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드 공헌 포인트는 라스터와의 동행으로 얻을 수 있는 포인트로
라스터의 강화 및 길드 공헌 포인트 조합, 마이하우스 꾸미기에 사용됩니다.


1. 길드 공헌 포인트의 획득 방법


개념 정리

1.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라면 라스터의 파티 참가 여부에 상관 없이 길드 공헌 포인트 획득
2. 길드 공헌 포인트는 퀘스트 내에서 소비한 '분' 만큼 획득 (EX : 34분 18초 -> 34GP)
3. 퀘스트 실패, 리타이어 때는 획득 할 수 없다. 퀘스트 클리어, 서브 완료와 같은 경우에 획득 가능
4. 획득한 GP 만큼 자신이 대여한 라스터의 주인에게도 전송

 

문제1> 리프스키슈퍼리프스킹에게 라스터를 대여 받았습니다.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로 설정하고 나서,
리프스키 혼자 솔플로 나나를 40분 28초 만에 토벌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다음 중 올바른 말을 하고 있지 않은 사람은?

A : 40분 28초를 지냈지만 초 단위는 버리니까 40분으로 인정 될거야.
B : 40분이면 40 길드 공헌 포인트로 환산 되겠네?
C : 리프스키만 받는 게 아니라 대여한 라스터 주인인 슈퍼리프스킹도 받게 되겠지
D : 그럼 리프스키슈퍼리프스킹은 각각 40 길드 공헌 포인트씩 받겠군?
E : 하지만, 나나는 솔플 몹이라서 라스터가 참가하지 않았으니까 길드 공헌 포인트는 받을 수 없어

정답은 E. 라스터의 참가 여부와 상관 없이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라면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원수 제한이 있다던지, 라스터의 주인과 파티플레이를 한다던지, 남은 자리수 보다 대기 중인 라스터 수가 많아서
랜덤으로 선발 되어 가게 되는데, 선발 되지 못해 동행을 하지 못했다던지에 상관 없이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라면 길드 공헌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2> 리프스키가 기고만장해져서 라스터와 함께 벨큐로스를 잡으러 갔으나 3다이를 하고 말았습니다.
리프스키가 11분 21초에서 결국 3다이를 하고 말았다면 리프스키가 얻을 수 있는 길드 공헌 포인트는?

정답은 0. 퀘스트 실패 혹은 리타이어를 할 경우엔 길드 공헌 포인트가 지급 되지 않습니다.

또한 '라스터와 동행하지 않는다' 상태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길드 공헌 포인트가 지급 되지 않습니다.

 

문제3> 리프스키가 대여한 라스터 주인 슈퍼리프스킹을 오랜만에 만났습니다.
둘은 반가운 마음에 함께 아크라·바심을 잡으러 갔습니다. 리프스키는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였지만,
자신의 라스터 주인인 슈퍼리프스킹과 함께 퀘스트에 갔기 때문에 라스터와 동행할 수 없었고,
슈퍼리프스킹은 자신이 대여한 라스터인 하이퍼스키와 함께 동행하게 되었습니다.
리프스키, 슈퍼리프스킹, 그리고 라스터 하이퍼스키는 결국 6분 42초만에 바심 토벌에 성공했네요.
이 경우 두 사람이 각각 얻는 길드 공헌 포인트는?

정답은 리프스키는 6, 슈퍼리프스킹은 12.

리프스키는 자신이 대여한 라스터의 주인과 동행하였기 때문에 라스터와 동행할 수는 없었지만,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였으므로 6의 길드 공헌 포인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대여한 라스터의 주인인 슈퍼리프스킹에게도 당연히 6의 길드 공헌 포인트가 전달되었지요.
슈퍼리프스킹은 또 다른 라스터인 하이퍼스키와 동행했기 때문에 6의 길드 공헌 포인트를 획득했고,
결국 리프스키에게 받은 포인트와 자신이 얻은 포인트를 합쳐 12 길드 공헌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문제4> 리프스키슈퍼리프스킹의 소개로 하이퍼스키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 역시 슈퍼리프스킹의 라스터를 대여한 상태였습니다. 셋이서 라스터를 동행하여 강종 키린을 잡으러 가려 했지만,
라스터 주인들이 전부 존재 하였기에 어떠한 라스터도 동행 하지 못했네요. 셋이서 기둥 하메로 키린을 5분 38초 만에
토벌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 경우 세 사람이 각각 얻는 길드 공헌 포인트는?

