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은 대항해시대의 중추, 핵심에 해당하는 컨텐츠입니다.

하지만 강화, 그레이드 등등의 개념과

각종 조선 관련 용어들로 인해

초보분들이 배를 구하실때 다소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를 위해, 초보자 분들을 위한

중요한 선박 관련 개념들을 정리하고 가볼까 합니다.

 

이 글은, 배를 만들 수준에 다다르신 조선공 유저분들보단,

아무래도 배를 구매해야하는 입장인 초보 유저분들을 대상으로 한 글입니다.

 

 

1. 선박이 만들어지는 과정

 

비록 본인이 선박을 직접 만들 정도는 안 되더라도,

선박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는 알아야 합니다.

 

우선 선박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선박 본체의 획득/제작

 2. 선박 그레이드 작업

 3. 선박의 강화

 4. 선박의 전용함 개조

 

선박 본체는 획득되거나 구입/제작됩니다.

선박 구입은 조선소주인으로부터 이루어집니다. 흔히 말하는 상점표 선박이죠.

모든 RPG에서 그렇듯이, 상점표 선박은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안쓰게됩니다. 후지기 때문이죠.

 

선박은 또한 제작되기도 합니다.

이 과정을 "선박 건조"라 하죠. 방법은 2가지 입니다.

 

 * 일반 건조

   >> 재료를 쓰지 않고, 순수하게 배 자체를 건조하는 방식입니다.

   >> 특수 건조보다 저렴하고 쉬우나 성능이 딸리기에 저렙 선박에만 주로 쓰입니다.

 

 * 특수 건조

   >> 재료를 사용해, "강화 1강"과 동시에 선박을 건조하는 방식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선박 강화" 부분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선박은 "증서"를 통해 획득되기도 합니다.

학교 졸업 시 제공되는 선박이 이에 해당되며,

모든 캐쉬배들 또한 증서로만 획득됩니다. (트레저 박스로 당첨 시 증서가 제공됩니다)

 

일단 만들어진 선박은, 이제 그레이드 작업에 들어가게 됩니다.

물론 저렙 선박은 생략되는게 보통입니다.

그 후엔 선박 강화 작업에 들어가게 되죠.

역시 생략되기도 하구요.

그레이드(글드)와 강화에 관련된 내용은 조금 뒤에 자세히 설명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흔한 RPG의 템 강화/보석 박기/마법부여 같은 개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2. 선박의 건조

 

선박이 건조될 때 결정되는 성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박의 재질

  >> 선박의 내구도와 돛 성능을 결정하는 재질을 선택합니다.

  >> 특수 조선의 경우, "선체"에 따라 재질이 자동 결정되며 변경 불가능합니다.

     (특수 조선은, 건조 시 "선체"를 비롯한 각종 재료들이 필요합니다)

 

* 선박의 창고량

   >> 선박의 창고를 결정합니다. 창고 = 적재량 + 선실 + 포실

   >> 선박의 창고는, 기본값에서 늘이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 선박의 창고를 한계치(20%)보다 더 크게 조절할 시 선박 성능이 감소합니다. (최대 25%. 만랭(20랭) 기준)

      - 25적업: 창고 25% 증가. 창고는 최대치이나 항해 성능이 크게 감소합니다.

      - 20적업: 창고 20% 증가. 항해 성능을 줄이지 않는 선에서 창고를 최대로 늘립니다.

      - 20적다: 창고 20% 감소. 항해 성능을 줄이지 않는 선에서 창고를 최소로 합니다.

      - 25적다: 창고 25% 감소. 항해 성능이 크게 감소하나 창고는 최소가 됩니다.

             ㄴ 창고를 최소화하는 이유: 창고가 낮을수록 선박의 가속도/최고 속도가 빨라집니다.

 

    >> 창고 변경으로 깎인 항해 성능은 "선박 강화"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즉, 25적업/적다시 선박 강화를 더 쎄게 함으로써 원래 수치를 회복 가능합니다.

    

    *** 25적다은 캐쉬 이동/탐험선 및 군함. 25적업은 캐쉬 쾌속운송선 및 따라가기 창고배에 쓰입니다.

    *** 20적다/적업은 조빌(캐쉬가 아닌 제작된 선박)선박에 주로 쓰입니다.

      >> 조빌 선박은 강화치가 낮아 25적업/적다시 페널티를 회복하기 힘들기 때문.

 

-------------------------------------------------------------------------------------------------------

3. 선박 강화

 

선박 정보 창을 보면, 중간부분에 ?/? (?는 숫자)로 표시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옆엔 '강화 성능'이라는 배 모양 아이콘이 있구요.그 아이콘을 누르면, 선박 강화에 관련된

요런 창이 나옵니다.

