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크링엘엘엘 선지자 세컨드시즌입니다 -_-ㅋ

 

2주전에 130달성하고 위크링엘엘 공략본을 작성했는데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됬군요.

초기버전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197&l=3921

(조회수가 1만인데 추천수가 16밖에 안되서 인증글에 못올라갔다는 슬픈 얘기가...)

 

6랭크도 달성했고, 새롭게 정리해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구원의 손길을 주고자 편집/추가합니다.

 

혹시 모르니 팁게시판에도 @_@

 

<위크링엘엘엘의 장단점>

 

1. 장점

 

빙결을 통한 생존, 조인트를 통한 유틸, 다양한 연계기, 광역딜 다수 존재, 다중속성을 통한 약점 보완, 공중몬스터에 대한 패널티가 거의 없음, 파티플레이에 적합함, 이슈되고있는 직업군인 링커+엘3을 연계하기 가장 쉬운 랭크업, 쓸 수 있는 스킬이 많기 때문에 덜 지루함.

 

링1이면서 엘3이기 때문에 파티에서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파티플을 더 강화하고 싶다면 위크링엘엘링도 추천합니다.

 

2. 단점

 

위크링암이라는 새로운 질병 탄생, 쿨타임이 파이로에 비해서는 약간 부족함, 파이로에 비해서는 보스전이 약간 느림(그래도 크3보단 빠릅니다.)

 

<주력 딜 기술>

 

1. 일렉트로큐트

 

크리오 / 크리오맨서 : 결빙 특화 -> 전기 데미지 50% 증가

링커 / 조인트 페널티 : 전기 -> 전기 데미지 50% 증가

엘리 / 일렉트로큐트 : 결빙 마법피해 -> 빙결 대상한테 일렉 마공 100% 추뎀

엘리 / 레인 -> 전격 데미지 35% 증가.

 

데미지 증가는 곱연산, 추뎀은 합연산입니다.

 

사실 이 케릭을 키우게 된 아이덴티티입니다.

 

33초의 나쁘지 않은 쿨타임의 광역기이고, 카타콤 솔플을 가능하게 해주는 일등공신입니다.

 

위저드계통의 유일한 전기속성이기도 합니다.

 

일렉뽕은 써본사람만 안다는 말도 있을정도입니다.

 

주로 조인트 - 행맨 - 아볼 1단계 or 아이스파이크 - 일렉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은 전기에 연계되는 대상이 늘어남에 따라 타격수가 증가한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스전에서는 활용하기 힘듭니다.

 

주로 보스가 소환하는 함정과 쫄몹이 있을때 사용합니다.

 

2. 프로스트 클라우드

 

엘3의 존재이유라고 부를 정도로 DPS가 높은 스킬입니다.

 

지속시간이 10초지만 각 초당 3틱이고 범위도 상당한 수준입니다.

 

장판계열이기 때문에 약점이 있지만 아우드라 스태프를 사용하게 되면 훌륭한 CC기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아우드라를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시면 대부분 얼어서 나오지 못합니다.

 

3. 헤일 / 홍염

 

둘 다 적중률이 호구성을 띈 스킬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그걸 보완해줄 조인트가 있습니다.

(만능 조인트설)

 

중요한 점은 절대 행맨을 쓰시면 안된다는 겁니다.

(넓게 퍼져있을수록 누적뎀이 올라감)

 

헤일은 초당 3~5발정도 떨어지는데 각각 타격 판정이 있어서 조인트에 연계해주면 매우 강력해집니다.

 

벽헤일/벽홍염이라고 맵의 끝부분에 헤일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는데 밀집도가 높아져서 딜량이 상승합니다.

 

홍염도 마찬가지인데 특이점은 홍염 자체의 데미지보단 화상데미지를 주력으로 삼는다는 겁니다.

 

화상 또한 조인트로 연계 가능하며 각각의 틱뎀이 어마어마합니다.

 

특히 빙결속성의 몬스터한테 약간 취약하기 때문에 홍염과 일렉을 통해 이를 보완해줘야 합니다.

 

카타콤 거미가 그 대표적인 예인데 조인트 홍염이면 한 웨이브 정리가 가능합니다.

 

4. 아월+조인트

 

보스전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실 아월 조인트입니다.

 

스테프를 낀 상태 OR 단검을 착용한 상태에서 c를 통해 보조무기공격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아이스월의 파편을 발사하는겁니다.

 

이 때, 조인트를 넣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데 가장 쉬운 방법은 2 X 3 모양을 만들어 준 후 타겟 고정(Ctrl)을 눌러서 보스를 타겟으로 삼지 않고 아이스월에 조준하면 됩니다.

 

타겟 고정을 풀어주면 조인트는 바라보는 방향의 가장 가까운 대상을 목표로 삼기 때문입니다.

 

<아이템>

 

 

1. 로르데

 

로드 + 아르데 대거를 쓰면 높은 데미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싼 가격에 장비할 수 있고, 보조무기공격이 단검찌르기가 스태프 휘두르기보다 빠르기 때문에 아월+조인트 연계의 핵심이 됩니다.

 

170레벨 미만의 로드는 아무거나 끼셔도 상관없습니다.

 

심지어 강화도 하지 마세요. 돈낭비입니다.

 

170레벨이 되시면 아스턴 로드, 이그니션 둘 중 하나를 고민하게 될 겁니다.

