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녹조 키워서 에너지 뽑는 효율성이 옥수수 바이오디젤 연료보다 100배이상 더 높은거 모르냐?

4대강 녹조는

 

단백질과 영양성분이 풍부해서 가축사료로 쓸수 있고 지방성분은 추출해서 자동차 연료로...
4대강에 발생한 녹조는 소중한 자원임. 잘 모아서 식재료로도 쓰고 가축사료도 만들고 연료도 만들어야 됨

연료뿐만 아니라 얘네들이 이산화탄소를 먹는 량이 엄청나서 지구 온난화 해결책으로도 주목받는 중이다 ㅋㅋ

 

설레바리 치지말고 참아 이세퀴들아!!

 

 

 

 


 

 

 

 

 

 

 

 

 

 

 

 

 

 

 

근거는 아래에 어쩌구 저쩌구 

 

 

 

 

 

조류 바이오연료 - 저렴한 가격, 높은 생산성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 2008-03-10]  바이오디젤로 대표되는 바이오연료들은 관심의 대상이 아니라 차세대 에너지의 주요 분야로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당류, 콩기름 등의 곡물류로부터 얻어지는 바이오디젤의 확대는 식량난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켰다. 특히 2006년부터 시작된 곡물 가격의 상승으로 바이오디젤의 생산을 금지시켜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면서 휘발유, 경유 등의 액체 연료를 대체하는 기술로서 최근 각광을 받는 분야가 해조류 분야이다.

해조류의 액체 연료 전환은 이미 8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나, 높은 생산 비용 등에 의해서 관심을 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를 먹고 성장한다는 점과 단위 면적당 오일 생산량이 기존의 바이오디젤보다 최대 100배 이상 높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많은 연구 기관, 회사, 정부 기관이 개발에 착수한 상태이다. 이에 다양한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해조류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방법 외에 해조류로부터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면서 오일을 추출하는 기술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주요한 인자로서 부각되었다. 이에 알게링크(AlgaeLink)사는 화학 제품들, 원심분리기, 건조기, 오일 압축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해조류 오일을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오일 추출 방법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추출 공정 하에 해조류 페이스트는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알게링크사의 반응기로부터 필터를 통해서 모아진다. 필터를 사용하는 알게링크사의 새로운 오일 추출 공정은 현재 특허 출원이 진행된 상태이다. 회사에 따르면 해조류 오일 추출 시스템은 해조류 오일을 더욱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해조류의 오일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45입방미터의 오일 추출 공정에서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은 대략 26kW로서 50%의 해조류 페이스트를 오일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미세 조류는 높은 에너지 수율을 달성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몇몇 해조류는 전체 무게의 50%를 차지하는 높은 오일 성분 함유량, 매우 빠른 성장 속도 때문에 바이오디젤 생산에 이론적으로 적합하다.

알게링크사의 최고책임자인 마르코 반데 벤(Marco van de Ven)은 몇 가지 복합 물질들은 베타 카로텐, 아스타산틴과 같은 영양 공급, 비타민, 산화 방지제 등으로서 높은 관심을 받아 왔으며 식품 산업계에서 매우 중요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해조류 페이스트는 의약품의 지지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http://www.renewableenergy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