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8일 CBT 를 실시하며 첫 선을 보인 '바로크온라인'은 최대 90명이 입장 가능한 PVP전용 던전과 화려한 전투를 선보이며 등장했다. 4월 중순 정식 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바로크온라인'을 미리 알아보자.

[ ▲ 바로크 온라인 ]


'바로크온라인'은 ‘인간 VS 신’의 대립을 그린 자체 기획 판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인간이 ‘벨파스트 공국’에 집결하여 언제 닥쳐 올지 모르는 죽음의 공포 앞에 저항하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신에게 저항하는 ‘인간’이 되어 게임 퀘스트 진행을 통해 '바로크온라인'의 스토리를 자세히 알아가게 된다.

'바로크온라인'은 정통 MMORPG를 표방하여 경험치 판매 방식이나 접속만 해도 경험치를 보상하는 웹게임의 스타일을 탈피하고 순수 플레이를 통한 획득 방식을 추구한다. 플레이어는 타 웹게임에 비해 자신의 캐릭터에 더욱 애착을 가질 수 있다.

[ ▲ 전체 세계 지도]


'바로크온라인'은 투사, 무사, 궁사, 법사 중 각 캐릭터에 따라 고유의 스킬이 존재하고 플레이어는 35레벨에 도달하면 환생 시스템을 통해 각각 3개의 클래스로 전직을 할 수 있다. 전직을 하면 캐릭터의 기초 능력치 상승 및 특수 스킬이 부여된다. 특히, 환생을 할 때마다 새로운 직업의 확장 개념이 타 MMORPG와 차별을 보여준다.

필드는 물론 다양한 종류의 던전과 레이드, 길드전 등에서 각각 다른 특성의 직업을 가진 플레이어들은 협력을 통해 스릴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 ▲ 캐릭터 생성창]

[ ▲ 내 캐릭터 선택창]


캐릭터를 선택했다면 이제 신에게 맞설 전투만이 남았다. '바로크온라인'의 전투 시스템은 크게 인스턴트 던전, 레이드 등 PVE와 전장, 영토전 등의 PVP로 나뉜다.

각 레벨 구간별 존재하는 인스턴트 던전은 3단계의 난이도를 선택하여 진입할 수 있다. 단, 아이템 보상이 달라짐으로 파티원을 모집하여 고난이도 던전을 공략, 상위 아이템을 획득 하는게 유리하다. 특히, 각 던전마다 클리어 타임이 존재해 이에 따른 추가 보상은 물론 최단시간 클리어 시, 해당 던전의 공략왕이라는 명성도 떨칠 수 있으니 일석이조!

또한 필드에 출현하는 레이드 몬스터는 공고리스트UI를 통해 리젠 시간과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레이드 몬스터는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최소 2개 파티 이상의 연합을 통해 치밀한 전략과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파티 연합 시, 각 파티별 누적 데미지 순서대로 전리품이 획득된다.

[ ▲ 인스턴스 던전]


PVP 시스템으로는 필드, 전장, 영토전이 있다. 각 필드(사냥터)는 초보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PK지역과 NON PK 지역을 구분하는 반면 개인, 길드, 파티, 아레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전 및 단체전 등 다양한 PVP시스템을 즐길 수 있다. 아레나 시스템의 경우 최대 90명까지 입장하는 미션용PVP전용 던전으로 흥미진진한 대규모 전쟁을 즐길 수 있다.

다만, 무분별한 학살을 방지하기 위해 필드의 PK지역에서 PK모드가 아닌 평화모드의 플레이어를 공격하여 사망시킬 경우 카오풀 수치가 증가한다. 이 수치에 따라 본인이 사망할 경우 소지한 아이템의 일부를 랜덤하게 떨어뜨릴 수 있으니 주의하자.

[ ▲ 최대 90명, PVP전용 던전 - 아레나]


'바로크온라인'에서는 ‘펫’이나 ‘탈 것’, ‘날개’를 통해 전투능력과 이동속도를 대폭 상승 시킬 수 있다. ‘펫’은 필드의 모든 몬스터를 포획 가능하며 상점에서도 구매 할 수 있지만 상점 펫만이 4단계의 진화를 통해 더욱 강력한 전투 펫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또한 ‘탈 것’과 ‘날개’는 각각 6단계, 7단계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은 탑승과 이동속도 기능을 넘어서 또 하나의 전투 아이템으로 특화되어 있다.

특히 '바로크온라인'의 ‘장비’시스템은 낮은 레벨에 착용한 장비를 이용하여 상위레벨 장비로 제작과 등급 업그레이드까지 할 수 있어 레벨업 할 때마다 장비 아이템을 교체해야 하는 플레이어의 부담감을 없애 기존게임과 차별된다.

[ ▲ 펫 / 탈것]

[ ▲ 필드 전투 장면]


'바로크온라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홈페이지 http://ba.tntgam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