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George Devore, 도탁스

귀찮아서 복붙했는데 혹시 엑박이 뜨거나 하면 알려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 본문 내용을 html 코드로 인식해 사라지는 부분 수정했습니다.

- 이미지가 엑박으로 표시되는 현상 수정했습니다.



▶ 요약


▷ 클라이언트 폴더로 이동하여, 'user.xml' 파일을 메모장으로 실행합니다.(우-클릭 > 편집)

내용 중 'UseEnvEffect = "1"' 항목에서 1(True)의 값을 0(False)으로 변경합니다.


이 후 게임을 실행하면 맵의 안개나 모래바람 효과 등이 깔끔하게 제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대왕의 관문에서 실험해보세요.



* 혹시 'user.xml' 파일이 없으신 분들은 아마 게임 내에서 그래픽 설정을 한 번도 안 바꿨기 때문일 겁니다.


* 참고로 게임 이미지 때문에 오해가 있을 거 같아 미리 말하자면,

다른 게임도 그래픽 옵션 선택 정도는 *.ini파일 등으로 저장되어 메모장으로 변경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원래 메모장 만능임)






파일 내 다른 옵션이나 게임 내 설정 옵션에 대해 알고 싶다면? 




▶ Intro 페이지 설정


▷ Login SaveId="0" RecentServer="1001" RecentChar="2"

최근 아이디, 최근 서버, 최근 캐릭터 저장 옵션






▶ 게임 내에서는 숨겨진 옵션 설정


* 제가 노트북으로 게임을 하기 때문에 적용 안 된 옵션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표시)


Use는 사용 여부를 뜻하므로 "0"은 False, "1"은 True 값을 반환합니다.

쉽게 말해 "이 옵션을 적용할까요?"라는 질문에 0은 "노"1은 "예스".


▷ UseWater="0" (기본값 : 1)

물이 찰랑이는 효과 옵션(예상) : 현재 이 옵션 값과 상관없이 '저사양 모드'를 선택해야 이펙트가 사라집니다;

혹은 '자동 설정'을 선택했을 때, 프레임이 많이 떨어지면 이펙트가 사라집니다.


▷ UseFastLoading="1" (기본값 : 0)  

빠른 로딩 옵션 : Yes로 설정하면 로딩 Bar의 속도 자체는 확실히 부드럽고 빨라집니다만, 

실제 로딩 속도는 딱히 체감되지 않습니다. (노트북이라 워낙 느려서 차이를 못 느끼는 걸 수도 있음)


▷ UseEnvEffect="0" (기본값 : 1)

환경 효과 옵션 : 안개, 모래바람 등의 환경 효과 옵션입니다.

0으로 설정 시, 모래바람과 안개 등의 환경 효과가 사라집니다.


▷ UseEnvSound="0" (기본값 : 1)

환경 소리 옵션 : 환경 이펙트의 소리인 바람소리 등에 대한 옵션 같은데 바람 소리나는 맵을 못 찾아 비교는 못 해봤습니다.


▷ CaptureFormat="1" (기본값 : 1)

캡쳐 포맷 옵션 : 바꿔도 1로 재설정되고 무조건 *.Jpg, *.Avi로 저장됩니다.(변경 불가 옵션)


▷ ChatEditVisible="0" (기본값 : 0 or 1)

채팅창 관련 옵션인 듯 하지만 수정해도 딱히 변화가 없는 옵션입니다.


▷ MouseSensitivity="1.00" (기본값 : 1.00)

마우스 속도 설정 옵션.


▷ UseCharLod="0" (기본값 : 0)  

캐릭터 정밀도(Level of detail) 옵션인 듯 한데, 켜나 끄나 변화가 1도 없음.


▷ UseEffectHigh="0" (기본값 : 1)  

고성능 이펙트 옵션인듯 하나, 어디에 있는 어떤 이펙트 적용되는 지 모르겠습니다.


▷ DevGamma="10" (기본값 : 10)

감마 조절 옵션 : 낮춰도 어둡기만 하고 성능이 향상되지는 않으니 건드릴 필요 없습니다.


▷ ResizeLevelOfTextures="0" (기본값 : 0)  

텍스쳐 레벨 리사이즈 옵션 : 값은 0,1,2가 있는데, high / medium / low 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양에 맞게 리사이즈 하면 FPS가 보정되는 걸로 알고있는데, 값에 변화를 줘도 큰 변화가 없습니다.

추측으로 '저사양 모드' 옵션에 자동 포함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 DrawActorPersent="30" (기본값 : 99)

▷ DrawMonsterPersent="30" (기본값 : 99)

??? : 보통 99로 설정되어 있는데, 수치가 다른 컴퓨터도 있는듯 합니다.(80~90사이)

몬스터나 캐릭터 등을 시야의 몇%까지 표현할 건지에 대한 옵션이라고 예상하는데 확실하지 않습니다.

(아이온에 이름까지 유사한 옵션이 있었음)

99에서 30까지 줄여봐도 딱히 다른 점을 잘 모르겠네요.






▶ 카메라 설정


▷ InverseCameraHor="0" InverseCameraVert="0" InverseCameraZoom="0" 

CameraZoomIndex="3" UseCameraRotation="0" MaxCameraLongitute="45" 

카메라 좌우/상하/원근 반전, 회전 및 각도 옵션인데, 시야가 늘어나는 게 아니니 건드릴 필요 없습니다.






▶ 게임 내 표시된 옵션 설정


* 검색해 본 정보라, 실제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 Language="kr" 

언어 설정 : 게임 전반적 언어 설정인듯 합니다. (게임 내 표시 안 됨)


▷ UseGlow="0" 

광원 효과 : 빛반사 표현 등 [끄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UseFXAA="1" 

안티앨리어싱 : 오브젝트 모서리가 계단처럼 부자연스럽게 깨져서 출력되는 것을 없애줍니다.

