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주케릭터가 클클클프프프플플이며 힐러를 키웁니다. 도발러나 물리딜러, 마법딜러, 스펙업에 대해서는 디테일하게 알지 못하니 정보를 보실 때 참고하여 주세요.

각 직업의 비전투지원스킬이 있는 직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숫자는 랭크 및 서클입니다.)

소드맨

5스콰이어 - 1수리상점*, 1무기손질상점*, 1방어구손질상점, 2거점(베이스캠프)설치*, 2배식대 설치*

7템플러-1길드원소환*, 1길드원에게이동*, 1길드타워*, 1제작시간감소, 2포지, 2실드차져

 

클레릭

5파드너-1시모니(주문서제작)*, 2봉헌, 2버프상점(주문판매상점)*

6오라클-3성전환상점(스위치젠더)*

6무녀(칸누시)-오마모리제작 [히든클래스]

 

위저드

6알케미스트- 1각성던전(아이템어웨이크닝)*, 1브리케팅(무기합성), 1물약제조(팅크쳐링)*

                   2마그눔오푸스(아이템합성)*, 2젬로스팅상점*
8인챈터-1인챈트아머상점*, 1스펠북제작*

다음은 제가 하면서 느낀점이나 정보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립니다.

원래는 오라클을 제외하고 모든 글을 다 넣으려고 했지만 게시글이 길어져 파드너와 알케미스트만 우선 올립니다. 차후에 템플러와 인챈터는 간단하게 올리겠습니다.

스콰이어는 제가 예전에 썼던 게시글 링크 걸고 생략하겠습니다.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p=2&l=11833


1. 파드너
 파드너는 크게 3가지 스킬을 목적으로 트리를 각각 다르게 짭니다.

 가. 디서닝이블 - 디버프의 시간 연장 (생산직트리가 아니라 딜레릭트리입니다.)
     1) 정보
        거의 모든 디버프를 유지시간을 늘려주어 디버프에 의존을 하는 딜러클래스에게 무척 좋습니다. 딜레릭 중 보코르의 핵싱, 플레이그 닥터의 흑사병의 스킬상성이 좋습니다.

     2) 직업트리
        클클XX파X플플
        클클 -> 디바인마이트(모든 스킬레벨+1), 세이프티존 강화특성(40회방어), 힐장판 10개 : 클레릭이라면 클클을 찍는 것이 매우 효율적입니다.
        플플 - > 플레이그 닥터의 주 스킬은 디버프이고 클레릭 전체를 통틀어 제일 좋은 직업. 파드너와 상성이 매우 좋습니다. 플레이그 닥터는 2랭부터 흑사병을 사용할 수 있고 소각도 두번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를 타는 것보단 플플을 타는 것이 좋습니다.

 나. 시모니 - 주문서 제작
     1) 정보
       가) 주문서 제작은 유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킬로만 제작이 가능합니다.

       나) 자주 쓰는 주문서로는 순서대로 베리어(팔3),다이노(크1),잘챠이(크1),아케인에너지(오1),큐어(클1),턴언데드(팔1) 등이 있습니다.

       다) 나무위키를 참고하여 주문서로 만들 수 있는 스킬을 알려드립니다.
            클레릭1서클 : 디프로텍트 존, 큐어
            크리비1서클 : 아우쿠라스, 잘챠이, 다이노
            프리스트1서클 : 몬스트럭스
            팔라딘1서클 : 리스토레이션, 턴언데드
            팔라딘3서클 : 베리어
            오라클1서클 : 아케인에너지, 클레이보이언스, 포어캐스트
           * 파드너의 주문서는 다른 각 클래스의 특성이 모두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 베리어특성-베리어에 닿은 적에게 마법데미지 입힙니다. / 다이노특성-다이노 효과지속시간이 증가합니다.

       라) 시모니는 스킬레벨이 오를 수록 만들 수 있는 주문서 스킬의 레벨이 상승합니다. 예) 시모니 3레벨 -> 베리어 1~3레벨 제작.
             * 다이노5포인트를 찍은 크리비1서클유저가 파드너2서클로 전직하여 시모니10레벨로 다이노10레벨 스킬을 만들 수 없습니다. 본인이 찍은 스킬레벨까지 만들 수 있습니다.