이 창이 바로 강화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창이며,

이전에 나온 ?/? 가, 최대 강화 한계치 중 몇번을 강화했냐에 대한 정보입니다.

가령, 3/6이라면, 최대 6번의 강화 중 3번을 현재 강화했다는 의미죠.

 

일단 선박 강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1. '특수 조선'을 통해 강화 대상의 배를 선택한다. (신규 건조시 선체를 선택하고 제작할 선박을 선택)

  2. 미리 준비한 조빌 재료(조인트빌드 재료)를 넣는다.

      - 각 조인트빌드마다 투입시 상승하는 선박 성능이 나와있습니다.

      - 리스본 조선소 앞 시퍼런 두루마기입고 단체로 앉아있는 그분들이 바로 조빌 재료 파시는 분들입니다.

  3. 적재량을 선택하고(강화 할 때마다 적재 변경 가능) 강화를 한다.

  4. 투입된 조인트빌드에 따라 선박 성능이 증가한다.

      - 성능의 증가는 실패, 평타, 대성공으로 구분.

      - 가령 내구도 20~40의 조인트빌드는, 실패시 20, 평타시 30, 대성공시 40이 증가하는 것.

      - 선박의 렙제가 높을수록 실패할 확률이 높음. (따라서 고렙 선박일수록 강화가 잘 되기 힘들죠)

 

<배에 색 입히는 법>

 **** 조인트빌드 재료 중 "xxx 선박재질"이 있는데, 이걸 넣으면 선박 색이 바뀝니다.

 **** xx 목재질은 속도가 가장 빠른 "티크"에 색을 입힌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xx 공용재질(금속재질)은 "철"보다 내구도가 높아지며 색을 입힙니다. 속도는 낮구요.

       >> 각국 목재질/공용재질은 4~5억정도, 야전목/금(검은색)은 40~50억 정도 합니다.

       >> 들어간 재질은 위 창에 보면 나옵니다.

       >> 특정 캐쉬배의 경우 기본적으로 특정 재질을 달고 나오며, 이 경우 표시는 안됩니다.

       >> "특수 조선"으로 배를 건조했을 시에도, "공용 xxxx 선체"를 쓰면 해당 국가의 공용 재질로 나옵니다.

 

이런 과정에 따라 선박이 강화되면,

그 선박이 얼마나 강화됬는지를, 위에 저 창으로 알 수 있습니다.

 

각 성능마다 수치 (+수치)로 표시되죠?

가령 내구도의 경우, 585( + 265)라 나와있는데,

이는, 강화 전 기본 내구도가 585이고, 강화를 통해 265가 증가했다는 의미입니다.

 

당연히 강화 역시 최대치가 있습니다.

강화의 최대 한계치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론 그레이드에 따라 소폭 증가하기도 합니다)

선박의 크기란, 보이는 그 크기가 아니라,

선박 정보에 선박 종류 옆 괄호 안에 쓰인 크기를 의미합니다.

참고로 대형선의 경우 표시상 구분은 안되지만 대형1, 대형2로 나뉘며 강화 한계치가 다릅니다.

 

위 창의 우측 하단을 보면, 주황색 바가 있고, 숫자로 215/215라 쓰여있죠?

이는 선박의 조타 숙련도를 의미하며,

쉽게 말해 "선박이 유저에게 얼마나 익숙해졌다"를 의미합니다.

 

조타 숙련도가 0이면, 강화를 얼마나 하던간에 강화 수치는 선박 성능에 반영이 안 됩니다.

선박이 강화된 상태에서, 항해를 통해 조타 숙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 만큼 강화 수치가 서서히 반영되기 시작하며

꽉 찰 무렵엔 강화가 완전히 반영됩니다.

 

조타 숙련도가 꽉 찬 선박이 아니면,

선박 강화에 나오는 초록색 작대기가 반영이 안 된 만큼 좀 더 옅게 표시됩니다.

반영이 되면 될수록 진한 초록색 바가 점차 옅은 바를 덮게 되며, 조숙(조타 숙련도)이 꽉 차면

완전히 진한 초록색 바로 나타납니다.

   >> 조타 숙련도는 항구를 들를 때마다 1씩 증가합니다. (거리 무관)

   >> 항해 중 조리/공예/주조/봉제/보관으로 생산 시 조금씩 증가합니다.

   >> 북미 개척도시의 "회계 장교"를 통해 60정도 증가 가능합니다. (하루에 1번, 보유한 모든 선박)

       (회계 장교는 없는 개척도시도 많습니다. 사전에 리스본에서 외치기로 회계 장교 있는 도시를 구해봅시다.)

