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글은 추후 고난이도 글에 작성할 내용 일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작에 대한 기본 지식과 기본적인 스킬 사용법에 대해 숙지를 하셔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론적인 요소가 있지만 어려운 부분은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수치화 시켰습니다


원래 작.가공계수만 적을려했는데 사족을 붙이다보니 작숙/가숙형 금단 비교까지 가버렸군요


5.21 고난이도 레시피 난이도

작업량 9181
품질량 64862
권장스펙 작숙2480/ 가숙2195

*정규 레시피보다 높은 히든레벨로 제작 패널티가 부여된 상태입니다. 비전서 레시피보다 스킬사용시 작업/품질 상승량이 낮습니다


=용어설명=

작업계수란?
작업스킬 툴팁에 적힌 작업계수
ex)작업 120, 모범작업 150, 주시작업 200, Groundwork 300, 강행작업 500


가공계수란?
정신집중 스택을 고려한 '품질을 모두 채우기 위한 실제 가공수치'


엔드스펙 금단

2487/2545/541(전문:2507/2565/556) + 홍합 아히요 HQ

작업계수: 2068
가공계수: 약 8425


2613/2467/541(전문:2633/2487/556) + 홍합 아히요 HQ
*고난이도 목적이면 빔슬식(..) 유저들은 2617(2637)가 더 좋습니다 
(무조건 바꿀 이유는 없지만 만약 수정하신다면 랭킹에 참여 할 직업 단 하나만 수정하시는 걸 권장)

작업계수(작숙 2637): 1950
작업계수(작숙 2633): 1954(작업계수 4때문에 제작자원이 조금 더 소모되거나, 공정이 늘어질 수 있습니다)
가공계수: 약 8800


중.상급스펙 금단

2519/2443/541(전문:2539/2463/556) + 홍합 아히요 HQ
 
작업계수: 2036
가공계수: 약 8950

2494/2508/541(전문:2514/2528/556) + 홍합 아히요 HQ

작업계수: 2059
가공계수: 약 8650

2519/2484/541(전문:2539/2504/556) + 홍합 아히요 HQ

작업계수: 2036
가공계수: 약 8725


(QNA) 작숙? 가숙? 어떤 게 좋은거지?

Q.작.가공계수만 봤을 땐 가공이 높은쪽이 CP/내구 사용에서 더 유리한거 같습니다

A.가공계수는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정신집중 스택을 고려하여 계산된 수치이기 때문에 로테이션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건 작숙/가숙 특화형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 비교예제는 작업/가공이 내용이 이어집니다. 둘 다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 가숙형 금단은 '작숙형의 반대같은 느낌인지라' 설명은 작숙형 금단을 중심으로 합니다. 작숙형의 특징을 알면 가숙형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절대 한 부분만 봐서는 안됩니다. 모든 내용을 종합해야만 작.가숙형 금단이 로테이션 운용 시에 무엇을 중요하게 여길지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좀 극단적으로 비교할려고 엔드스펙만 적습니다


작업계수 비교예제)
*작업 로테이션은 제작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확정 로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모든 작업 로테이션을 적지 않았습니다. 또한 확신 오프너는 고려안했습니다

  • 작숙 2637의 빠른 로테이션: 3강행 + 3모작(or 1Groundwork + 모작 or 1강행)
  • 작숙 2637의 확정 로테이션: (Veneration + 4Groundwork) + 1모작
  • 작숙 2507의 빠른 로테이션: 3강행 + 3모작 + 1작업(or 1Groundwork + 모작 + 작업 or 1강행 + 1작업)
  • 작숙 2507의 확정 로테이션: (Veneration + 4Groundwork) + 1모작 + 1작업

가공계수 비교예제)
*여기서 가공계수는 스킬툴팁에 있는 계수가 아닙니다!!
*아래 [가공계수 차이 극복하기]와 이어집니다

  • 2507/2565/556 의 가공계수: 약 8425
  • 2637/2487/556 의 가공계수: 약 8800(+ 375)

