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자게에 아바 특성 어찌 찍냐는 글이 올라와서 써봅니다.
아바 모스트1 천판유저로서, 아바만큼은 핵캐리한다고 자부합니다. 다만 영리에선 잘 못꺼내는중이고 꺼내도 팀원에 따라서 승패가 갈리는지라... ㅠ

1. 공생체빌드
1- 가압 분비선 (W) 4-  아드레날린 과부하  7-(Q)  바늘가시  10-(Q)  최종 진화물 (R) 13-  세포체 전이 (W) 16-  아드레날린 증폭 (E) 20-  군체의식 (Q) 

1-1)팀에 평타딜러가 있을때 이 빌드를 갑니다. 특히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일리단인데, 일리단, 아르타니스 류 근접딜러면 더 좋습니다. 

7레벨특성은 불결한 둥지 (W) 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지뢰로 강력한 감속을 걸어버리기 때문에 일단 낙마시간+감속시간으로 얻는 이득이 가시 데미지보다 더 나을때가 있습니다.

16레벨 특성은 논란이 있지만 아바투르를 천판넘게 하면서, 팀리그5인 빡겜팟 아닌이상 쉴드이동속도 특성이 더 재미볼 여지가 많은것 같습니다.

반대로, 5인이 스카이프하고 서로 한타때 동선을 짜볼정도의 팀이라면 16-  맹독 가시 (W) 도 좋습니다. (즉 우리는 효과볼일 거의 없지 않나 싶습니다.)

만약 팀에 브루저가 많고, 상대가 뚜벅이 투성이면 맹독 가시도 좋습니다. 얘도 상황 보고. 

이 빌드의 장점은 공생체가 1인분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군체의식을 찍은 20부터는 팀원에 따라 1.5인분 이상이 되기도 하고요.

단점은, 내가 기생한 팀원의 피지컬에 따라 내가 할 수 있는 활약의 폭도 달라집니다. 

2. 운영형 빌드
1- 가압 분비선 (W)  4- 탄도포자 (W)  7- 불결한 둥지 (W)  10- 최종 진화물 (R)  13- 포격충 변종 (고유 능력)  16- 식충 번식  20- 식충 둥지 

2-1) 만약 팀이 4- 아드레날린 과부하 (Q) 로 재미볼 영웅이 그다지 없다 싶을때, 혹은 4인으로도 나름 잘 버티면서 싸울때, 팀원들이 운영능력이 부족하거나, 맵이 골짜기, 항만, 하늘사원 일 경우 등

여튼 이 빌드는 1.공생체 트리와 4부터 갈려지기때문에 4레벨전까지 선택을 해야합니다. 

선택하는 기준도 정말 애매하고요.

이 빌드를 탈 경우 축하합니다. 당신은 10레벨전까지 한타때 쓸모가 없습니다. 가서 팝콘이나 가져오세요. 대신 팀을 10레벨로 빠르게 인도할 수 있습니다.



이 빌드의 특징은 4- 탄도포자 (W) 입니다.

 아바투르 Z굴파기는 시야가 있는곳이면 어디든 갈 수 있는데, 탄도포자는 그 시야를 어디든 확보해주는 특성입니다.

 따라서, 초반엔 수풀에 숨어서 본체로 경험치를 먹는 플레이가 좀 더 빠르고 편리해지죠.

또 16부터는 탄도포자로 적 성채입구 앞에 굴파기로 가서  식충 번식을 뿌려주면 건물 테러가 가능합니다.  

만약 우리팀이 건물방어에 신경을 안쓰는 노답러거나, 난 센스있게 치고빠질 자신이 있다 하면 
7- 투하: 지게로봇 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물론 고려해보는 수준입니다. 감속이 대체로 주는 이득이 더 많아요.

이 빌드의 장점은 맵 이곳저곳 누비면서 원래는 증발해야할 경험치들을 다 먹을 수 있습니다.