 

이러한 강화에 관련된 용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 적업/적다처럼 많이 쓰이는 용어)

  - xx맥(=xxMAX) : xx(특정 항해 성능)가 최대로 강화되었다.

     (ex, 돛맥 = 가로/세로돛이 최대로 강화되었다)

  - 올맥 : 그 선박에 중요한 모든 항해 성능들이 최대로 강화되었다.

      >> 탐험선/쾌속운송선의 경우 돛과 선회, 내파

      >> 군함의 경우 내구, 돛, 선회, (내파), 장갑, (선실)

 

마지막으로, 재강화라는 게 있는데,

이는 그 선박의 주요 렙제를 4 증가시키는 대신,

강화 횟수를 1회 더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렙제란, 그 선박의 가장 높은 렙제)

 

저렙 선박이나 캐쉬배는 보통 2회 더 가능하며,

렙제 50대의 선박은 1회,

60대 이상은 왠만하면 재강화가 불가능합니다.

 

-------------------------------------------------------------------------------------------------------

4. 그레이드 (리빌드)

 

그레이드는, 선박 조합을 통해 올라가는, 선박의 또 다른 강화치입니다.

 

선박 조합이란, 모체가 되는 선박에, 재료가 되는 선박을 투입하는 것으로,

투입 시 확률적으로 그레이드가 1 올라갑니다.

 

 

까맣게 동그라미 친게 그레이드 관련 정보입니다.

숫자가 그레이드의 정도,

숫자 옆 괄호는 그레이드 강화에 적용될 선박의 종류,

아래 붉은 바는 그레이드 경험치입니다.

 

그레이드가 올라갈수록,

기본적으로 선박의 강화치가 조금씩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3G 전투함의 경우,

내구도가 40, 장갑이 4, 선실이 2 증가하네요.

6G의 경우엔 내구 90, 장갑 9, 선실 6, 선회/내파 1, 포실이 2 증가합니다.

 

선박 강화치의 소폭 증가는,

위에 언급된 선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종류는 총 6개,

탐험선, 운송선, 전투선, 고속전투선, 쾌속운송선, 무장상선 입니다. (범용함 제외)

각 경우마다 증가하는 종류는 차이가 있지만,

탐험선은 돛과 내파, 운송선은 창고, 전투함은 내구와 내파겠죠?

 

그레이드의 중요성이 이게 다가 아닙니다.

가장 중요하고, 사실상 그레이드의 의미인 "특수 강화"죠

 

검은 동그라미 부분이 바로 "특수 강화"입니다.

특수 강화란,

그레이드가 1G, 3G, 6G에 도달할 때 마다 하나씩 랜덤하게 추가로 붙는 특수한 강화로,

다양한 선박 성능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수 강화는 총 열 몇 가지가 있는데,

종류로 나누자면,

 

* 강화 계열: 내구강화, 세로강화, 가로강화, 선회강화, 내파강화, 장갑강화, 선실강화, 포실강화, 창고강화, 조력강화

     >> 위에 설명한 선박 강화 수치를 대폭 증가시키는 보너스.

     >> 물론 선박 강화의 일부인지라, 조빌 재료로 증가시킨 수치와 합한 수치가 최대치를 넘길 순 없습니다.

 

* 개조 계열: 백병함개조, 포함개조, 장갑함개조, 탐사선개조

     >> 특정 스킬을 선박 스킬로 달도록 해 주는 보너스. (선박 스킬 관련은 이후 설명)

 

* 포문 계열: 선미포추가, 선측포추가, 선수포추가

     >> 설명 그대로. 보통 쓸모없다 하여 "통수"라 함.

     >> 선측포추가는 간혹가다 쓸모있긴 함. (선측 4슬롯 선박에 붙어 5슬롯으로..)

 

* 기타 계열: 가속 강화(1,2,3), 스킬칸 추가, 스킬 승계

     >> 가속 강화는 선박의 가속도를 강화. (속도의 증가분을 상승하는 것으로, 최대 속력과는 무관합니다)

     >> 스킬칸 추가는, 원래 선박에 달 수 있는 스킬을 하나 더 달게 해줌

         (선박 스킬 관련 정보는 이후 설명. 일단은 한 선박당, 스킬 추가 없인 최대 2개밖에 못 답니다)

     >> 스킬 계승은, 제물 선박에 붙은 스킬을 본체 선박에 계승시킴

         (원래 모체 선박에 안달려도 무관. 그랑 안 프류트에 남만 무역 우대를 승계할 수도 있음)

 

이런 특수 강화(보통 글드 보너스라 부름)는

중복이 불가능하며, 무조건 서로 다른 강화만 붙습니다.

