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편지에서 언급된 '상향 평준화' 패치가 적용 되면서 많은 빌드가 숨통이 트였습니다. 근접과 원소 등 상대적으로 약체였던 빌드의 수준이 어느 정도 올라오면서 특유의 쏠림 현상이 많이 완화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공허의 틈 공략 밸런스도 꽤 잡힌 모습입니다.

공략도 더 수월해졌습니다. 90레벨 허수아비 기준 DPS 200만 정도면 명세 점수 7,500 달성이 어렵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번 주는 첫 주차 로테이션 보스가 다시 등장했는데요. 스킬 상향과 함께 더 성장한 많은 룬 헌터로 하여금 복수의 칼날을 선보일 아주 좋은 기회입니다.

▲ 이번 로테이션은 화염/독 저항력이 중요하므로 부족한 수치는 위 유물 방어구로 메꿔보세요


수정동굴 - 불커스, 에치디나

두 보스 크리처의 점프 공격만 주의하면 1,500점 달성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냉기 저항이 낮을 시 불커스 공격에 빙결될 수 있다는 점만 주의하면 오히려 죽는 것이 더 어려울 정도네요. 정의의 함성이 없다면 1,500점 구간 돌파 시 비약을 활용하면 됩니다.

※ 추천 비약 : 냉기 상태 이상 면역 비약

▲ 불커스의 3연속 대시 공격 후 6방향에 퍼지는 냉기 패턴만 잘 대응하면 쉽습니다


오래된 하수도 - 되살아난 심문관 콴, 라말다의 가지

1,500점 구간에서 간혹 급사하는 이유는 콴과 가지의 연타 공격 패턴 때문입니다. 전투가 시작되면 6시 방향으로 진입하여 콴과 가지를 잘 모아놓고, 지뢰를 피하면서 꾸준히 사과를 깎듯이 묻딜을 넣어주면 연타 공격을 어렵지 않게 피할 수 있습니다.

콴의 기를 모아 방출하는 패턴은 콴이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12, 3, 6, 9시 방향이 안전 범위입니다. 이펙트는 일직선상으로 매우 좁은 범위처럼 보이는데요. 실제 피격 범위는 더 넓기 때문에 콴과 가까울수록 급사할 확률이 더 높아지므로 근접 빌드는 생각한 것보다 더 넉넉하게 피해야 안전합니다.

※ 추천 비약 : 이동 속도 증가 비약

▲ 아직 8티어 무지개 카드를 버리고 있었다면 이번 기회에 숙달되어 보세요


버려진 땅굴 - 거대 바위벌레 x3

① 추격하는 거대 바위벌레 : #돌진 #일직선상 좁고 긴 범위 꿍
② 분노하는 거대 바위벌레 : #전방 넓은 범위(180°) 꿍
③ 소환하는 거대 바위벌레 : #보호막 #쫄소환 #기절

하향 조정되기 전에도 쉬웠던 보스 크리처인 만큼, 지금으로써는 보너스 스테이지나 마찬가지죠. 소환은 자유롭게 놔두고 추격과 분노를 잘 모아 처리하면 됩니다. 쫄 공격에 피격되면 기절될 수 있으니 지속적인 무빙이 필요합니다. 광폭화 시간이 지나도 소환되는 쫄 공격은 공격력 증폭이 이뤄지지 않으니 3분 내 추격, 분노만 마무리하면 클리어한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 추천 비약 : 물리 상태이상 면역 비약

▲ 추격하는 거대 바위벌레 공격만 잘 피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전쟁터 - 시그루 x3

① 휘몰아치는 시그루 : #5연발 부메랑 화염구
② 분노하는 시그루 : #일직선상 번개 #속박
③ 회복하는 시그루 : #보호막 #회복

슈팅 게임에 능하다면 크게 어렵지 않지만, 화염구를 피하려다 번개에 맞아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투 시작 시 휘몰아까지 애드를 낸 후 시작 위치로 돌아왔다가 2시 방향으로 이동하다 보면 휘몰아와 분로를 한 곳에 잘 뭉칠 수 있습니다.

