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캐는 카룻돌이 스펙에서 카루타 돌아본게 너무 오래 전이라서 제외하고 


카룻돌이 캐릭이 너무 많아 최근에는 대충 절반 근처 되는 9명만 주로 돌려서 얘네만 적으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오랫동안 매주 꼬박꼬박 돌면서 느낀 점입니다. 










1. 히어로 


장점 

딜 구조가 단순하고 20초쿨 무적기인 콤보 데스폴트가 있어서 컨트롤이 쉽다. 

딜은 좋은 편이다. 

스탠스가 100이다. 

레이징 블로우, 파이널 어택만 강화하면 돼서 4차 코어 강화가 쉽다. 

소드 오브 버닝 소울 레벨이 높으면 사냥이 편하다. (여로, 격류까지의 기준) 

콤보 인스팅트의 30초 극딜이 매우 강하다. 

30초 지속 슈퍼스탠스 버프인 발할라가 있어서 하드매그너스를 패죽이기 쉽다. 


단점

사냥,보스 양면으로 소드 오브 버닝 소울 강화가 필요하다. 
소드 오브 버닝 소울 레벨이 낮으면 사냥이 답답하다. 

크리확률이 낮고 공속 2단계 도핑해야 된다. 

콤보 인스팅트의 쿨타임이 4분이다. 

카룻,하힐 입장하고 지나가면서 잡몹 잡을 때 일반 레블일 경우 몹이 줄줄 샌다. 


총평 

충분히 좋음 







 

​2. 루미너스  


​장점 

120초 쿨타임의 바인드가 있다. 

주력기에 추가 크리티컬 확률과 방어율 무시가 붙어서 스펙이 보완된다. (크확 딜 누수가 적은 편) 

마법사 직업이라 핑크빈이 미니빈을 소환해도 바로 잡을 수 있으며, 카오스 자쿰 팔을 다 떼도 문제가 없다. 

루미너스 0차 스킬 덕에 블러디퀸 분노의 얼굴 때 시야가 어두워지지 않는다. 

자체 힐링기가 있어서 매그너스 존 밖에서도 체력 회복 수단이 있다. 


단점 

버프 지속시간 능력 증가 옵션을 필요로 한다. (얘 하나 때문에 유니온 프리셋 1칸 더 씀) 

앱킬,라리플,아포 3가지를 강화하면 되지만 13가지 중에서 나오기에 3줄 뽑기가 힘들다. 

게이지 관리, 빛둠세 스택 관리, 빛둠세 증발 안할 타이밍에 사용, 1이퀄 2퍼니싱 등 신경 쓸 요소가 많다. 

텔레포트 길이가 짧아서 벨룸 꼬리를 피할 때 텔포 한번으로 피하지 못하고 텔포 쓴 뒤 약간 걸어가야 된다. 

주력기 앱솔루트 킬의 후딜 때문에 반반 내려찍기 타이밍에 딜을 중지하고 대비해야 한다. 

반반이 텔레포트 하거나, 피에르의 밀격에 맞거나, 벨룸이 땅 속으로 숨으면 5차 스킬 빛과 어둠의 세례가 증발한다. 

마법사 직업이라 카오스 자쿰이 2페이즈에 들어갔을 때 순삭하지 못할 경우 마법공격 무시에 의해 한동안 딜을 못 넣는다. 

매그너스랑 상성이 안 좋다. 매그너스가 올라가면 때릴 수단이 5차 스킬뿐이다. 

기본사용 버프가 메용 포함 6개이다. 

스탠스가 없고 공속 2단계 도핑해야 된다. 

딜이 좋은 편은 아니다. 

텔포 직업이기 때문에 격류 사냥이 안 돼서 츄릅 포레스트에서 썪었는데 더럽게 지루했다. 



총평 

신경 쓸 요소가 많아서 이런 부분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만 키우는걸 추천함 

하지 말라곤 안하는데 벞지 수급에 자신이 있고 이왕이면 스펙 좋게 해서 돌리길 








​3. 윈드브레이커  


​장점 

속사기 + 윈드 월 배리어 효과 + 최상급 회피기 윈드워크로 인해 컨트롤이 쉬워 벨룸, 반반 생존성이 매우 좋다. 

딜이 좋은 편이다. 

자버프만으로 풀공속에 도달 가능하다. 

강화 코어 강화 난이도가 쉬운 편이다. (윔,천노,스브 + 사냥기인데 레벨링 동안 사냥기 코어 쓰다가 레벨링 끝나면 저 셋으로만 바꾸면 됨) 

어그로용 스킬 에메랄드 플라워를 이용해 블러디퀸과 거리를 둔 채 편안하게 딜을 할 수 있다. 