    2) 직업트리
         딱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본인이 만들고자 하는 스킬과 플레이 방식을 고려하여 짜야합니다. 저는 클크크팔팔팔파 트리를 만들었습니다. 닥사를 가는 것을 포기하고 샤울미션과 던전, 퀘스트로 키웠습니다. 올 지능입니다. 파티닥사를 하실 거라면 클클추천드리고 샤울미션을 가실거라면 강한 1:1스킬을 추천드립니다.

     3) 주문서 제작
      가) 주문서 제작 가격
            양피지 - 200실버
            제작할 스킬레벨 X (양피지1개 + 500실버)
            예) 다이노5레벨 주문서 양피지5개, 2,500실버

       나) 주문서 제작 시전 방식
             1장당 3초이며 한개씩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한방에 제작됩니다. 1000장을 제작할 경우 50분동안 시전을 무사히 완료시켜야 하며, 만약에 시전이 취소된다면 주문서는 1장도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움직이거나 다른스킬을 사용하면 주문서 제작이 취소됩니다.

       다) 트리에 상관없이 파드너만 타면 디스펠러 제작이 가능합니다. 앉은 상태에서 디스펠러 제작 아이콘이 생기며, 제작비는 양피지 2장(400실버)이고 만드는 방식은 2초씩 한장을 완성하며 플레이어가 정한 장수까지 만듭니다.

  다. 주문상점개설 - 저는 파드너2서클이 없어서 스콰상점을 생각하며 기본적인 것만 알려드립니다.

   1) 정보
     가) 프리스트 상급자 재료상점
           성수(아스퍼션)                 50실버
           홀리파우더(블레싱)          20실버
           기슬로티스(사크라멘트)   35실버

     나) 본래 프리스트가 직접 쓰는 버프스킬은 재료가 1개씩만 소모되지만, 파드너가 버프상점을 열어 스킬을 쓸 때는 10개씩 소모됩니다.

     다) 상점 수수료는 50%->30%로 하향되었습니다. 수수료는 재료값에서 떼는 것이 아닌 파는 값에서 계산됩니다. 상점가를 500실버라고 정했다면 재료값 300실버가 아닌 상점가 500실버에서 30%의 수수료가 나갑니다. 원가상점이라고 해서 300실버로 올린다면, 적자인 상점이 개설됩니다.(수입 210실버) 순수입 = 상점가 X 0.7 - 재료값

     라) 상점을 개설한 후, 접속종료를 해도 상점은 유지됩니다. 단, 같은 계정으로 접속종료 상점은 한개밖에 유지되지 않습니다. 접속종료하지 않는다면, 2가지의 상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접속종료 상점 1개, 현재 유저가 접속하여 유지하는 상점 1개 -> 두 상점이 얼마만큼 유지되는지는 실험해 보지 않았습니다. 유지된다는 것만 확인하고 바로 폐점시켰습니다.)

     마) 상점을 폐점하고자 한다면, 왼쪽 물품창에서 상단의 탭을 살펴보시고 [기록]을 누르시면 아래에 폐점버튼이 빨간색으로 있습니다. (별 것 아닌데 폐점하는 방법을 몰라서 당황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사실 그게 접니다. . .)

   2) 직업트리
     클프프프파파XX
     프프프 -> 상점으로 열 수 있는 스킬인 아스퍼션, 사크라멘트, 블레싱의 스킬레벨을 모두 찍기 위해 프프프를 찍는 것이 정석입니다.
     파파 -> 파드너는 상점개설 스킬을 2서클부터 만들 수 있으며, 5레벨이 마스터 레벨입니다. 파드너 3서클을 찍어도 상점개설과는 상관 없습니다. 개설된 상점 버프는 파드너의 상점스킬 레벨과 특성에 따라 버프시간이 길어지며, 프리스트 스킬레벨만 적용되고 특성은 적용되지 않습니다.적용됩니다. 마찬가지로 상점 개설 케릭터의 능력치로 상승되는 버프상승효과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상점개설되는 스킬은 ① 재료를 사용하여 ② 아군에게 도움이 되는 버프 스킬 ③ 단, 채널링이 아니며 ④ 설치물이 아닌 스킬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모든상점은 디바인마이트로 스킬레벨1을 올려 개점할 수 있습니다. violette님께서 7랭 때 클레릭을 가서 셀프 디바인마이트로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말씀 주셨습니다.