 또 16부터는 건물테러가 가능하니, 상대 입장에선 얘를 쫓자니 이미 튀었을거같고, 안막자니 라인이 부숴지고있고. 상대를 선택의 갈림길에 놓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숙달되시면 상대팀 동선을 이중으로 엿맥일 수도 있구요.

단점은 아바유저의 센스나 맵리딩, 상대의 센스와 맵리딩에 따라서 얻는 효율이 굉장히 달라집니다.

만약 폴스타트가 상대팀에 있다 : Z비행으로 날아오더니 W평Q평으로 이미 아바는 죽어있습니다. 

도망갈 시간조차 없어요. 맵으로도 보기 힘듭니다. 거의 글로벌이동기니까요.

이경우엔 진짜 수풀에서 경험치먹기 힘들어집니다. 작정하고 계속 움직여서 속임수를 써야하는데 효과보기 힘들기도 하고요. 
데하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경우 20부턴 식충을 위해 전진했다가 바로 쿠구궁소리 나오면 호러영화찍게됩니다.

노바, 제라툴은 문제가 안됩니다. 이놈들 올만한 곳에 지뢰깔아놔서 엿맥이고 그사이에 도망가면 끝이예요.

또 위에서 썼지만 10레벨 전까지 한타에 거의 쓸모가 없고, 10부터도  최종 진화물 (R) 이거 빠지면 다시 또 힘이 빠집니다.

그리고, 16까지는 라인을 공격적으로 푸시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16 전에 게임이 터져버리면 그 판은 망입니다.

따라서, 운영형 빌드로 갈 경우, 우리팀이 상대보다 레벨과 라인상황에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해줘야합니다.

3. 지뢰+식충 빌드
작년말? 올해초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것 같은 빌드입니다. 초반 전 굉장히 부정적인 생각을 가졌는데, 요샌 꽤 괜찮은 아이디어로 출발한 빌드라 생각합니다.
스타로치면 레이트메카닉 같은 느낌입니다.
1- 맹독 둥지 (W)  4- 대량 살포 (W)  7- 불결한 둥지 (W)  10- 최종 진화물 (R)  13- 포격충 변종 (고유 능력)  16- 식충 번식  20- 식충 둥지 

3-1) 제가 개발한 빌드는 아니지만, 이 빌드를 분석해보면 10레벨 전엔 모든 특성을 지뢰에 몰아버립니다. 
그리고, 10 이후의 특성은 오로지 식충에 몰아버립니다.

제가 이 빌드를 꺼내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대에 노라툴이 있는가?
->상대 힐러가 한명 이하인가?
->상대가 자힐기 빠방한애들이 적은가?
->이동경로가 좁은가?

이것들을 종합해서, 지뢰빌드가 낫겠다, 다른게 낫겠다를 판단합니다. 1레벨부터 갈리는 특성빌드이기에 사실 좀 더 신중해야합니다.

사실 요새 빠대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특성빌드인데요.

가장큰 장점은 일단 우리 조합과 맵이나 그런거에 '아주 크게'는 관여받지 않습니다. 즉 무난한 빌드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더 많아진 지뢰 양으로 상대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더 수월해지고, 이건 곧 맵리력과 오더의 이득을 가져다줍니다. 

또, 저 지뢰데미지가 깨알같이 아파집니다. 그전엔 '음 지뢰로군.' 이었던게 '아따거!'가 되는. 

시너지 효과로, 그 따가운걸 최소 2발 더 맥일 수 있는 상황에 감속까지 걸어버리니 갱킹과 도주, 추노에 상대는 에로사항이 꽂피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제발 확실하지 않은 경로에 몰아깔지 마세요)

몰아갈때의 장점은 지뢰를 왠만한 딜러 스킬콤보급으로 누킹을 먹여버릴 수 있는데, 단점은 그거 안밟으면 땡입니다.

여기로 100%애들 온다 그런 확신이 있지 않는이상 길목에 깔아놓는게 훨씬 좋습니다.


