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구체적인 정보와 자료글은 해당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알 수 없는 오류로 문단이 계속 깨지고 있습니다. 가독성 부분에 사과드립니다. 

1. 슈퍼 캐논 익스플로젼 (6차 오리진)

      ● 컷씬 지속시간은 6.5초. 딜 다 들어가는 데 필요한 시간 6.5초, 무적 시간도 6.5초

      ● 총 합 퍼뎀 [벅샷 기준]          14400*0.45*(4*3)*8+18000*0.45*(5*3)*4 = 1,108,080%. 

      ● 준수하게 잘 나와서 딱히 별다른 패치 필요 없습니다. 




2. 캐논 버스터 VI (마스터리 코어)

 
    ● 총 합 퍼뎀 [벅샷 기준]
기존: 780*0.45*5*3 = 5265 테섭: 1240*0.45*5*3 = 8370

   ● 쓸데 없는 크확 5%와 방무 10% 추가
> 버스터를 제외한 주력기에 크확, 방무가 없어서 크확 100, 방무 94~96이 필수인 직업이라 의미 없습니다.


1:1 보스기에서 8마리 타격 가능한 다수 사냥기로 변경. 다만 이 다수기 패치를 긍정적으로 볼 수 없는 게, 이거 때문에 여러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1) 버스터 추적 성능 너프 - 보스기 성능 저하 파란색이 본섭, 노란색이 테섭. 현재 많은 분들이 추적 기능이 삭제되신 걸로 아시는데, 삭제된 게 아니라 추적 범위가 줄어들어서 그렇습니다.


 인식하는 범위 자체가 축소되어 기존보다 보스를 때릴때 더 빡빡한 컨트롤을 요구합니다. 이 부분은 롤백해야합니다.

 (2) 바주카보다 구린 성능
 현재 테섭에서 버스터로 2층 타격시키기가 어려운 이유는 Y축 타격 범위가 버스터 탄환 1개 기준이라, Y축이 너무 좁아서 그렇습니다.
  X축 자체는 기존 버스터 X축과 동일하고, 그 버스터 X축 범위 내에 있는 몬스터라면 공격이 들어갑니다. 표로 비교하면 바주카 Y축 판정의 반 정도고, 바주카보다 원래 짧은 버스터의 X축 범위는 동일하기 때문에 바주카보다 범위 성능에서 밀립니다.

  
 거기에 추적 기능은 여전히 남아있어서, 추적해서 날아간 탄환이 몬스터의 머리를 치지 않고 몸통을 쳤다면 강제로 1층만 타격됩니다. 그런데 히트 이펙트와 발사 이펙트가 실제 타격 범위의 3배 정도 되니 유저들은 괴리를 더 심하게 느낍니다.
 바주카 범위에서도 밀리지만, 미니 캐논볼 시스템 때문에도 사냥기로서의 값어치가 0에 수렴합니다. 미니 캐논볼 수동 사용도 바주카를 사용할 때만 가능한데, 버스터는 오토 모드로만 사용할 수 있어, 바주카와 성능 비교에서 전적으로 밀립니다.


 (3) 오류 1. 버스터 추가 사용횟수 발생 오류 (겉값?)
 다수기로 패치되면서 뭘 잘못 건드렸는지, 스킬을 한번 사용해도 간혹 겉값처럼 버스터가 한번 더 터집니다. 전분에만 표시되며, 실제 필드에서는 버스터가 한번 더 터지는 일은 없습니다. 다수 몹을 공격할 때 자주 발생합니다.
 문제는 이 오류가 미니캐논볼에도 영향을 줍니다.


 (4) 오류 2: 미니 캐논볼 추가로 발생 및 증발

 위에 언급한 버스터 사용 횟수 겉값 때문에 미니 캐논볼을 오토로 사용할 경우 비례해서 미니 캐논볼이 터지거나, 아예 증발합니다.
 원래는 버스터 1회 - 미니 캐논볼 1회가 비례해서 나가는데, 다수기 패치로 겉값 오류가 생기면서 미니 캐논볼도 그만큼 더 많이 터집니다. 그나마 타격이라도 하면 다행인데, 그냥 탄환 갯수만 통째로 증발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합니다.


 (5) 오류 3 : 하이퍼 +1 공격횟수에 벅샷 미적용  원래 버스터가 기본 4회 + 하이퍼 공격횟수 1회 = 5회에서 벅샷이 적용되는 시스템입니다. 다만 이번 패치로 하이퍼 공격 횟수 1회에는 벅샷이 적용되지 않아 공격횟수가 15회가 아닌 13회로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탄환 이펙트 개선 필요

기존 버스터는 1마리만 노리기 때문에 이펙트 상 탄환이 옆으로 셀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다수기 패치로 이펙트에 변경점이 생겼습니다. 첫번째 탄환은 가장 앞에 있는 몹만 타격하고, 이후 나머지 탄환 4개는 뒤에 남은 몬스터를 추적하는 식의 이펙트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유저 입장에서는 5개의 탄환이 전부 보스몹에 박히는 게 아니라, 남은 탄환이 관통해서 지나간다고 느끼기 때문에 딜 누수가 있다고 오해하는 것입니다. 실제 공격횟수는 체크해보면 전부 정확하게 들어갑니다. 이 부분은 이펙트랑 판정 개선이 있어야 유저가 혼동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 총평

6차 오리진 스킬은 준수하게 잘 나와서 추가 패치는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받아야할 패치는 버스터 하나입니다. 버스터의 다수기화 패치는 현재 유저분들끼리 호불호가 갈리는 상황인데, 저는 의도 자체는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패치 이후 또 얼마나 지나야 6차 패치가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인데, 버스터의 단일기 컨셉을 유지하고 패치를 받으면 향후 최소 6개월에서 1년 가량 캐슈 유저들은 사냥기 상향 패치가 없는 셈입니다. 바주카 VI가 나올 때까지요. 실제로 운영진은 바주카 VI를 만들지 않을 계획일 수도 있구요.

하지만, 문제는 현재 버스터가 다수기로 바뀌면서 추적 성능 너프를 받았다는 점입니다. 졸지어 캐슈 유저는 원치 않게 보스 실 성능을 너프를 받은 셈이니, 유저분들이 반발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개발진이 의도한 바가 아니였다면, 추적 성능은 무조건 롤백해야합니다.
그리고 사냥기로서 값어치를 주려면, 버스터 사용 중 수동 미니 캐논볼이 가능한 패치 추가, Y축 타격 범위를 바주카보다 조금 더 길어지게 해줘야합니다. Y축이 길어져 2층 타격이 쉬워지고 버스터 X축 범위는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되려 캐슈 유저가 X축 맵만 찾아야하는 고통에서 탈출할 수 있는 대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X축으로 긴 맵이라면 바주카를, Y축으로 몹이 밀집한 곳이라면 버스터를 쓰는 빌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사냥 빌드의 가능성이 생기지 않을까 합니다.


긴 글 마치겠습니다. 다들 1차 테섭에서 많이 문의해주시길 바랍니다.


 ---- 23.06.24 문단 오류로 글 3차 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