   3) 봉헌 - 상점개설과는 상관없지만 궁금하신분이 있으실 것 같아 말씀드리자면, 구세군과 같이 기부하는 사람이 아무런 이득이 없습니다. 봉헌은 2서클부터 열 수 있으며, 10레벨이 마스터입니다. 바쳐진 아이템은 실버로 전환되어 파드너에게 수금됩니다. 여기에 수수료가 떼어지는지 모르겠지만 상점이라는 형태이어서 30%의 수수료가 떼어질 것 같습니다.


2. 알케미스트
 알케미스트는 대부분 3랭을 목표로 찍으시는 분이 많으며, 강력한 딜 또는 버프 랭크인 6~8랭크를 소비해야합니다. 알케미스트 스킬 중에는 도움되는 딜스킬이 없지만 파이로가 날아오르면서 키우는 것이 매우 수월해졌습니다.

 가. 알케미스트는 파드너와 다르게 다른 클래스와 연계되지 않는 독립적인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육성하기 쉽도록 알케미스트 전 1~5랭까지의 직업스킬로도 8랭크까지 먹고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 위파링파링알알알
       파이로는 상향전에도 양파링트리가 대세였습니다. 물론 비등한 트리로 위위위링링알알알도 있었지만 각성던전을 쾌적하게 돌 수 있도록 파이어볼을 선호하는 분이 많았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각성던전 설명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담으로 하나 정보를 알려드리면, 파이로의 스킬은 엘리멘탈리스트의 레인(해일아님), 도사의 호풍환우부에 모두 꺼집니다. 정확히는 바닥에 시전된 파이어볼, 파이어월, 플레임그라운드, 파이어필라가 없어집니다. (파이어필라는 꺼지지않습니다.)만약 이를 모르고 비를 부르는 스킬을 쓰는 분이 있다면 꺼주십사 말씀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그 분이 몬스터를 다 녹여버린다면 파이로는 뒤에서 평타치며 놀면 됩니다. 그리고 가끔 화계마법에 피가 차는 몹들이 있습니다. 이때에도 그냥 뒤에서 평타치거나 링크걸면 됩니다.(페디미안 외곽에 있는 두개의 던전)

     그 외 본캐로서 다른 트리로 타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제가 추천드리는 트리는 부케이면서 알케미스트3랭을 찍는 것이 목표인 분들께 드리는 트리정보입니다.
     저랭크 중에 파이로보다 더 좋은 딜을 가진 직업은 아직 없으며(아그니목걸이포함), 링커만큼 좋은 지원직업 드뭅니다. (2016.12.) 파이로가 너프되기 전에 알케미스트 8랭을 찍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라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다. 스킬정보
       생산직에 있는 공격스킬들은 대부분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컴버스쳔, 디그, 알케미스틱 미사일은 모든 생산스킬을 찍은 후에 찍는 것이 좋습니다. 특성은 다 찍는 것이 좋지만 매우 비쌉니다. 생각없이 찍다간 실버가 녹으니 잘 생각하고 찍습니다.

     1) 아이템 어웨이크닝 (각성던전)
         장비아이템에 추가 능력치를 부여합니다. (예를 들자면 헤어악세서리에 마법부여 스크롤을 바르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각성던전을 클리어 해서 아이템에 능력치를 부여할 때마다 포텐셜이 깍입니다. 그래서 이벤트로 가끔 각성석(까만 수정돌)을 주는데 이를 이용해서 각성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각성석을 사용하면 포텐셜이 깍이지 않습니다.

         결과는 마법부여 스크롤과 비슷하지만 과정은 조금 귀찮습니다.
           ① 각성던전을 열 알케미스트와 아이템각성을 할 유저가 팀 결성
           ② 알케미스트가 칼사이트(직업상급자재료상점에서 판매)를 사용하여 각성던전 워프게이트 생성
           ③ 일정시간동안 나오는 몬스터를 잡고 최후에 나오는 보스몬스터를 처치
           ④ 보스몬스터 처치하면 장비아이템에 자동으로 능력치 부여됨

           * 각성할 장비아이템은 던전에 묶여서 착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장비아이템을 가져와서 착용하세요.