2)10부터는 지뢰 관련 특성이 단 한개도 없습니다. 문젠 공생체강화특성을 하자니, 반쪽짜리가 되는데, 이때 식충빌드를 가게될 경우 라인력이 거의 온전히 강해집니다. 

공생체로 얻을 이득을 미리 라인상황에서 먹어버린다.

 즉, 내가 맵리가 좀 부족해서 바로 공생체를 못붙여주거나, 공생체 걸어줘도 파일럿이 못하거나, 공생체 Q바늘을 내가 잘 못맞춘다 의 경우 이 빌드를 할때 똥을 덜 쌀 순 있습니다.
(대신 그럴거면 아바를 안하는게 맞습니다.)

단점은, 일단 아무생각없이 이 빌드 썼는데 상대가 2지원가거나 3전사거나 그러면 지뢰딜은 그냥 뻥딜이됩니다. 즉 내 1레벨특성이 그냥 탭딜수치말곤 아무 이득이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 1레벨부터 시작이 갈리는 빌드다 보니, 다른 빌드로 변경하는 유연성이 다소 떨어집니다. 4레벨에 다른 빌드를 하려고 해도 살짝 손해니까요.

또 지뢰딜은 나름의 로또성분도 있습니다. 상대가 안밟으면 돌격병만도 못한게 되니까요. 따라서 이부분에도 사용자의 센스가 필요하게됩니다.

4. 쉴드회복빌드 아빠투르
1- 재생성 미생물 (E)  4- 질긴 갑피 (E)  7- 불결한 둥지 (W)  10- 최종 진화물 (R)  13-? 16-? 20- 군체의식 (Q) 
블루비틀님 공략이기도 하고, 저번 팀리그 상대로 만났을때 이 빌드를 쓰셨습니다.(팀원들 수준차이가 극명해서 상대조차 안됐네요... 그때 당시 전 23급이었는데 30급받았어도 할말 없을 수준이었습니다.)

그분이 팀리그 5인팟을 주로 하셔서 그런진 몰라도, 전 개인적으로 이 빌드를 할 상황이면 빛나래를 하는게 낫지 않나.. 란 생각입니다. 물론 세세한 유틸성은 다르지만.

여기까지가 빌드의 뼈대들이었고, 세부사항들입니다.

흉물 진화? 최종 진화물?
흉물 진화 (R) : 논란의 흉물입니다. 대회에서는 딱 한번 MVP Black이 썼고, 나머지는 엠블랙이 꺼내던 TNL이 꺼내던 전부 복제였습니다.

엠블랙이 꺼낸 이유는, 공생체테크로 일리단에 그냥 붙어있는게 낫겠다 싶어서라고 알고 있습니다.
또 맵이 하늘사원이었는데, 작은 맵은 아니며, 라인푸시가 오브젝트와 연관성이 있는 맵이기도 합니다.

사실 저도 아바 400판정도까진 흉물만 갔습니다. 왜냐? 복제해도 다른영웅 잘 못쓸거거든요.
용둥이던 거미맵이던 걍 다 흉물이었어요.

하지만 이젠 흉물궁 안찍습니다. 고기방패로 써도 전 복제궁이예요. 심지어 힐러를 복제해도.

흉물로 운영할거면 그냥 공생체 한번 더 바쁘게 씁니다. 또 상대가 생각이 있으면 바로 흉물 짜르러 오고.

정리하면, 충분한 각이 아닌이상 흉물은 조커궁으로, 그것도 큰 맵에서(특히 항만) 쓰는게 좋다. 입니다.

최종 진화물 (R) : 복제궁입니다.
알파시절엔 복제한 아이도 궁극기를 쓸 수 있다고 합니다. (전 오베이후로 해서 모르는 시절..)

빠대에서 오딘이 네개였다니 정말 개판이었겠군요.

복제품은 이속 10%, 스킬딜, 평타가 20% 원본보다 쎈 대신 1레벨부터 찍는 특성이 적용되지 않습니다.(카라짐 제외)

따라서 특성에 힘을 많이 받는 아이들보단 기본능력치와 고유능력(D)이 좋은 아이들이 좋은 복제품입니다.

