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산대학교라고 합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이니랭작 하기 위해서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더라도 선추천 부탁드릴게요..굽신굽신(--)

 

2007년부터 육메가 거의 최고의 교역으로 떠올랐는데요.

 

2014년.. 즉, 7년이 지난 지금에도 육메가 대세인 부분이 너무 안타깝기도 하고 해서 씁니다.

 

사실 다클같은경우는 육메만큼 효율이 좋은 무역이 없어요.

 

하지만 원클이라면 육메못지 않은 그런 교역이 몇개 있거든요.

 

그래서 일단 근해무역부터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안타깝지만 스샷이 첨부가 안되는점 양해부탁드리구요.. 스압 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갈까요?

 

 * 근해무역이란 무엇인가요?

 

 - 말 그대로 근거리에서 수익을 내는 무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체적으로 편도3일 거리에 있는 도시를 왕복하면서 수익을 내는 무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근해무역의 장점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 일단 도시를 많이 왕복하기 때문에 거래랭작 및 회계랭작에 도움이 됩니다.

 

 - 항해시간이 짧습니다.(장거리항해 싫어하시는분들이 하기 좋을겁니다.)

 

 - 초단거리이다보니 유해의 강습에서 자유로운 편입니다.

 

 * 근해무역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 항해일수가 길어봐야 3일정도에서 끝나기때문에 부관경험치 올리기에는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구입수량과 매각수량이 많아지면서 탐이 빨라지기 때문에 3명정도만 달라붙어서 하더라도 망합니다.

 

 - 육메처럼 24시간 할 수 있는 그런 성질의 무역이 아닙니다. 시세조작도 해야하고 탐이 될떄까지 인고의 시간을 거쳐야 할수도 있습니다. 

 

 * 근거리만 왔다갔다 하면 돈이 될까요?

 

 - 충분히 목돈을 쥘 수 있습니다. 진입장벽이 좀 높을뿐입니다.(이건 추후에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근해무역 시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 거래랭크(가급적이면 부스터 합 20랭크이면 좋겠지만... 부스터 합 15랭이상이면 크게 나쁘지않습니다.)

 - 회계,사교 랭크(회계,사교가 저랭이어도 부스터로 해결 가능합니다. 성자의주석지팡이(회계2사교2) 콘설코트(회계2사교2) 천목밥공기(회계2) 코트햇(사교3) 정도면 무난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희대의자산가 호칭(이게 매우 중요합니다. 순수익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칩니다.) 희대의자산가 호칭 얻는 방법은 따로 검색해주시기 바랍니다.

 - 쓸만한 선박(저같은경우는 운전용으로 20적업 가강1롱스, 부관선박으로는 3g 창강,남만우대승계 그랑안프류트 적재 도합 2007입니다.)

 

 * 근해무역을 시작하기 전에 주의사항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 구입도시 매각도시에 방폭은 항상 필수로 해두셔야합니다.(시세조작도 간혹 해두시면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손이 빨라야 합니다. 왕복이 많을수록 좋기때문에 암보에서 육메나를때처럼 멍때리다 보면 순수익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1. 제노바 -> 칼비 또는 피사

 

 => 제노바와 칼비 왕복이 2분이 채 되지않는 엄청 짧은 동선을 이용한 교역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제노바와 칼비 또는 피사를 왕복해서 수익을 가장 많이 낼 수 있는 교역품은 고급의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제노바에 있는 고급의류(시세 100% 기준 4130두캇)을 발주서를 쫙쫙 찢어서 2000개 채우고 피사나 칼비에 팔면 되겠습니다.

 

 구입시세 100%에 깍기최대로 구입하니 3300두캇이군요. 그리고 20랭기준으로 70개가 사지더군요. 2천개를 채우니 3번발주서가 29장 들어가네요.

 

 고급의류를 다 채우는데 892만두캇(고급의류구입가 660만두캇+3발주29장 232만두캇-3발 장당8만계산)이 들어가네요.

 

 이걸 싣고 칼비에 가보겠습니다.

 

 칼비에 고급의류 100% 매각가가 4380두캇이네요. 그래서 올려받기 최대로 팔아보았습니다. 그러니 5700두캇이군요.

 

 2천개 다 팔아버리니 1140만두캇이군요.

 

 계산해보니 제노바->칼비 한탐에 248만두캇 밖에 되지않는군요.

 

 아주 빠르게 하니 1시간에 15번정도 무역을 할 수 있는데... 시간당 순수익이 3720만두캇 밖에 되지않아요.