[끄면 성능이 향상되나, FXAA 기술은 성능을 크게 낮추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 UseWarfog="0" 

비넷팅 : 화면 중앙은 밝게 가장자리는 어둡게 하고, 왜곡시켜 화면 중앙을 강조시켜줍니다. [끄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UseDepth="0" 

심도 (Depth of field) : 화면에 초점을 주는 효과로 피사체는 뚜렷하게, 그 외에는 흐릿한 효과를 주어서

초점이 없는 3D 화면을 눈으로 보는 거 같이 초점을 만들어주는 효과인데, 켜도 딱히 그런 거 같지 않죠..?

[끄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UseBloom="0" 

빛번짐 : 빛이 번지는 효과, 일명 뽀샤시. 색을 화사하게 표현해줍니다. [끄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UseSoftParticle="0" 

Soft Particle : 3D 오브젝트들이 겹치면 오브젝트가 잘려보이거나 벽을 뚫고 나와 낀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보정.

충돌 지점을 반투명 처리해서 두 오브젝트가 자연스럽게 겹쳐 보이도록 처리합니다.

[처리에 연산이 필요해서 끄면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고 합니다.]


▷ UseHighTexture="0" 

고성능 텍스쳐 : 트오세 클라이언트 내에는 텍스쳐를 두가지로 구현해 놓고 있습니다. 


<데스 위버 texture_low>



<데스위버 texture_normal>



low가 훨씬 흐릿하죠? (특정 부위를 찍은 듯 한 건 기분탓입니다.)


이러한 조각들이


<하카펠 마스터 _ hi>



이러한 뼈대에 입혀지게 됩니다. 아마 이것에 대한 옵션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용량만 비교해도 같은 이미지가 일반 342kb, 저사양 63kb 입니다. 성능 증가는 당연합니다만!

[끄면 성능이 대폭 향상되..어야 하는데 지금 꺼도 저사양 텍스쳐로 적용이 안 되는 거 같죠..?]


* 사실 Char_hi / Char_texture / Char_texture_low 3가지라 리사이즈 옵션(high, medium, low)인 줄 알았는데

파일을 열어보니 hi는 뼈대고 이미지는 일반 / 저사양 2종류 뿐이라 아닌 거 같네요.


▷ UseLowOption="1" 

저사양 모드 : 저사양 모드에 대한 고정된 옵션 설정이 있는듯 보입니다. 

저사양 모드에서는 몇몇 고정적으로 무시되는 옵션이 있습니다

왜 저사양 텍스쳐는 적용 안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켜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 AutoAdjustLowLevel="0" 

성능 조정 : 저사양모드(0), 자동모드(1), 사용안함(2)


▷ 다른 캐릭터 이펙트 보기

해당 옵션만 파일 내에 존재하지 않는데, 아무래도 미구현이 아닌가 싶습니다.






▶ 해상도 및 사운드 설정


▷ Resolution mode="2" width="1280" height="657" BitPerPixel="32" VSync="1"

전체화면, 창모드, 해상도, 수직동기화 

창모드가 전체화면보다 더 빠르다는 설이 있으나 [큰 차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해상도를 낮추면 [성능이 향상됩니다.]

수직 동기화는 모니터에 게임의 화면 갱신 횟수를 맞춰주는 옵션으로, 끄면 복시 현상이 일어납니다.

[끈다고 성능이 향상되는 게 아니므로, 켜두는 게 좋습니다.]


▷ Sound TotalVolume="118" SoundVolume="131" MusicVolume="0" Language="korean"

볼륨 및 언어 : 위의 언어 설정과 겹치고, 사운드에 위치한 걸로 보아 대사 언어를 설정하는 듯 합니다.

혹시 해서 english로 바꿔봤는데, 생각해보니 스킬이 전부 영어라 변화가 없습니다...;






P.S : 어우 실험해본다고 느린 노트북으로 수십번 껐다켰다 한 듯...ㅜㅜ


+ 보너스


3번째 히든 클래스로 예상되는 하카펠(Hackapell, 궁기병)




▷ 전직 퀘스트 자체는 시노비와 함께 이미 OBT 시작 전부터 클라이언트에 있었는데

시노비와 달리 모종의 이유로 막아둔 듯 보입니다.


▷ 퀘스트 파일 내의 전직 후 클래스 레벨 변화 부분이 비워져 있고, 페디미안에 있던 전직 NPC도 삭제되었습니다.

대사나 다른 여러가지 조건들을 볼 때, 일반 페디미안 NPC로 기획되었다가 사라진 걸로 보입니다.

(채플린은 오픈 후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에 기입 된 기존 하카펠 마스터 위치입니다. 

위치는 OBT 초기 자료라 현재랑 다를 수도 있습니다. (맵 부분은 이 후로 귀찮아서 다시 추출 안 했거든요..)




물론 문제가 있어 사라진 거라면 다른 게 먼저 나올 수도 있겠지만.. 이왕이면 준비한 거 먼저 내겠죠?



▷ 참고로 시노비 전직 퀘스트 빈 두루마리를 주는 항아리는 총 3개




리스폰 타임이 14,400,000 입니다.(단위는 잘 모르겠네요.) 

3,600으로 나누면 4,000인데 4시간 아니면 40시간으로 예상됩니다.(4시간이겠죠?)


▷ 또한 현재 클라이언트 내에는 기존 직업군과 센츄리온, 시노비, 채플린, 하카펠 외에는 전직 퀘스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