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물의 내용은 2015년 06월 글로벌서버 2.57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한국어 명칭을 알지 못하는 관계로 글로벌 서버 명칭을 사용한 점 양해바랍니다. 한국서버가 열리게 되면 한국어 명칭으로 변경하겠습니다.



7. 집사와 마켓보드


(1) 집사 (리테이너)

 집사는 유저가 고용하는 NPC입니다. 집사의 역할은 '창고', '물품판매', '임무수행'.

 

 - 레벨17 메인퀘스트 클리어 후 고용가능


 - 집사를 고용할때 일반캐릭터와 똑같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가능


 - 집사도 캐릭터처럼 레벨이 있으며, 고용한 후 직업을 지정해줄 수 있음 (전투직,채집직)


 - 기본적으로 2명의 집사를 고용할 수 있고 유료서비스를 통해서 2명을 추가고용가능

   ※ 글로벌서버 기준. 한국서버는 정보가 없음


 - 직업을 지정해주면 그 직업의 장비를 착용할 수 있고 직업에 맞는 임무를 부여할 수 있음. 

    임무를 통해서 아이템과 경험치 획득 및 레벨업


 - 집사의 인벤토리를 창고로 활용.


 - 마켓보드에 아이템을 판매하는 역할. 

   즉, 유저의 대리인이 되며 마켓보드에는 유저이름이 아니라 집사이름으로 등록이 됨.


 - 집사고용NPC를 통해서 집사가 거주할 대도시를 설정해줄 수 있으며 ,

   집사는 물건을 마켓에 출품할때 거주하는 대도시의 마켓에 출품함.

   집사소환은 거주지와 무관. 거주지가 아닌 대도시에서도 문제없이 소환가능.


 



△ 대도시에 있는 집사고용NPC. 집사고용 및 집사가 거주할 대도시를 지정할 수 있음

집사가 거주하지 않는 대도시에서도 집사는 문제없이 소환가능.





△ 집사를 불러낼 수 있는 소환벨




(2) 마켓보드 

 마켓보드에서는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으며 대도시 곳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 마켓보드에서는 아이템의 구입만 가능


 - 다른 대도시에서 마켓에 출품한 아이템도 구입할 수 있지만 약5%의 세금이 붙음.

 (예: 울다하에서 출품한 500길짜리 아이템을 울다하에서 구입하면 면세로 구입.

 그리다니아에서 구입하면 물건값의 약5%에 해당하는 세금25길을 포함하여 525길 지출)

    

 - 자신이 마켓보드에 출품해서 판매가 완료됐다면 아이템 가격의 약5%를 세금으로 납부.

 (예: 아이템을 500길에 팔려고 출품했고, 판매가 완료되면 세금 25길을 제외한 475길만 입금)




 다른 대도시에서 올라온 아이템을 구입할때 납부하는 5%의 세금은 금액이 작을때는 체감이 잘 안되겠지만 2만길짜리 아이템을 구입할때를 생각해봅시다. 이때는 세금 1,000길이 추가되므로 차라리 텔레포트 비용을 소비하더라도 해당 대도시로 이동한 후 구입하는 것이 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자신의 위치를 고려하여 텔레포트 비용과 세금을 비교하면서 구입하면 한푼이라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대도시에서 볼 수 있는 마켓보드





△ 마켓보드 화면





△ 현재 자신이 위치한 대도시에서 판매중인 물품은 면세로 구입가능

깃발구분은 노란바탕(그리다니아), 빨간바탕(림사로민사), 검은바탕(울다하)

 


===============================================================================



*입문서 링크*
[입문서 1편] : 직업 및 스킬 시스템

[입문서 2편] : 종족과 능력치
[입문서 3편] : 위협도와 몬스터 인식범위
[입문서 4편] : 퀘스트 컨텐츠
[입문서 5편] : FATE (돌발임무)
[입문서 쉬어가기편] 인벤토리, 아이템등급, 질주 스킬
[입문서 6편] : 에테라이트 (순간이동)
[입문서 7편] : 집사와 마켓보드
[입문서 8편] : 토벌수첩과 공략수첩
[입문서 9편] : 인스턴스 던전과 던전찾기 시스템
[입문서 10편] : 그랜드컴퍼니와 초코보(버디)
[입문서 11편] : 커뮤니티 컨텐츠 (최종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