에르다 노바를 빼면 쿨타임이 긴 스킬이 없기에 그냥 아무 보스나 막 들어가서 잡고 나올 수 있다. 


단점 

자체 방어율무시가 낮아서 방무 수급이 필요하다. 

무적기와 의지가 둘 다 없어서 하드힐라 흡혈을 막을 수가 없다. 

사냥이 조금 애매하다. 페어리 턴을 쓰자니 원킬컷이 높고 볼텍스를 쓰니 범위가 좁다. 카룻돌이 스펙상 윔 1~2킬은 당연히 안 난다. 



총평 

가장 만족하는 카룻돌이. 너무 쉽고 성능도 좋고 불편한 부분도 없다. 








​4. 데몬슬레이어  


​장점 

120초 쿨타임 바인드가 있다. 

30초쿨 순간무적기 블러디 레이븐이 있고, 돌진기 성능도 좋아서 벨룸 꼬리 피하기 좋다. 

모든 주력기에 추가 크리티컬 확률 100%가 있어 크확을 전혀 맞추지 않아도 되며, 추가 방어율 무시 또한 많이 달려있다. 

추가적으로 지속시간 대비 쿨타임이 넉넉한 메타모포시스도 무적기로 사용할 수 있다. 

메타모포시스-인핸스를 찍으면 공반 무시 기능이 생긴다. (카블퀸, 카핑, 카쿰 등의 공반, 공무를 씹을 수 있다.) 

메타모포시스가 초미세 서펜트 스크류라서 글라이딩으로 쭉 날아가면 카룻,하힐 잡몹이 다 잡힌다. 

사냥기 데몬 익스플로전의 범위가 매우 넓어서 글라이딩 커맨드 잠금 기능이 생긴 이후로 격류 사냥이 좋다. 

데몬 어웨이크닝 가동시에는 주력기 범위가 매우 넓다. 

스탠스가 100이고 자체 풀공속이다. 


단점 

블루 블러드 쿨타임이라는 게이지를 가진 게이지 직업이다. 쿨타임 관리 난이도가 완화되긴 했어도 여전히 쉬운 편은 아니다. 

보스전에서 5차 스킬 데몬 어웨이크닝의 강화 의존도가 높다. 

20초마다 데빌 크라이를 써서 디버프를 걸어줘야 한다. 

주력기 강화 데몬 슬래시에 하이퍼로 데미지 150% + 어웨이크닝 50%가 달려서 보공, 데미지 효율이 매우 안 좋다. (좋게 말하자면 무기류 잠재 공퍼 효율이 좋다.) 

제대로 된 극딜기가 없어서 극딜이 평딜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주력기 데몬 임팩트 사용 도중 다른 스킬 서버러스를 섞어줘야 한다. 

스킬 쓸 때 HP와 DF가 확확 줄어들어서 한번에 다 사용이 안 될 때도 있다. 

강화 코어에서 나오는 스킬이 13개라 3줄 뽑기가 힘들다. 

글라이딩을 자주 쓰다보면 다른 직업하러 들어갔을 때 커맨드가 헷갈려 더블점프 하려고 방향키 타닥 누르는 상황이 발생한다. 

보스전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데몬 어웨이크닝 가동시에는 연타 스킬을 써야하기 때문에 키 하나를 연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총평 

호불호가 굉장히 많이 갈릴듯 하다. 바인드, 공반무시, 회복무적기 등 주간 마일보스 돌기에 좋은 유틸이 많고 

자체풀공속에 크확은 맞출 필요가 아예 없고 추가 방무도 굉장히 빵빵해서 뉴비가 금방 적응하기에도 좋은 직업이지만 

블블 쿨타임 문제, 어웨 코강 의존도와 4차 코강 난이도, 낮은 극딜 능력, 불편한 딜 사이클의 문제가 있기에 

화려한 스킬 이펙트를 보고 키웠지만 단점이 너무 크게 다가와서 지금은 키운걸 후회하는 직업이다. 









​5. 아크  


​장점 

스펙터 상태에서의 상시 슈퍼스탠스로 하드매그너스를 안전하게 카운터 치는 것이 가능하다. 

48초 쿨타임의 키다운 무적기와 180초 쿨타임의 바인드가 있다. 

해적 직업군이라 로디드 다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근원의 기억 눌러놓고 기지개 펴기 가능 



단점 

컨트롤이 마냥 쉽지는 않은 편이다. 

레프 상태에서 스펠 버프를 약 1분마다 걸어줘야 하는데 꽤 귀찮다. 

