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팁과노하우 게시판의 백호니님이 올려주신 글입니다.
* 원글은 빅스톤조자룡님 글에 남긴 리플글로 명산 다종 드랍 시 주의점에 관한 글입니다.
* 좋은 글을 올려 주신 것 감사드립니다.





인도나 카리브 명산품 다종 드랍의 경우 명산품 구입하는 루트를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물론 리스본 길사 털이도 생각할 수 있으니 자신이 상인이라면 직접 구입하러 다니는 것이 좋겠죠.
그럼 대략 2가지 방법만이 남게 됩니다.


북해-지중해 루트의 명산품
지중해- 동지중해 루트의 명산품



물론 북해-지중해-동지중해 를 거쳐서 경험치가 많이 나오는 명산품을 끌어모을 수 있지만
시간이 너무나 소모가 돼죠. 자기가 주로 활동하는 공간을 염두에 두시고 선택해서 가져 가면 됩니다.


북해-지중해: 플란넬, 고블랭, 네편, 호박, 유리세공, 라일락,
은방울꽃, 머스켓, 샤프란, 벨벳, 크로스보우

지중해-동지중해: 머스켓, 샤프란, 벨벳, 크로스보우, 유리세공,
워드, 몰약, 다마스커드소드, 다마스크직물, 터키융단



이 정도가 가지고 갈만한 명산품이고 다른건 순익이 약해서 순익경험치 면에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 물론 여기에 명산품가중경험치(종류에 대한)에 의한 *효과를 보기 위해
금세공 내지 은세공을 넣어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단가가 비싼 교역품이 경치를 많이 준다는 것은 맞는 말이지만 틀린 말도 됩니다.
어디까지나 조합을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 틀려지는 것이죠.



단가가 비싼 교역품이 순익 경험치가 많긴 합니다. 그러나 다른 명산품을 빼고
단가가 높은 그 교역품으로 채웠을 경우 명산품 종류수가 적어지게 되며
그로 인해 가중경험치(*되는)가 떨어지게 되어 오히려 경험치가 적어질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적절한 조합이 중요한 것이죠.



보통 깃털의 경우 무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리스본표 닭털 깃털은 들고 갈만한
교역품입니다. 위에 글들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제가 일부러 월계수, 히스, 아마,
파피루스, 말린무화과, 말린자두, 잇꽃 등을 뺀 이유가 저가의 이익이 나는 교역품이고
대리석과 양피지의 경우 평상시 시세가 안좋을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적당한 교역품이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길드상점쇼핑의 경우 경우가 틀리지만 순익 경험치와 가중경험치 사이
최적화는 오랜기간 인도에 명산품 다중 드랍을 해보지 않음 찾기 힘들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다종 명산품 드랍이 아직도 유효한 이유는
부관을 30렙 이상 키워야 하기 때문에 영원히 남아 있는 숙제이겠죠.


- 백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