 

아스턴 로드는 높은 깡공, 적절한 가격, 폭포닥사를 통해 구할 수 있는 매력적인 가성비 무기입니다.

 

반면 이그니션은 높은 가격에 버그도 존재해서 비추천합니다.

 

아르데 대거는 유명한 데미지 증가 아이템으로 90제 인던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모든 데미지를 증가시켜줍니다.

 

2. 스태프

 

데미지는 로르데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유틸성이 필요한 무기를 찾는게 좋습니다.

 

그 중 최상의 무기는 아우드라인데 빙결속성 공격 시 15%확률로 얼려줍니다.

 

각각의 타수마다 적용되며, 조인트에 연계된 대상도 각각 빙결확률을 갖기 때문에 크링엘에 최적화 된 무기입니다.

 

추후에 더 높은 레벨의 장비가 나오더라도 유틸용 스왑장비로 계속 쓸 수 있습니다.

 

경매장에서 완성된 무기를 사는 것보다 직접 제작하는것이 50%정도 싸며, 제작 재료도 구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경매장 190만 / 제작비용 100만 경매장에 대부분 있는 재료임.)

 

<스텟>

 

스텟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1. 지능

 

모든 스텟 중 가장 똥이라 알려진 지능입니다.

 

소서처럼 지능에 좌우될 정도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체력과 정신도 같이 투자해주면 좋습니다.

 

하지만 역시 딜을 올리려면 반드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2. 체력

 

개인적으로 1만의 피통은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80까지 투자한 상태입니다.

 

너무 늦게 투자하면 육성하는데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일찍 일찍 투자하는걸 권장합니다.

 

보통 3레벨업 할때 1씩 투자해준 걸로 기억합니다.

 

3. 정신

 

지능 스텟이 생각보다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정신에 꽤 투자해준 편입니다.

 

개인차가 있지만 저는 스킬을 꽤 많이 쓰는 편이기 때문에 70까지 투자해줬습니다.

 

1랭크 상승할때마다 10~15씩 투자해줬습니다.

 

<스킬 포인트 투자>

 

1. 위저드

 

초반 육성을 편하게 하려면 에너지 볼트, 어스퀘이크, 리플렉트 쉴드를 올리면 됩니다.

 

저는 그냥 에너지 볼트를 올리지 않고 슬리프를 올렸습니다.

 

어차피 어스퀘이크 외에는 쓰지 않아요.

 

2. 크리오맨서

 

아이스볼트 4 / 아이스파이크 5 / 아이스월 5 / 아이스 블래스트 1

 

혹시 모를 상향을 기대하며 아이스 블래스트에 1 투자 된 상태입니다.

 

아이스볼트 5를 해줘도 문제 안됩니다.

 

3. 링커

 

언바인드 1 / 피지컬링크 4 / 조인트 패널티 5 / 행맨스 낫 5

 

언바인드 반드시 1개 찍어주셔야 합니다. 괜히 잘못해서 욕먹지 마시고요.

 

물론 어스퀘이크로 끊어줄 수 있지만 못하는 경우도 분명 있습니다.

 

위크링엘엘링을 가실 분들은 피지컬링크를 찍지 않는걸 권장합니다.

 

4. 엘리멘탈리스트

 

일렉트로큐트 15 / 헤일 10 / 홍염 1 / 메테오 1 / 프리징 스피어 1 / 레인 1 / 프로스트 클라우드 5

 

약 10개의 스킬포인트가 남게 되실겁니다.

 

광역 한방을 원하시는 분들은 메테오에 2~3정도 더 투자하셔도 되고, 헤일 지속시간을 늘리실 분들은 헤일에 5 투자하시면 됩니다.

 

일렉은 반드시 마스터 해주세요. 스킬 레벨 오르는 버프 받으시면 적용 대상이 1개 더 추가됩니다.

 

저는 아직 스킬 포인트가 부족해서 14개까지 줬네요.

 

홍염 또한 반드시 1개 찍으세요. 초중반을 담당할 강력한 스킬중 하나입니다.

 

추가 : 일렉은 최소 9개부터 위력을 발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헤일/홍염/프리징 스피어/메테오 먼저 투자하는걸 추천해요. 저는 엘1에서 일렉5 / 헤일5 / 홍염1로 스킬포인트 4개 남겨서 엘2찍자마자 일렉부터 9 찍었습니다.

 

<동영상>

 

폭포 도는 영상 추가했습니다.

(주술사, 수색꾼 극혐주의)

 

찍고보니 둘이 별 차이가 없긴 한데 인던이나 동랩 필드가면 차이가 좀 납니다.

 

1. 로르데 

 

 

2. 아우드라

 

130레벨대 동영상은 초기버전 게시글을 참고하세요.

 

<7랭크와 그 후 미래>

 

일단 히든직업이 무슨 속성스킬을 쓰는지 알려진게 없습니다.

 

현재로는 딜보단 유틸계통을 하나 더 올려줘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2링커를 가는것도 좋고, 워록이나 페더풋을 가서 딜을 더 강화해도 좋습니다.

(두 직업 모두 2,3서클에 뭐가 나올지 몰라서 ㅠㅠ)

 

쏘마를 올려서 버프를 쓰는것도 고려중입니다.

 

물론 위크링엘엘링을 가신분들은 당연히 엘리 한번 더 거치셔야 하고요.

 

기존의 피카츄 컨셉으로 전기속성 직업이 더 추가되면 좋을거 같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