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 게시판에 Ouka님이 올려주신 글입니다.
* 해상전의 필수품 대포에 대해서 잘 정리되어있네요.




대포에 대한 명칭과 그 어원 및 자잘한 것들에 대해 올립니다

http://apollo.versus.jp/gvo/ 의 데이터를 번역하고 주석을 곁들여 정리한 것입니다



1. 대포의 명칭과 유래


소형 대포


팰콘포(falconet/falcon)

소형으로 가벼우며 기동성을 중시한 대포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보통 정찰선이나 탐색선에 장비한다.



미니언포(minion)

경무장용 선박에 장착하는 대포로 소형대포중 가장 긴 사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빠른 장전시간을 가지고 있다.



세이커포(saker)

데저트 팰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는 매의 이름이며 근거리에서 강한
위력을 가지고 있으나 그 사거리가 짧고 장전속도가 느린 단점을 지니고 있다.



래피드파이어포(rapid fire)

이름 그대로 '속사' 라는 뜻의 대포로 사거리는 짧으나
최고의 장전속도를 지니고 있다.


중형 대포


데미캐논(demi cannon)

대형대포 캐논포를 사거리를 늘리면서 화력을 약화시킨 대포.



캘버린포(whole culverin)

장거리포로 포신의 길이가 길고 구경이 작기에 포탄이 날아가는 속도가 빠르고
사거리가 길다. 또한 culverin은 라틴어로 뱀을 의미한다.



데미캘버린포(demi culverin)

캘버린포의 재료를 줄인 것으로 사거리는 캘버린과 동등하나
그 위력과 속도는 약간 떨어진다.



호이처포(howitzer/국내명 곡사포)

유탄포라고도 하며 중간 정도의 구경과 사거리, 중량, 발사속도를 지니고 있다.


대형 대포


모터포(mortar)

포신이 매우 짧으며 높은 탄도각과 포탄 안에 화약이 들어있는
작열탄을 사용하는 대포.



캐논포(whole cannon)

포신의 길이가 길고 사거리가 짧은 고위력의 대포로 포탄의 무게에 따라 분류된다.



칼로네이드포(carronade)

구경이 크고 무거운 포탄을 이용하여 고위력을 자랑하나 사거리가 짧기에
접근전에 이용되는 대포로 원거리 포격전용으로는 약간 사용이 어렵다.
대포의 명칭은 스코틀랜드의 카론 제철소에서 유래되었다.




2. 포탄의 종류



통상탄(round shot)

철로 만든 일반적인 포탄.



2연발탄

사거리가 비상히 짧으나 동급 대포중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포도탄(grape shot)

작은 쇠구슬을 몇개를 포탄에 집어넣어 피격시 적 선원의 살상을 목적으로 하는
대포로 쇠구슬이 대량으로 흩어지기에 산탄(case shot)이라고도 부른다.
산탄으로 되어있어 적함에 대한 관통력은 매우 낮지만 명중시 일정한 확률로
적의 선원의 일정 비율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가졌기에 적함의 선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효과도 커진다.



쇄탄(chain shot/국내명 사슬탄)

철구를 사슬로 연결한 것으로 돛이나 배의 갑판을 연결하는
로프의 파괴를 목적으로 한다.



화염탄

피격시 불이 붙도록 만들어진 포탄으로 그 관통력은 낮지만 일반 피격시
일정 확률로 적함에 불이 붙고 크리티컬시는 매우 높은 확률로 불이 붙는다.



연막탄

적함을 연막으로 뒤덮어서 적의 명중율을 낮추는 포탄으로
특수대포 중 가장 강력한 관통력을 지닌다.



3. 대포의 능력치



관통력

대포가 적함에 줄수 있는 대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치가 크면 클수록
더 큰 대미지를 주게된다. 또한 관통력이 클수록 침수의 확률도 높아진다.



사정거리

대포의 포탄이 날아갈수 있는 거리로 포탄이 가벼울수록 멀리 날아가기에
사정거리가 긴 포일수록 관통력이 낮으며 원거리에서의 명중율이 높다.



포탄속도

포탄이 날아가는 속도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대포의 명중율과 적함의 선원들이
혼란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작열범위

포탄이 폭발하는 범위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선원, 돛, 키에
피해를 줄 확률이 높아진다.



장전속도

다음 발사시까지 포탄을 장전하는 속도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다음 발사시까지의 시간간격이 줄어든다.



Ou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