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시작된 이후 첫 국회 게임 토론회에서 e스포츠 산업 진흥 방안이 논의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 공약으로 내세운 e스포츠 지역연고제가 토론회 화두로 떠올랐다. 당시 윤 후보자는 지역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지역연고제를 내세웠다. 관련해 기존 프로스포츠를 모델로 한 지역연고제는 e스포츠 산업에 맞지 않다는 반대 의견도 나왔다.

토론회에 참석한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은 "정부는 e스포츠 경기장 건립, 전문가 교육을 통해 e스포츠가 새로운 도전과 꿈의 무대가 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철학 한국e스포츠협회 사무총장은 "농구나 축구 같은 스포츠를 게임으로 만들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게임을 스포츠화한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라며 "최근 5년 사이 전 세계 e스포츠 산업이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우리나라는 e스포츠 종주국으로서 산업 성장의 과실을 따고 있는지 생각하면 아쉬운 측면이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글로벌 자본시장 논리로 우리나라는 추월당하고 있다"라며 "한국 e스포츠의 글로벌화를 위한 전략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e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지역 경기장 건립에 대해 김 총장은 "이미 지금 경기장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본다"며 "해외에서 우리나라 e스포츠 선수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PC방을 최고의 유소년 시스템으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미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며 "e스포츠의 엘리트 체육화, 생활 체육화를 위해서는 학교 e스포츠를 지원해야 한다"라고 제시했다.

예로 축구, 야구처럼 학생 때부터 e스포츠를 지원해야 산업이 공고해진다는 설명이다. 연예도 예술고등학교, 예술대학교라는 학교 시스템이 산업을 지탱한다. 김 총장은 지역연고제보다 학교 e스포츠가 더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총장은 "e스포츠 진흥을 위해선 근간이 될 학교 e스포츠를 우선 지원하고, 이후 엘리트 e스포츠와 생활 e스포츠로 나아가야 한다"라며 "지역연고제에 앞서 학교 e스포츠를 논의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정윤재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장은 "e스포츠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김철학 총장 말처럼 유소년 육성 시스템, 학교 e스포츠, 연고제 등 필요하다"며 "재원은 한정되어 있기에 무엇을 우선으로 할지 함께 고민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우리나라가 e스포츠 종주국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법정단체 출범 필요성도 제기됐다. 국내 산업에 한정하면 지금의 협회로도 충분할 수 있지만, 국가 단위로 경쟁할 때는 공적 지원이 필요해서다. 공적 영역에서는 지금의 협회가 사단법인이기에 자격의 적절성 여부가 논의될 수 있다.

김철학 총장은 "현재 시스템으론 아쉬움이 있어 법정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 국내 e스포츠 산업 발전은 팬과 기업 등 민간이 주도적으로 이룬 게 많기에, 공적 지원은 서로 역할 분담이 필요한 거 같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중국 사례를 들었다. 중국의 e스포츠 단체는 텐센트, 알리바바 등의 지원을 받고 공적 지원을 받아 아시안게임에서 종목 선정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김 총장은 "국내 e스포츠 산업계가 그동안 공적 영역과 협업하는 방법에 아쉬움이 있었다"며 적절한 방안을 찾길 바랐다.

정윤재 과장은 "한국e스포츠협회가 대한체육회 정회원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e스포츠를 위한 법정단체 논의라는 새로운 이슈는 어떤 의미를 가질지 고민해야 한다"며 "개인적으론 e스포츠와 기존 스포츠의 경계가 허물어질 때, 그 허물어짐이 e스포츠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e스포츠 정식 단체가 출범하면 기존 일반 회계 지원에서 공적 기금 투입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생기기에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