










게다가 벼농사는 기계화가 끝내주게 잘 돼있어서
노동력이 적게 든다. 국내 벼농사 기계화율 99%

참고로 밭농사 기계화율은 평균 60%대











3. 정부의 쌀 수매

한국 정부는 국내 쌀 가격 안정을 위해
직접 쌀을 사들인다.









쌀 가격이 떨어져도 정부가 사줘서
어느정도 소득이 기대되는 만큼

과잉생산이 되도 계속 벼를 재배하는 것이다.






쌀 과잉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쌀 가공식품 소비를 촉진하고 
전략작물직불제 등을 활용해 벼 재배면적을 감축한다고 한다.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사업 또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