유일하게 중복되는 건 가속 강화로, 이마저도 가속 강화 1,2,3으로 나뉘어 붙습니다.

 

위에 제가 올린 선박의 경우,

3G이기 때문에 보너스가 2개가 붙습니다.

첫 번째는 내구 강화로, 이를 통해 내구 강화 수치가 증가했으며,

두 번째는 가속 강화1로, 이를 통해 선박의 가속도가 증가합니다.

 

그레이드의 경우, 순수 랜덤으로 붙는 까닭에

원하는 그레이드를 붙이기란 상당히 어려우며,

그 까닭에 그레이드 보너스가 잘 붙을 시 선박의 가격은 천차만별로 뜁니다.

이 글에선 글드를 제대로 하는 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어찌 됬건, 글드 된 선박을 사실 분들을 위한 글이기에..)

 

일반적으로,

1G는 대충 1000~2000만원 남짓,

2G는 잘해야 1~2억 남짓,

3G는 보통 5~10억정도는 잡아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도 3G는 대형선으로는 안가봐서..)

이는 생산비용이며,

글드 보너스의 종류에 따라 몇십억이 더 붙기도 합니다.

(가령 이동용 선박에 가속 강화가 1,2가 붙으면 몇십억, 몇백억이 훅 뛰죠)

 

-------------------------------------------------------------------------------------------------------

5. 선박 스킬

 

선박 스킬은, 선박에 달리는 스킬들로,

선박을 강화할 때, 선박마다 정해진 특정 조빌 재료를 넣을 시 생성되는 스킬들입니다.

 

종류는 20가지가 넘으며,

자세한 스킬 각각의 정보는 조이나 두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단 대표적인 스킬들로는,

 

* 급가속(급가): 선박의 가속도와 최고 속도를 증가시키나 선회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 운용, 경계처럼 "사용"해야하는 액티브 스킬입니다.

   >> 따라서 선회할 때 마다 꺼야합니다.

* 고층 감시대(고감): 경계를 대체합니다.

   >> 사용할 필요 없이, 이 스킬이 달린 선박을 타고 계시면 자동 적용됩니다.

* 강화창고(강창): 교역품 수탈을 완전 차단합니다.

   >> 마찬가지로 패시브 스킬입니다.

    >> 유해한테 교역품이 아얘 안 털립니다.

* 군함 위장(군위): 몹한테 전투가 거의 걸리지 않습니다. (기습 제외)

* 공작실: 바다 위에서 생산 시 성공률 증가.

* 내풍마스트: 돌풍을 방지합니다.

* 내화벽: 화재 피해를 경감합니다.

* 회계실: 운용 스킬의 효과를 증폭시킵니다.

* 남만 무역 우대: 남만 무역 시 교환비를 20% 증가시킵니다.

 

당연히 특정 선박에 달리는 스킬들은 한정적이며,

그 외 스킬들은, 아무리 특정 조빌재료를 넣는다고 해서 달리진 않습니다.

오로지 다는 방법은 글드 보너스 "스킬 승계" 뿐입니다.

또한, 스킬은 선박 당 최대 2개만 달 수 있으며,

이 이상의 스킬을 달기 위해선 글드 보너스 "스킬칸 추가"나 "스킬 승계"가 필요합니다.

 

문제는, 이런 스킬들이,

단순히 선박에 달린다고 쓸 수 있는건 아니라는 겁니다.

스킬마다 "xx기술" 요구 랭크가 있는데, 이를 맞추지 못하면 스킬이 발동이 안 됩니다.

xx기술은 총 3가지,

 >> 항해기술, 관리기술, 병기기술 입니다.

 

우선 항해기술은,

남미 바이아의 "카브랄" 에게서 배우며,

요구 조건은 모렙20, 돛 조정 3랭, 측량 1랭입니다.

랭 올리는 법은, 선박 스킬(아무거나 무관)이 최대한 많이 달린 배로 항해를 하는 겁니다.

천천히 돌아다니다보면 어느새 올라가 있습니다.

 

다음, 관리기술은,

베라크루스의 "라스 카사스"에게서 배우며,

요구 조건은 상렙20, 보관 3랭, 운용 1랭입니다.

랭 올리는 법은, 선박 스킬이 최대한 많이 달린 배로 항해 중 생산을 하는 겁니다. (공작실 필수)

대성공이 뜰때마다 숙련도가 올라가며,

생산 물품의 요구랭이 높을수록 더 많이 올라갑니다.

