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망의 70층 빌드입니다
12월 22일 밸런스 패치로 상향을 먹으면서 약 69.5층에서 70.5층 정도로 오른 것 같습니다

1층 스인미
2층 크오솔
3층 라폼
19층 라폼 / 쓸버프
31층 크오솔
33층 라폼 / 쓸버프 
41층 하울링
44층 라폼 / 쓸버프 
45층 원기옥 1방
46층 하울링 ※
47층 원기옥 1방 / 뿌리기
48층 원기옥 1방 바인드
49층 크뎀
50층 리레 하울링 크오솔
51층 레벨퍼프 옵드
52층 웨폰퍼프 라폼 원기옥 1방 ※
53층 리테 제네무적 원기옥 1방
54층 크라이시스 (스인미) 하울링 ※
55층 크라이시스 유지 원기옥 1방 옵드 바인드
56층 링썸
57층 리레 하울링
58층 웨폰퍼프 라폼 원기옥 1방 옵드 ※
59층 리테 제네무적 바인드
60층 크라이시스 (크오솔) 하울링 원기옥 2방 메용2 옵드
61층 링썸
62층 리레 라폼 하울링
63층 웨폰퍼프 원기옥 3방 옵드
64층 크뎀 하울링 / 쓸버프
65층 리테 제네무적 옵드 스인미 바인드
66층 리레 라폼 하울링
67층 크라이시스 (크오솔 스인미) 원기옥 3방 옵드
68층 웨폰퍼프 하울링 바인드
69층 리테 옵드 무적비
70층 리레 제네무적 무공소울 라폼 하울링 원기옥 3방 스인미 바인드

보통의 3분극딜 직업은 60층 시그너스에서 극딜을 넣고 70층 스우도 극딜을 넣으면

도중에 극딜 쿨이 돌았는데도 붕 뜨는 시간이 있어서 손해를 보나

라이트닝 폼 지속 중 원기옥을 언제든지 쓸 수 있는 유동성이 있어

라폼 끝물에 크라이시스를 터트려 60층 시그너스를 빠르게 끝내고

이후 극딜을 쿨마다 사용해서 라폼과 하울링의 가동률을 높였습니다

또한 라폼과 하울링을 기존 빌드보다 어느정도 꼬와서 오버드라이브도 어느 층에서 쓰는지 넣었습니다

빌드 난이도가 상당해 연습을 어느정도 필요로 하며

이 빌드는 최소컷으로 진행한 게 아니니 빌드 개선의 여지 또한 있습니다



※ 표시는 다음층 바로 입장 표시입니다

주스텟 6.26 (시드링 장착 기준) / 4레벨 풀시드링 / 해방

무릉 환산주스탯 6.22 (무릉용 세팅)
보스 환산주스탯 6.12 (보스용 세팅)
진 악마, 테이스티 보공 10퍼 포함



저층에선 설치기인 서펜트 어썰트 인레이지로 빠르게 넘기기 위해

서펜트 스톤을 5개 쌓을수 있는 스티뮬 상태에선 약 5초대기, 스티뮬이 아닌 상태에선 10초대기를 하고 넘어갑니다

기본적으로 최종뎀이 달려있는 라폼 지속시간엔 바로 다음층으로 넘어가며

라폼이 꺼진 상태면 10초 대기하고 가는 식으로 올라가시면 됩니다

이 점은 참고만 하시어 본인이 직접 무릉을 등반할 때 다음 층수에서 쓸 스킬의 쿨타임이 얼마나 남았는지

어디에서 어느정도 대기하고 올라가는지를

직접 판단하시면 더 좋을 겁니다

라폼때 메용2 에픽어드벤쳐 옵드라 엔버링크 리레를 동반하면서 쌘 하울링 극딜+퓨차를 쏟아붓고

90초 단위로 조금 약한 옵드 엔버링크 하울링 극딜을 내는 식으로 해요



스티뮬,메용2는 라이트닝 폼과 항상 같이씁니다

저층에서 스티뮬을 쓰는 이유는 서펜트 스톤을 빨리 채워 어인레를 미리 깔아서

금이라도 빠르게 올라가는 목적으로 뒀는데, 큰 차이는 없어 안쓰셔도 무방합니다

평딜때는 다들 하시는것처럼 서펜트 피인레로 딜하다가 일격필살이 터지면 퓨차 2~3번 쓰고

텔레포트를 할 경우 라폼텔포 또는 스크류펀치 - 피인레 연계로 빠르게 접근합니다

하울링을 쓸 때 텔레포트 몹에 대해서 빗나갈 위험이 있는데 판다석성?과 기둥 사이에서

넓은 곳을 바라보고 사용하면 힘을 모으는 동작과 서펜트는 안맞더라도 정권을 내지르는 동작은 풀히트가 가능합니다



41층에선 하울링 막타로 컷이 가능하니 젠되기 전에 미리 하울링을 쓰시면 됩니다

이는 46층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44층에서 킨 라폼은 45층, 47층, 428에서 원기옥을 하나씩 던지는데 45층의 경우 젠 되는걸 보고 쓰면 늦으니