정답은 리프스키는 5, 슈퍼리프스킹은 15, 하이퍼스키는 10.

리프스키는 위와 마찬가지로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였으므로 라스터 동행 여부와 관계 없이 5 길드 공헌 포인트를
획득하였고, 대여한 라스터의 주인 슈퍼리프스킹에게 5의 길드 공헌 포인트가 전해졌습니다.
슈퍼리프스킹도 역시 동행 여부와 관계 없이 5의 길드 공헌 포인트를 획득하였고, 대여 라스터의 주인 하이퍼스키에게도
5의 길드 공헌 포인트가 전해졌습니다. 하이퍼스키도 마찬가지로 5의 길드 공헌 포인트를 획득 했고,
대여한 라스터의 주인 슈퍼리프스킹에게도 5의 길드 공헌 포인트가 전해졌습니다.


                                             [5 전달]
리프스키 --------> 슈퍼리프스킹 --------> 하이퍼스키
[5 획득] [5 전달]      [5 획득]   <--------   [5 획득]
                                             [5 전달]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되어, 리프스키는 단순 획득 5 포인트, 슈퍼리프스킹은 단순 획득 5포인트 + 대여료 10 포인트,
하이퍼스키는 단순 획득 5포인트 + 대여료 5 포인트를 받게 되는 것이지요.

만약 자신의 라스터를 대여해간 3명과 같이 파티플레이를 할 경우 통상의 4배에 달하는 길드 공헌 포인트를 얻는거죠.

 

문제5> 슈퍼리프스킹은 알바하러 접속 종료하고 리프스키하이퍼스키 둘 만이 남게 되었습니다.
둘이서 파리아푸리아를 잡으러 갔습니다. 이 상황에 대해 올바른 말을 하는 사람은?

A : 슈퍼리프스킹이 비접속 상태니까 라스터가 동행하지 못할거야.
B : 와 그럼 슈퍼리프스킹 2명이 참가해서 4인 파티가 되겠네?
C : 당연히 둘 중 한 명의 라스터만 참가하게 되겠지...

정답은 C. 라스터도 역시 중복은 되지 않습니다. 둘 중 한 명만 라스터가 동행하게 되어 3인 파티가 되게 됩니다.

 

2. 길드 공헌 포인트의 이용

길드 공헌 포인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라스터의 장비 제한 해제
둘째, 오늘의 공헌 포인트 조합
셋째, 마이하우스 꾸미기

마이하우스 꾸미기야 꾸미기니 넘어가도록 하고,

 

먼저, 라스터의 장비 제한 해제를 보자면, 길드 공헌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무기 종류 해방이 있습니다.

라스터 접수원에게 몬스터 수렵을 의뢰 받고, 해당 몬스터를 수렵 하고 오면 됩니다.
[하위, 상위, 변종 구분 없음. 단, 아종은 구별됨]
다시 라스터 접수원에게 돌아와 해방 포인트로 무기 종류를 해방하면 됩니다.
이 후에 수렵 몬스터 목록과 해방 가능 무기 목록이 추가 됩니다.

예를 들자면, 수렵 대상 '파리아푸리아' 를 수렵하기로 정한 후에 아무 퀘스트에서나 파리아푸리아를 수렵한 후
돌아오면 수렵 대상 수렵이 완료 되고 해방 가능 장비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방 할 수 있다.
이렇게 한 번 해방을 하게 되면 수렵 대상 '파리아푸리아' 는 이미 충족된 상태로 다시 수렵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지만,
새로운 수렵 대상이 추가된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해방 가능 장비가 추가되고, 모든 수렵 대상을 수렵하게 되면
비로소 모든 종류의 장비를 해방할 수 있게 된다. [HR 시련과 비슷한 이치다.]