보통 번개는 신경 쓰지 않고 휘몰아의 5연발 부메랑 화염구만 집중해서 피하는 방법이 더 쉬운 편에 속합니다. 화염 저항이 높으면 화염구의 피해가 크지 않습니다. 번개에 피격되면 속박되므로 가급적 맞지 않아야 하며, 피해량 자체는 번개가 더 위협적이므로 사과 깎는 무빙 시 분노를 기준으로 돌고, 분노로부터 멀어질 때 일직선상으로 거리를 벌리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추천 비약 : 번개 상태이상 면역 비약

▲ 사실 화염 저항과 번개 저항만 잘 갖추면 맞아 가면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무너진 성좌 - 광휘의 세례자 x3

① 저격하는 광휘의 세례자 : #독 바닥 #최대 3개 #구더기
② 분노하는 광휘의 세례자 : #빨간 바닥 #독 폭발 #보호막
③ 휘몰아치는 광휘의 세례자 : #고무고무 공격

첫 주 차에 당한 수모를 갚아 주려면 독 저항력 75%가 필수입니다. 저항력이 부족하다면 앞서 설명한 네메라의 견갑 등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전투 시작 시 왼쪽으로 진입 후 12시 → 2시 방향으로 무빙하여 독 폭발과 바닥을 유도한 뒤에 공격 기술을 활용하여 휘몰아, 분노에게 최대한 많은 딜을 쏟아붓고 시작해야 수월합니다.

독 저항력 75%를 맞췄음에도 급사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3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무빙을 크게 하다가 휘몰아의 고무고무 공격에 사망, ②폭발 타이밍을 헷갈려 빨간 바닥에 사망, ③독 바닥을 지나갈 때 지나가는 구더기에 의해 어이없게 사망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구더기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겠지만, 독 바닥을 지나갈 때는 항상 구더기를 피해서 지나가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바닥이 난잡하기 때문에 맵을 크게 활용해야 합니다. 특히, 근접 딜러는 휘몰아와 분노에 붙을 각이 나오지 않는다면 안전하게 빠져 바깥으로 독 바닥과 독 폭발을 유도한 후 재진입해야 안전합니다. 이때 휘몰아의 고무고무 공격에 피격될 위험이 커지므로 시그루의 번개 공격처럼 원을 그리며 빠지거나 이동기를 연속해서 사용하도록 합니다.

빨간 바닥은 약 2초 후에 폭발하기 때문에 여러 이펙트가 겹치면서 판단력을 흐트려 놓습니다. 지나간 자리와 이동할 동선에 바닥이 겹칠 때가 가장 위험한데요. 확실하게 해당 구역에서 멀리 벗어나 바깥쪽으로 독 폭발, 독 바닥을 유도한 후에 다시 진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딜로스가 크더라도 생존이 우선입니까요.

마지막으로 독 바닥은 최대 3개까지 유지됩니다. 3번째 독 바닥이 깔리면 1번째 독 바닥이 제거되는데요. 이를 잘 기억하면 저격만 남아 광폭화가 되었을 때 독 바닥을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구더기는 광폭화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요약하면 주변이 난잡하면 확실하게 빠져 바깥쪽으로 독 바닥, 독 폭발을 유도하고 다시 진입 진입한다는 전제하에 분노를 주력으로 휘몰아도 함께 공격해야 합니다. 분노의 보호막을 깨트리지 못하면 바닥이 더 난잡해지고 더 자주 바깥으로 빠지게 되어 위험한 상황이 더 자주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 추천 비약 : 이동 속도 증가 비약, 피해 증가/증폭 비약, 공격 속도 증가/증폭 비약

▲ 위 상황에서는 빠지면서 좌우로 이동기를 써야 고무고무에 피격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