카오스 벨룸에서 5차 스킬 근원의 기억 딜을 온전히 넣기가 굉장히 까다롭다. 

인피 동안의 두번째 끝없는 고통은 바인드 없이 넣어야 하는데 매우 위험하다. 

5차 스킬 인피니티 스펠의 25레벨 강화 의존도가 크다. 

딜이 좋은 편은 아닌 것 같다. 



총평 

아크가 가진 여러 장점은 카룻돌이 수준에선 크게 와닿지 않는 것 같다. 

편하게 보스 도는거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아크 딜 보고 키우려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직업을 추천한다. 

여로, 격류 사냥 또한 대충 스킬이나 휘갈기며 다니면 되는 게 아니라 쉽긴 하지만 게이지에 맞게 일정한 빌드대로 해야한다. 

1분마다 스펠버프 돌리는 것, 특정 딜 사이클이 약간 어려운 것을 감안하고 평딜 말고 다른 부분에 매력을 느껴 키우려는 사람들은 키워볼만 하다. 






​6. 스트라이커  


돌리기 시작한 지 이제 막 2달쯤 되어서 자세히 알지는 못한다. 


장점 

신뇌합일이나 뇌신창격 번개 발동될 때 쾌감이 대단하다. 

45초 쿨타임의 무적기 해신강림이 있다. 

승뇌 연계로 카룻,하힐 잡몹을 쓸어버리며 지나갈 수 있다. 

자체 풀공속이다. 



단점 

연계 중에는 스탠스가 100인데 아닐 경우 스탠스가 0이다. 

처음 연계 컨트롤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컨 안 좋으면 카벨, 카반반에서 대환장파티. 

축뢰 때문에 데스패널티가 크다. 

극딜이 약한 편.



총평 

연계 컨트롤이 파도 후딜 감소한 이후로 재미있어서 마음에는 들지만 성능은 애매한 직업. 







​7. 팔라딘 (얼티메이덤 링) 


장점 

유니온용 템셋에 얼티링 + 경코젬으로 그랜드 크로스 28렙까지 올리기만 해서 든 비용이 매우 적다. 

하드 매그너스, 카오스 블러디 퀸까지는 바인드 컷. 


단점 

재미없음. 얼티 없으면 노딜이나 다름없다 보니 기계적으로 메소 수급을 위해 보스 잡는 느낌. 

쿨 기다리느라 시간도 엄청 많이 걸린다. 혼자 다 도는 데 30분 넘게 걸린다. 

얼티 없으면 거의 노딜이다보니 카오스 핑크빈은 제대로 잡을 수 없다. 

바인드가 10초 지속인데 그랜드 크로스도 10초 키다운이다 보니 벨룸 상대로는 최후반부 딜을 놓친다. 



총평 

아크, 일리움 링크스킬 풀스택 채우고, 모도 링크스킬 터지는 것과 엔버링크와 함께 써야한다. 

얼티 캐릭의 장점은 얼티링 사고 대충 세트효과 채워주고 극딜기 강화하면 끝이니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는게 장점인데 

앞으로 경코젬을 잘 안 풀 것 같으니 얼티 캐릭 키우는 것은 비추함. 







8. 패스파인더 


​장점 

크리티컬 확률이 높다. 

약식 코강 할 경우 코어 강화 난이도가 쉽다. 

회피기로 쓰기 좋은 충전식 텔포 공격이 있고 무적기랑 뎀감기도 있긴 있다. 


단점 

스탠스 없고 공속 2단계 올려야 한다. 

카오스 벨룸과 극악의 상성이기 때문에 스펙에 비해 카오스 벨룸 클리어 타임이 오래 걸린다. 

1) 주력기 딜이 꼬리에 맞으면 막히거나 본체가 맞는다 하더라도 최종뎀이 줄어든다. 

​2) 사출기 딜이 꼬리에 분산된다. 

​3) 15초마다 디버프를 걸어줘야 해서 딜로스가 크다. (잠깐 나왔다가 다시 바로 숨는 벨룸 특성상 3~4번 나올 때마다 디버프 다시 걸어줘야 됨) 



총평 

사실 ​카룻돌이 성능은 카벨과 하매 상성이 매우 중요한데 카벨 상성이 너무 안 좋음. 

딜은 평범한 수준인 것 같은데 카벨 잡는 데 오래 걸리다 보니 카룻돌이로는 비추하는 직업. 개인적으론 딱히 재밌지도 않음. 








​9. 듀얼블레이더  



​당장 안 키우고 뭐함?  빨리 키우셈  










이외에도 데벤져, 썬콜 등등 해본 직업들이 있지만 다음 시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