 

마지막, 병기기술

포르토벨로의 "발보아"에게서 배우며, (또는 마닐라에서도 가능)

요구 조건은 군렙20, 포술 3랭, 전술 1랭입니다.

랭 올리는 법은, 선박 스킬이 최대한 많이 달린 배로 NPC 함대를 격파하는 겁니다.

더 많은 적을 격파시 더 많이 올라갑니다.

 

세 스킬 모두 랭크가 더럽게 안오르고,

무엇보다 비우대 상태에서 랭을 올려야하기 때문에,

랭업은 상당히 고달프지만, 그 혜택은 충분합니다.

   >> 우대로 올리려면, 항해기술은 대모험가, 관리기술은 대부호, 병기기술은 대제독으로 전직해야 합니다.

   >> 문제는 이 직업들이, 전직도 까다로운데다 렙제도 75라, 보통 그 전에 이미 만랭을 찍게 됩니다.

 

또한, 전용함 스킬이라는게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배 한척당 스킬은 최대 2개가 붙습니다.

하지만, "전용함 건조"를 통해, 스킬을 하나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전용함 건조로 추가되는 스킬은,

해당 선박에 원래 붙는 스킬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달 수 있는 스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두부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물론 달리는 선박은 흔한 선박 스킬들 중 하나입니다. 생판 이상한게 달리진 않습니다.

 

물론 갤리온의 남만 무역 우대나

갤리선의 급가속같이 말도 안되는 스킬들은 안 붙습니다.

이런것들은 오로지 승계로만 가능하죠..

 

-------------------------------------------------------------------------------------------------------

6. 정리

 

이렇게 선박 성능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해봤습니다.

이제 이게 실제로 가격에 어떻게 적용되냐의 문제겠죠?

 

일단 대형선2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대형2를 제외하곤 보통 강화까지 하는 경우는 드물죠.

 

대형선 기준, 보통 조빌 선박의 건조 가격은 무의미하니 0이라고 가정합니다.

캐쉬 선박의 경우 증서값이 기본가가 되겠죠.

 

여기에, 보통 글드를 띄우게 되는데,

글드만 띄우고 강화를 안한 채 파는 선박을 "글드작"된 선박이라 합니다.

이 경우, 글드옵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이지만,

유난히 상옵이 아닌, 평타정도 치는 옵일 경우,

1G는 1억, 2G는 2~3억, 3G는 5~10억정도를 추가합니다.

4G부터는 일단 논외로 치죠... 저도 보통 3~4G배만 써서요..

확실한건 6G는 기본 7~80억은 추가해야 합니다. 보통 100억 이상 추가하죠.

 

여기에, 추가로 강화를 하게 되죠.

이건 이제 강화의 정도에 따라 또 가격이 천차만별인데,

 

기본적으로 강화에 소비되는 강증(강화 시 매번 드는 증서같은 것. 개당 700만 두캇)의 갯수가

40~50개 정도이기에, (4강의 경우 31개였나..)

보통 총 강증값은 3~4억정도.

거기에, 보통은 쉽게 구할 수 있는 600만 두캇 언저리의 재료를 쓰기에,

보통 재료 15개정도를 쓴다면 강화 자체에 드는 비용 포함해 대략 1억 정도.

즉, 기본 재료들로만 강화할 시, 4~5억 정도가 추가됩니다.

 

그 외 캐쉬 조빌 재료를 사용할 시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보통 조빌 재료들이 1개에 3~4억에서 15억까지 하죠.

이건 순수하게 성능을 보고 판단하는 것으로, 이후 어느 정도 배를 보는 안목이 생길 때 판단하시면 됩니다.

(저도 아직 잘 모를때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전용함을 달 ,

기본적으로 전용함 건조 허가증이 1~3개 필요한데, 개당 5000만 정도 합니다.

즉, 전용함 스킬에 따라서 다르지만, 보통 1억정도는 들어가죠.

 

따라서, 기본값 0원인 조빌 선박, 예를 들어 상업용 롱 스쿠너를 구한다고 하면,

글드가 3G이고, 가강+선회같이 잘 붙었다면 10억정도 추가.

강화는 풀돛이고, 높은 선회에 폭항 이상의 내파라면 4억정도 추가.

전용함으로 내풍마스트가 달렸다면, 강증 2장이 소비되므로 1억 추가.

총 15억이 기본 원가이기에,

대략 제작 마진을 추가해 17~18억정도가 적정 가격대겠죠.

물론 여기에 특정 목재질을 추가한다면,

보통 국가 목재질은 5억정도 하니,

23~28억정도가 되겠구요.

 

 

이 글로 초보자분들이

선박을 보는 법에 대한 최소한의 윤곽 정도는 잡히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