중요한 건 무기 종류가 아니라 장비 제한 레벨인데...
이 쪽은 길드 공헌 포인트를 이용해 해금 할 수 있습니다.
LV2 로 해금하려면 200 포인트, LV3 로 해금하려면 300 포인트, LV5 로 해금하려면 500 포인트...
이런식으로 지불하게 되며, 전단계 레벨을 해금하지 않으면 윗단계 레벨을 해금할 수 없습니다. [즉, 뛰어넘기 불가능]
순차적으로 해금하며 올라가면 됩니다. 6.0 의 경우 LV9 까지 해금이 가능합니다.

해금은 무기와 방어구를 별개로 해금하게 되므로, 하나를 먼저 원하는 만큼 해금할 것인지...
양쪽 차례로 해금해 나갈 것인지는 순전히 자기 마음 입니다.

해금해 나갈 수록 더 좋은 장비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며, 미라발칸+메라루 가제트의 세팅이 진리로 쳐집니다.
[미라발칸 : 방어구LV7 해금 시 장비 가능 / 메라루 가제트 : 무기LV8 해금 시 장비 가능]
필요 포인트는 2700 + 3800 = 6500포인트... 퀘스트 내 플레이 시간 108시간 20분 소비 시 가능합니다. [아이고...]

 

다음은 오늘의 공헌 포인트 조합으로, 매일 정오 12시를 기준으로 바뀌며, 기존의 조합법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고급 란포스 비늘과 같이 일반적인 고급 소재를 조합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재료 외에 길드 공헌 포인트를
요구하는 조합법
입니다. 가끔 물욕을 구제해줄 조합식이 등장할지도?

그 외에 새로 추가된 특별 조합이 존재하는데, 대격운의 부적 제작과 같은 특별한 조합이 가능합니다.

 

이 것으로 설명을 마칩니다. ㅇ>-<

PS. 써놓고 보니 이게 뭔 내용이여?

 

요점 정리

길드 공헌 포인트는 '라스터와 동행한다' 상태면 라스터 참가여부 상관 없이 쌓인다.
포인트는 퀘스트 내에서 소비한 시간을 초 단위를 버린 분 단위로 계산 하여 1분당 1의 포인트로 지급해준다.
단, 퀘스트 실패 및 리타이어 시에는 포인트를 지급해주지 않는다.
라스터 대여자가 포인트를 얻을 때, 라스터의 주인에게도 동일한 포인트가 전달된다.
한 사람이 여러명에게 라스터를 대여해줄 수 있고 [최대 3인]
서로 상대의 라스터를 대여 받는 라스터 교환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라스터의 장비 종류 제한은 수렵 대상을 수렵하여 얻는 해방 포인트로 해방 시킨다.
해방 시킬 때 마다 수렵 대상과 해방 가능 장비 종류가 추가 된다.
길드 공헌 포인트를 사용하여 무기LV 이나 방어구LV를 올릴 수 있다.
LV이 오르면 더 좋은 무기 및 방어구를 라스터가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무기와 방어구는 별개의 레벨을 지니며, LV2 는 200, LV3 은 300, LV5는 500... 이런 식으로 포인트를 소모한다.

또한 포인트를 사용하여 매일 정오 12시마다 갱신되는 오늘의 공헌 포인트 조합을 시도할 수 있다.
기존의 조합법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개념의 조합법으로 고급 소재를 조합으로 만드는 조합법도 존재한다.

 

출처 : http://members.mh-frontier.jp/manual/rusta/party/index.html#03

 

패치 코 앞이라 땡겨왔습니다. 라스터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자 작성되었습니다.
너무 일찍 써서 망한 글 심폐소생술 중 ㅠㅠ

 

대충 중요한 건...

라스터에게 메라루 가제트 / 미라발칸 세트를 맞춰주기 위해선 필요 포인트는 2700 + 3800 = 6500포인트
퀘스트 내 플레이 시간 108시간 20분 소비 시 가능하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