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나이트 건의사항 정리 

1. 오리진: 데드 스페이스 퍼뎀 상승 및 방무 추가
본섭 기준 점유율

모두가 아시다시피  다크나이트는
짧은 쿨타임의 압축 딜링기를넣는 평딜러입니다.
리부트 기준 6분 점유율 6%대
본섭 기준 6분 점유율 5%대로 하위권 점유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오리진만 
활성화된 상태가 전제입니다.
또한 40초 딜배율이 높지않은 다크나이트임에도
점유율이 20% 초반대에 위치해있는 부분이 다소 아쉽습니다.

그리고 방어율 무시에 관해서입니다.
대부분의 공격 스킬들에 방어율 무시가 붙어있습니다.
하지만 한방 극딜기인 데드 스페이스는 기본 방어율 무시가 달려있지 않았고
효율을 제대로 보기 위해선 업그레이드 코스트가 많이드는 데드 스페이스를
우선적으로 강화해야하는건 불합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이 부분에 의해서 기존 무보엠 옵션의 효용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졌습니다.
해당 사안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 부탁드립니다.

+8월 3일 테섭기준 약 1.249배 만큼의 딜량이 상승했음에도
오리진 제외 비활성화 기준 점유율 5~6%->6~7%로 다소 여전히 아쉬움이
남아있는 상태! 해서 해당 데미지의 추가 조정이 필요하다는게 현재
다크나이트 유저들의 입장입니다.

2. 다크니스 오라 구조개선


현재 다크니스 오라의 구조적 문제점
  • 스킬 재사용 시 발생하는 공격 기능에 예열이 필요하다. 스택을 모두 쌓았더라도 종료 시 자동 발동 기능 없이 무조건 수동으로 발동해야 하기 때문에, 내버려두면 기껏 쌓아놓은 스택이 경고 없이 그냥 사라진다.
  • 생명력 스택을 확인할 방법이 키보드 핫키와 우측 상단 버프창뿐이다. 별도 UI나 이펙트도 전무하므로, 유저는 눈에도 잘 들어오지 않을 정도로 깨알같이 적힌 버프 스택을 일일이 확인해야 한다.
  • 생명력 스택은 지속 공격이 명중했을 때에만 누적된다. 데미안이나 루시드 2페이즈처럼 정신없이 움직여서 맞히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막타 참격의 화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보호막이 생성되지만 근처에 붙어 있어야만 스택을 쌓을 수 있기에 즉사기에 노출될 위험도가 있다
  • 지속 시간에 비해 예열이 너무 길다. 스택을 쌓고 나면 보통 수 초 남짓의 시간밖에 남지 않는다.
  • 극딜에 쓰기에는 화력이 아쉽다. 180초 주기로 쓰는 스킬인데도 막타 참격 기준 퍼뎀이 11만 3천%, 스택 쌓기용 암흑투기 적중시켜야 15스택을 쌓은 후 막타까지 다 적중시켜야 막타 포함             17만9천%
  • 5차 스킬 중 혼자 방어율 무시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해결방안을 건의합니다

스택 충전방식 삭제: 예시)스파이더 인 미러 스킬처럼 첫 사용시 즉발 막타 후에 암흑 투기가 발산되는 식의 스킬 진행방식을 역순으로 재배치


3. 데드 스페이스 컷씬 수정

통칭 '굳건이'로 불리우는 다크나이트의 대표 일러스트가
6차 오리진 스킬인 데드 스페이스의 시작을 호기롭기 알리며 나타납니다
그러나 해당 컷씬은 상당수의 다크나이트의 유저와 타직업의 유저과
메이플을 안하는 타게임 유저들에게
비호감으로 인식 되었습니다.

관련 어록
-모 메이플 유튜버의 방송에 등장한 타게임 스트리머들

"웬 잼민이가 튀어나와서 설쳐대고 있어"

-인벤 다크나이트 직업 게시판

"저거 근데 완전 굳건이 아니야? ㅋㅋ"

등이 있습니다.

해결 방안

1. 검은 투구를 씌워 암흑기사의 아이덴티티 확립



2. 일러스트 실루엣 처리


변경안 예시


'핵 사태' 당시 기습 노코멘트 너프 해명 요구


당시 핵 이슈로 인해 혼란스러운 와중에 강행했던

일명 '기습너프'를 시행하고 그 어떠한 설명과 코멘트가 없던 점과

해명 및 너프한 근거를 설명해주셨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타 직업들의 연이은 상향으로 닼나는 너프 전에도 사냥이 구린 퓨어딜러 치고는

그다지 빼어난 순수 딜량을 갖고있다는 생각을 하고있진 않았습니다.

만약 충분히 설득할 근거가 불충분하다면 롤백해주시길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그 외 건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