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은 출시한 지 20년이 넘은 카드 게임이다. 역사가 긴 만큼 공식 용어 외에 유저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언어들도 많은데, 마스터 듀얼 출시 후 새로 시작한 유저들은 해당 용어를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간단하게 유저들이 사용하는 비공식 용어들을 정리해봤다.



■ 유저들이 사용하는 용어 정리!

◎ 패 트랩(핸드 트랩)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들을 말한다.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하루 우라라, 증식의 G를 전부 패 트랩이라고 하며 핸드 트랩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패 트랩 카드 - 증식의 G, 하루 우라라, 이펙트 뵐러, 저택 와라시, D.D 크로우



◎ 턴제한

턴 제약의 줄임말으로, 한 턴에 효과를 여러 번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제약이다. "1턴에 1번", "1턴에 1장"같은 카드의 문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서치

특정 카드를 덱에서 가져오는 행위를 '서치'라고 한다. 대표적인 카드는 '증원'으로 덱에서 전사족 몬스터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원하는 카드를 덱에서 바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서치를 할 수 있는 카드는 어떤 덱이든 투입한다.

대표적인 서치 카드 - 증원, E HERO 에어맨, 이멀전시 사이버, 염무 - 천기



▲ 서치 카드는 오래된 카드라도 계속 쓰인다



◎ 샐비지

묘지에서 몬스터 카드를 패로 가져오는 행동을 뜻한다. 샐비지는 유희왕의 카드 이름이기도 한데, 자신 묘지의 공격력 1500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 2장을 패로 가져오는 효과를 갖고 있어 자주 쓰인 카드다. 이때 샐비지를 사용하던 유저들이 '묘지에서 카드를 패로 가져오는 효과를 가진 카드'들을 샐비지라고 부르기 시작해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샐비지 카드 예시 - 전사의 생환, AI들링 본, 다크 버스트



◎ 리쿠르트

파괴되면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뜻한다. 피라미드 터틀, 콜링 노바, 샤이닝 엔젤, 가면룡 등이 리쿠르트 몬스터에 속한다. 현재 리쿠르트 몬스터는 수동적인 카드라는 이유로 많이 쓰이진 않는다.

리쿠르트 카드 예시 - 콜링 노바, 거대쥐, 피라미트 터틀, 가면룡, UFO 터틀



◎ 내성

어떠한 효과에 대한 처리를 무시하는 효과를 말한다. 전투 파괴를 당하지 않는 효과, 효과 파괴를 당하지 않는 효과, 어떠한 효과도 받지 않는 효과 등이 이것에 속한다.

전투 파괴 내성 몬스터 예시 - 마슈마론
효과 파괴 내성 몬스터 예시 - FNo.0 미래용황 호프
효과 내성 몬스터 예시 - 독사신 베노미너거



◎ 사출

자신의 몬스터를 릴리스해 상대에게 대미지를 주는 행동을 말한다. 대표적인 카드로 중장갑 거북, 캐논 솔저, 다크 다이브 봄버 등이 있다.


▲ 한때는 금지 카드였던 다크 다이브 봄버, 현재는 너프당해 옛날과 같은 악랄함은 볼 수 없다



◎ 유언계

유언은 하스스톤으로 치면 '죽음의 메아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파괴되었을 때 발동되는 효과를 가진 카드들을 지칭한다. 리쿠르트 몬스터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 초동

첫 턴에 나오는 전개의 결과물을 말한다. 다른 말로 집 짓기라고도 부르는데, 집 짓기라는 말그대로 상대를 플레이를 방해하는 몬스터를 소환해 자신의 필드를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 목적이다.


◎ 어드밴티지

주로 카드의 교환비를 비교할 때 사용하는 단어다. 예를 들어 카드 1장으로 상대의 몬스터를 2장 제거했다면 교환비가 좋으니 어드밴티지라 부르고 카드 2장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제거하면 디스 어드밴티지라고 부른다. 어드밴티지는 짧게 '아드'라고 많이 부른다.


◎ 퍼미션

몬스터 효과, 마법, 함정의 발동을 무효로 해 상대를 견제하는 플레이를 통칭한다. 대표적인 예로 신의 심판, 신의 경고, 얼티미트 디클레어러가 있다.


▲ 드라이트론의 주력 퍼미션 몬스터인 얼티미트 디클레어러



◎ 한데스

핸드 데스의 일본식 줄임말로 한국에서도 쓰이고 있는 용어로 상대의 패를 묘지로 버려 플레이를 방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활용했던 덱은 태엽, 리추어, 불꽃 성기사 덱이 있다.


◎ 비트

화력이 좋은 몬스터로 전투하는 덱을 말한다. 하스스톤식으로 말하면 '템포 덱'이다. 게임 속도가 느리던 옛날에는 자주 보이던 테마지만, 현재는 게임이 빨라지면서 많이 쓰이지 않는 타입이다.


◎ 전개덱

초동이 강력한 덱을 말한다. 상대를 방해하는 퍼미션, 견제 카드들을 최대한 전개해 상대의 행동을 봉쇄하는 것이 목적이다. 마스터 듀얼에서 현재 많이 쓰이는 덱인 '드라이트론', '전뇌계', 'LL 트라이 브리게이드'가 이에 속한다.


◎ 함떡

'함정 떡칠'의 줄임말로 함정 카드를 다수 투입하는 형식의 덱을 말한다. 엘드리치 덱, 서브테러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케어

특정한 효과에 대해 대비하는 행동을 '케어한다'라고 표현한다. 현재는 패 트랩 케어, 무한포영 케어, 니비루 케어가 많이 쓰이는데, 패 트랩 케어는 무덤의 지명자와 말살의 지명자 등을 사용해 할 수 있다.


▲ 패 트랩 케어 카드인 무덤의 지명자는 필수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