(ex-작열시절 캘타스와 제이나중 제이나가 더 복제시 효율이 좋습니다.)

주로 딜러를 복제하는게 보편적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우리팀 앞라인이 버티질 못하거나, 몇번 딜러 복제했는데 딜 넣기전에 한타가 져버린다, 그러면 전사를 복제하는것도 나름의 방법입니다.

실제로 '왜 계속 지지?' 싶을 정도인 게임을 클릭미스로 전사를 복제했는데 그 후론 한타를 계속 이긴 경험덕에 얻은 깨달음입니다.

여기서 연장되서, 힐러복제를 생각할 수도 있긴한데, 우서 말고는 복제시 얻는 이득과 효율은 전사나 딜러에 비해 좀 부족하지 않을까 합니다.

나머지 특성들
1- 생존 본능 (고유 능력) 은 식충빌드로 시작할 순 있지만 이건 진짜 16까지 끌어가야 빛을 발합니다. 즉 2.운영빌드가 16전까지 이득볼 수 있게 해준다면 얘는 16되어야 이득이 크게 생깁니다. 따라서 팀원들이 다 길게볼 생각해주지 않으면 이 특성은 쓰기 힘듭니다.

7- 갑피 연결체 (E)  는 나름의 함정특성입니다. 라인력이 좋아질 순 있는데, 불결한 둥지로 얻는게 더 커질 뿐더러, 라인을 민다는건 반대로 상대에게 경험치를 더 쉽게 준다는 점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셔야합니다. 이걸로 라인밀거면 1 가시난사특 이용해서 밀고 다른 좋은특성 가는게 낫습니다.

13- 강습충 변종 (고유 능력) 얘도 함정 아닌가 합니다. 이론적으론 건물깨는덴 포격충, 라인푸시엔 강습충이 나을 것 같은데 라인푸시도 포격충이 더 나은것같습니다. 제가 칼같이 재고 연구하지 않아서 확신은 못하는데, 맞는것같습니다.

16- 불안정한 변이 (R) 흉물과 같이 쓰는 특성이긴 한데... 팀원한텐 큰 도움 안되고 그닥 이득도 딱히 없습니다. 얘도 나름의 함정특성. 
13레벨 전사들이 가진 불분 특성과 비슷한 효과라 보시면 되는데 갑피 이속특/식충 떼 특이 더 효율 좋지 않나 싶습니다.

진화의 고리 (R)  진화 완료 (R)  전자는 복제품이 살아있어야 적용되는데, 때론 스킬받이용으로 던져야할 때도 있기에 효율보기 힘듭니다.

 진화완료는 예전 4스택->영구1스택 버그가 있을땐 좋았는데 지금은 함정특성되어버렸습니다. 관광예능...으로 쓸거면 그냥 식충둥지 핵 앞에 깔고 춤추는게 더...

마무리:
사실 꼭 저렇게 시작을 했으면 마무리까지 빌드를 갈 필욘 없습니다. 단지 저게 방향에 따라서 최고 극대화시키는 특성빌드라 생각하면 됩니다.

저도 공생체트리가는데 파일럿이 영 이상하고 애들 라인관리 개판이고 그러면 13부터 식충찍어버려요. 그리고 이깁니다!

반대로 '쩝 저놈 못믿겠네 걍 지뢰가야지~' 이랬는데 일리단놈 갑자기 저놈 리치부캐인가 싶을정도로 날아다니면 늦어도 13부터 공생체 강화해주고요.

종종 대회에선 아드레날린 안찍을때 운영용으로 아바를 쓰고, 4레벨을 대량살포, 13 16을 W특으로 찍기도 합니다.

언젠간 쓸 날이 오겠지 하고있었고 이제야 씁니다. 지나치게 길어져서 못쓰는 세세한 부분도 있어서 아쉽고... 

아바 입문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