젠 되기 직전에 중앙 쪽에서 우측으로 던지면 높은 확률로 맞습니다

49층 라이카에서 입장 이후 유혹에 연달아 걸린다면 의지를 전부 소모하셔도 좋으나

52층 석화를 대비해서 타임리프로 의지를 초기화 시켜줘야 합니다

54층에서 크라이시스를 터트려 하울링 막타로 드래곤 라이더를 빠르게 끝낸 다음 바로 입장하고

55층 호크아이한테 바인드를 걸어 원기옥을 빠르게 날려야 크라이시스를 유지한 채로 딜링이 가능합니다

57층 이리나는 텔레포트를 심하게 사용하지만 벽을 등지고 이리나를 상대하면

무릉 몹은 거의 항상 바라보는 방향으로 텔레포트를 하기 때문에 캐릭터 근처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우측 벽에서 리레 하울링을 쓰시면 보통 소위 무적이라 부르는 회피율 증가 버프를 스킵하고 넘어갑니다

58층 오즈는 바인드 없이 원기옥 한방을 적중시켜야 하는데

플레임 기어라는 스킬을 쓰는 직후엔 텔레포트를 할 확률이 꽤 낮고 플레임 기어를 연달아 쓰거나

스킬봉인을 걸 확률이 꽤 높은데 그때 원기옥을 쓰면 무적으로 스봉을 씹으면서 적중시킬 수 있습니다

간혹 무적버프가 끝나고 스봉을 걸 수도 있으니 항상 의지를 쓴다는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59층 미하일에선 제네무적으로 리테를 유지한 다음 제네무적이 끝나기 직전에 바인드를 걸어

리테를 최대한 유지시켜 줍니다

60층 시그너스는 남은 라폼에 메용2를 리필하고 크라이시스를 동반해 원기옥 2방과 하울링을

실수 없이 깔끔하게 넣으면 약 20초 초반정도로 끝낼 수 있습니다

시그너스 공반은 보통 20초 중후반 즈음에 사용하는데 정말 운 없으면 20초 되지마자 칼같이 쓰는 경우도

있으니 만일 공반을 봤으면 오버패스 링으로 스위칭 후 마저 끝내시면 됩니다

62층 렉스부터는 하울링과 리레 쿨이 조금 먼저 도는데 이 이후부터는 극딜을 맞추기 위해

라폼 쿨을 기다렸다가 씁니다

64층에서 변형된 스텀피를 다 잡아갈 때 즈음에 하울링 쿨이 도는데, 아꼈다가 다음 층에 쓰면

마지막 극딜이 쿨이 밀려 제대로 쓰기 어려우니 남은 체력에 상관없이 바로 하울링 막타를 쓰시면 됩니다

66층 게오르크는 돌진이나 텔레포트를 쓰는데 바인드 없이 끝내기 위해

한 쪽 벽을 등지고 극딜을 넣으면 적중률이 높습니다

67층 타락마족 강화늑대기수는 은근 무빙이 거슬리니, 원기옥을 잘 보고 쓰셔야 합니다

68층 아르마한테 처음에 바인드를 걸면 70층에 갈 때 쿨이 딱 돕니다

69층 츄릅나무에선 제네무적에 무적비로 리테를 풀 유지 시켜주며

70층 스우에서 밀격에 부담이 되시는 분은 제네무적을 아끼고 70층에서 쓰시면 됩니다



저는 조금이라도 기록단축을 위해 빌드에 크라이시스를 넣어놨는데, 발동 실패의 도박성이 조금 있는지라

익숙치 않거나 충분히 연습이 되지 않은 경우엔 다른 시드링을 배치하셔도 좋습니다

저의 경우 인듀어런스 스킬을 초기화하지 않은 상태로 3분마다 크라이시스를 발동시키는데

발동방법은 헬스컷 - 리밋 - 쓸버프 3개 - 인듀어런스 회복 - 다음층 입장 - 크라이시스 스위칭과 동시에

스인미 또는 크오솔 순서대로 합니다

인듀어런스 회복이 늦게 나오는 경우 몇 초 손해를 보더라도 안전하게 보고 갑니다

만일 헬스컷을 쓰자마자 회복을 볼 경우 크라이시스 발동 전 두번째 회복을 볼 확률이 높은데

그럴 경우엔 두번째 회복까지 본 다음에 옵드와 공중블링크까지 쓰면 발동이 가능하며

다만 크라이시스링을 스위칭한 다음에 회복을 볼 경우 mp는 깎을 방법이 없어 실패하게 됩니다

인듀어런스는 툴팁 상 5초마다 회복이라 하지만, 서버렉에 따라 10초만에 회복되기도 하고 변수가 약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