가공계수 차이 극복하기)
*더 적을려면 복잡해져서 단적인 예만 적었습니다. 원래라면 예제가 더 많아야 합니다
(효율과 CP 차이를 콤보 한가지로만 표현하기엔 너무 극단적입니다)

  • 11스택이후 중급가공 1회 추가사용
  • 확보한 내구+CP를 이용하여 11스택 이후 장족+밑가공 처럼 높은효율의 콤보사용
    (단, 11스택 이후라면 약간의 품질손해가 있음)
  • (작숙형)내구확보가 된 경우: 장족 밑가공 사용시 = 가공효율 400%, 내구20/CP72소모
  • (가숙형)내구확보가 안된 경우: 장족+주시가공 사용시 가공효율 300%, 내구10/ CP57

기억해야 할 것들, 변수)

  • 전체적인 작업 로테이션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작숙금단은 '무조건' 가숙금단보다 손해를 본다

    *전체적인 작업 로테이션? : 
    단순히 내구도와 CP를 아끼는 개념보다 좀 더 넓은 의미. 작업을 앞으로 당기고 뒤로 미루는거나 순서를 뒤바꾸는 등의 방법으로 전체 작/가공 로테이션을 안정화시킴

    *금단 설명글에도 적은 내용이지만 빔슬식(..)은 로테이션 운용 난이도가 높습니다. 숙련된 제작자가 아니면 대부분은 품질수치 1천이상 손해를 봅니다

  • 혁신 발동 타이밍, 10-11스택 이후 가공 사이클에 따라서 부족한 품질차이를 단번에 극복할 수 있다
    *이 뜻은 가숙형도 발동 타이밍/가공 사이클을 잘 운용하면 더 높은 품질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작업 로테이션을 강행위주로 사용했는지, 확정 로테이션 위주로 사용했는지, 강행을 썼다면 얼마나 적게 실패해서 작업량을 채웠는지에 따라서 각 금단의 로테이션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이 부분은 설명을 하고싶어도 많이 복잡해서 생략하겠습니다만, 짧게 적자면 높은 리스크를 가진 로테이션은 작숙형이 좀 더 유리합니다. 고난이도 레시피는 작업 리스크를 안고 가야만 높은 품질이 나오기 때문에 작업과 관련된 부분은 작숙형이 전체적으로 유리합니다

TMI) 라라펠 제작자는 요시다 PD가 우주의 기운으로 품질을 높여줍니다. (아님미고)

+작숙형 금단을 빔슬식 이라고 이름 붙인건 너무 창피합니다.. 적을 때마다 많이 민망합니다.. 만약 저에게 5.3 금단 공지까지 적는 기회가 생긴다면 그 때는 '짱쌘 루루식' '짱약한 루루식' '나나모 작숙형' '타타루 가숙형' 이런식으로 적당히 라라펠을 붙일거 같습니다.


결론) 거창하게 적었으나 사실 고난이도 제작은 별거 아닙니다. 그냥 만들다보면 '매크로를 손으로 직접 누르면서 제작하는 느낌' 입니다. 

5.2패치 이후로 로테이션 경우의 수가 완전 토막토막 나버려서 
개인적으로는 하드코어하게 제작하는 유저들에게 손제작 재미의 종말을 알리는 느낌이였습니다. 

그만큼 어려운 것도 아니고, 남에게 뭔가 과시할만한 수준의 난이도도 아니니 컨텐츠로서 즐기시면 아마 지루하게 하시진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채작 질문 및 게시물에 대한 문의 : 디스코드 Succex jung#0396

*고난이도 레시피 중에서 이론적인 접근이 필요한 부분을 질문하시면 손제작 특성상 경우의 수를 예로 들어가면서 설명해야하는지라 이 부분은 설명하는 제가 힘들어서(...) 물어보셔도 아마 적당히 내용을 함축해서 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