           * 혼자 들어가기 벅찬 저레벨케릭터라면 몹을 잡아줄 서포터가 있어도 됩니다. 단, 각성던전에 들어갈 인원 수는 알케미스트의 아이템 어웨이크닝 스킬레벨에 비례합니다. 예) 아이템 어웨이크닝2레벨일 때, 알케미스트+각성유저1명 / 3레벨일 때, 알케미스트+각성유저1명+서포터1명 : 알케미스트와 각성유저는 뺄 수 없습니다. 본인만 쓸 것이 아니라면 아이템 어웨이크닝은 3레벨 찍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하겠지만 알케가 각성던전에 안들어가도 입장 인원수는 -1됩니다. 오류인지도 모르고 고쳐질지도 모르겠습니다.

           * 던전은 한 자리에서 몹들이 나오는 형식이며 몹이 나오는 것을 웨이브라고 합니다. 파이로가 파이어볼로 둘러쌓고 딴 짓하기 편합니다. 아이템의 색깔마다 웨이브의 수는 달라집니다.

           * 각성던전에서 각성유저가 죽으면 던전은 없어집니다. 각성유저가 죽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주세요. 특히 마지막 보스에 죽을 때가 많습니다.

           * 본인 계정에 각성할 장비아이템이 있다면 각성할 장비아이템을 알케미스트로 옮겨서 각성던전 들어가면 됩니다. 기간제 각성석을 받을 땐 반드시 알케미스트로 받으시길 바랍니다.

           * 각성될 능력치는 부위마다 다릅니다.

           * 사실 저는 각성던전을 잘 이용하지 않아서 정보가 부족합니다. 다른 분들이 친절하게 설명해주신 관련 게시글을 링크합니다.

<아이템 어웨이크닝에 대한 정보 - 배고픈빈이님 2016-02-11>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name=subject&keyword=%EA%B0%81%EC%84%B1&l=8721

<알케미스트 각성 TIP - 그랜드체이스님 2016-02-26>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name=subject&keyword=%EA%B0%81%EC%84%B1&l=9597

<아이템 어웨이크닝: 속전속결 특성과 아이템 색깔별 웨이브 수 - 배고픈빈이님 2016-09-29>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85&name=subject&keyword=%EA%B0%81%EC%84%B1&l=11444

     2) 팅크쳐링(물약제조)
         알케미스트의 꽃 물약제조입니다. 알케미스트 3서클을 찍는 큰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물약레벨 = 스킬레벨 입니다. 레벨별로 물약재료는 변동없습니다. (1레벨 물약재료=15레벨 물약재료) 알케미스트1서클은 5레벨 물약을, 2서클은 10레벨 물약을, 3서클은 15레벨 물약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물론 팅크쳐링 스킬레벨에 포인트를 줘야 합니다.

        물약재료는 직업상급자가 판매하는 약초와 약병에 몬스터에서 드랍하는 약초로 만듭니다. 그 중 체력물약에 쓰는 딜겔레는 길드아지트에서 농사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가) 알케미스트 상급자 재료상점
             칼사이트       3000실버
             플라스크         120실버
             발래리요나스    50실버
             바루날레샤     125실버
              초브랠리스       85실버
             아비에테           75실버

       나) 포션 재료
             농축 HP포션 - 플라스크 1 + 발래리요나스 2 + 딜겔레 2
             농축 SP포션 - 플라스크 1 + 바루날레샤 3 + 워시스 1
             농축 스테미나 알약 - 플라스크 1 + 포브랠리스 4 + 딜겔레 1
             농축 이동속도 증가 포션 - 플라스크 1 + 아비에테 6 + 딜겔레 3
             치명타 공격력 증가 포션 - 플라스크 2 + 발래리요나스 2 + 딜겔레 2
             마법 증폭 증가 포션 -  플라스크 2 + 바루날레샤 2 + 딜겔레 3
             광역 공격 비율 증가 포션 -  플라스크 3 + 초브랠리스 4 + 워시스 1
             공격 부스터 - 플라스크 5 + 라오도넬리스 5
             농축 SP부스트 포션 - 플라스크 1 + 라오도넬리스 5 + 바루날레샤 2 + 딜겔레 3
             농축 수호의 포션 - 플라스크 1 + 라오도넬리스 5 + 초브렐리스 4 + 워시스 1