 

 그런데 이건 제노바에서 100%시세에 구입해서 칼비에 100%시세에 매각했을때 나오는 순수익입니다.

 

 그래서 제가 제노바에 고급의류 82%일떄 2000개를 채워봤습니다. 구입가 2710*2000 하니 542만두캇 발주서 232만두캇 총 774만두캇이 들어가네요.

 

 그래서 이번에는 칼비 고급의류 시세 118%에 매각해보았습니다.

 

 5170두캇인데 올려치기 최대치로 하니 6700두캇하네요.

 

 제노바에서 고급의류82%(2틱-) 사서 칼비에 고급의류 118%(2틱+)에 파니 한타임에 566만두캇이 벌리는군요.

 

 이거 15번 왕복하니  수익이 대략 8490만두캇 나옵니다.

 

 이거 괜찮죠?

 

 근해무역은 교역품 단가가 높은 품목을 시세낮을때 사서 시세높은 도시에 회계를 이용해 차익을 남기는 무역입니다.

 

 이건 통상적인 시세이고 시세가 좋을때는 더 큰 수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원클같은경우 암보에서 직접 육메를 나른다고 가정하면 한시간에 6천만두캇 가량의 수익이 나옵니다.

 

 충분히 제노바->칼비 고급의류 무역으로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고급의류만 하기에는 발주서가 부담된다 하시면 은세공이나 벨벳 고대미술품과 같이 시세크로스해서 해도 되겠습니다.

 

 

 

 #2. 제노바 -> 튀니스 무역

 

 제노바와 튀니스의 거리가 굉장히 멀죠? 대략 2~3일정도 걸린다고 보시면됩니다.

 

 하.지.만 메리트가 있습니다.

 

 바로 제노바와 튀니스는 문화권이 다르다는 점이 특징인데요.

 

 은세공,벨벳,은,고대미술품 등이 문화권 차익을 낼 수 있는 교역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은세공86%에 1120개 고대미술품 84%에 880개 사니 440만두캇 들어가더군요. 거기에 발주서 12장이 들어가서 536만두캇 정도 들었습니다.

 

 이걸 튀니스에 매각하니 1210만두캇 가량의 수익이 나더군요. 순수익은 1210-536= 674만 두캇이 나왔습니다.

 

 8번 왕복하니 시간당 5400만두캇의 순수익이 나오네요.

 

 육메만큼은 아니지만 그렇게까지 나쁘진않은것 같습니다.

 

 #3. 나폴리 -> 시라쿠사

 

 나폴리와 시라쿠사를 왕복하면서 수익을 제법 낼 수 있을만한 교역품은 보석세공인데요.

 

 보석세공은 한 틱당 시세변동률이 10%라 큰 수익을 내기 적합한 교역품이라고 볼수있겠습니다. 교역품 자체의 단가가 높은것도 메리트이고 현존하는 근해무역 중 수익을 가장 많이 내는 무역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나폴리에서 보석세공 80%에 구입하니 개당 2500두캇이군요. 2천개 채우니 500만두캇이 들어갑니다. 발주서는 29장 232만두캇 구입비용 총 732만두캇이 들어가네요.

 

 시라쿠사에서 120%에 매각해봤습니다. 올려받기 최대치로 매각하니 무려 7200두캇을 받네요.

 

 한탐에 무려 700만두캇정도의 순수익이 나오는군요.

 

 13번 왕복하니 시간당 9100만두캇의 순수익이 나오는군요.

 

 *참고 - 공예품거래 20랭, 운전배 20적업 롱스쿠너 부관선박 그랑안프류트로 교역을 했으며 시세에따라 순수익의 차이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길드개척지를 활용한 모직원단무역을 설명드리고자 하였으나... 해본적이 없어 기술하지않았습니다.

 

 순수익이 대략 7~8000만두캇 정도의 시간당순수익을 낸다고 볼 수 있을듯합니다. 모직원단 자체가 시세가 안정화된 그런 교역품이라 8000만두캇 이상의 수익을 내기는 매우 힏믈어보입니다.

 

 참 길게 재미없게 머리에 안박히게 대충 쓴 듯 하네요.

 

 이니랭작용으로 쓴거니 추천부탁드리구요.

 

 다클분은 이거 해봐야 돈 못벌어요. 원클분들만 한 번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진입장벽이 높아서 상인에 어느정도 도가 트신분이 하시는게 좋지않나 싶습니다.

 

 모두 순항들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