             블럭 증가 포션 - 플라스크 2 + 초브랠리스 3 + 딜겔레 1

        다) 포션 제작 시전 방식
            20초에 5개씩 셋트로 만들어지며, HP,SP물약(5개씩)을 제외하고 모두 1개씩 만들어지며, 마나부스터와 수호의포션은 거래불가입니다. 플레이어가 정한 횟수까지 만들어집니다. 재료는 위에 기재한 대로 소모됩니다.


        라) 블럭 증가 포션, 치명타 공격력 포션, 마법 증폭  증가 포션 은 특성을 찍어야 제작할 수 있으며 특성레벨에 따라 물약 레벨이 증가합니다. 특성 1레벨은 만실버이고 15레벨은 15만실버 입니다. 마스터비용은 포션당 120만 실버입니다.

     3) 브리케팅(장비합성)
        두 개의 장비아이템을 합쳐 장비아이템의 성능을 변경하는 스킬입니다. 스킬을 사용하면 장비아이템의 포텐셜이 감소됩니다. 이 스킬은 보편적이지 않아서 정보가 없습니다.
        알케미스트 3서클에서 광고한 외형변화는 3서클에 특성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특성비 200만실버) 하지만 특성을 배울 경우 브리케팅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오류가 있습니다. 미완성의 느낌이 나는 스킬입니다.
        2017.3.16기준 브리케닝(외형변화)가 수정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합성은 같은 종류 장비여야 하며, 재료장비는 합성할 장비보다 별 갯수가 같거나 많아야합니다.

       (본장비가 4성일 때 재료장비는 4성이상이여야 합니다. 3성이라면 재료장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킬레벨이 1레벨시 -5%~5%, 15레벨시 -12.5%~12.5% 장비의 능력이 오르거나 내려갑니다.

        * 합성시 포텐셜이 1 감소됩니다.

        * 재료장비는 합성 후 없어집니다.

        * 재료장비 말고도 칼사이트가 추가로 소모됩니다.

 


      4) 마그눔 오푸스(아이템 합성)
        아이템을 합성하여 새로운 아이템을 만드는 스킬입니다. 스킬레벨이 오를 수록 조합할 수 있는 칸이 넓어지며 칸이 넓어지면 좀 더 다양한 아이템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 만드는 레시피는 다른분이 잘 정리하여 정보게시판에 올리셨습니다.(레시피는 게시글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어:마그)
        고레벨 장비아이템의 재료 중에 매우 드물게 나오는 재료아이템을 하위 재료를 합성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예-갈색티니뿔, 황혼결정 등)
         다양한 경우는 아니지만 금괴라는 재료아이템으로 케릭터가 착용할 수 있는 헤어악세서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쁜쓰레기 호문쿨루스도 마그눔 오푸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다른분들의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검색어:호문)

     5) 젬 로스팅(로스팅 상점 개설)
        색깔 젬(파랑, 빨강, 노랑, 초록)의 패널티를 없애주는 상점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젬 로스팅의 스킬레벨과 젬 레벨별 패널티가 비례합니다. 예) 젬 로스팅10레벨 -> 빨강젬1~10레벨 패널티 삭제
         패널티 삭제 가격이 그리 비싸지 않아서(다른 스펙업 컨텐츠보다는) 거의 필수로 사용되어지지만 깜빡하고 로스팅하지 않은 젬을 박으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재료는 따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급자 재료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자투리시간에 틈틈히 만든 글이라서 어법에 맞지 않는 글이 많을지 모르겠습니다. 부족한 정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친절하게 덧글로 설명부탁드립니다. 다른 정보 글쓴이 분께서 링크 걸어놓은 것이 불쾌하시다면 링크를 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