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IEM 트위터


옵저버 핵고통 경기

WE는 이번 경기도 탑-미드 라이너가 순간 이동을 들었다. 미드 라이너는 다이애나, 탑 라이너는 헤카림이었다. 두 챔피언 모두 순간 이동과 잘 어울리는 챔피언. 겜빗은 탑 모르가나, 미드 트위스티드 페이트를 선택했다.



겜빗의 서포터 '에드워드'가 쓰레쉬로 WE의 블루 버프를 뺏었다. 퍼런 날이 살아 있었다. 선취점은 겜빗이 획득했다. 탑 라인에서 벌어진 교전에서 WE의 헤카림을 잡았다. 이 싸움에서 WE의 미드 라이너인 다이애나가 합류하며 커버까지 했기 때문에, 겜빗의 트위스티드 페이트는 편하게 CS를 획득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드래곤은 WE가 획득했다. '스피릿' 이다윤의 렉사이가 언덕을 넘어 드래곤 둥지로 잠입했다. 나쁘지 않았다. '미스틱' 진성준의 시비르가 겜빗의 '피노이' 그레이브즈보다 더 많은 CS를 획득하고 있었고, 타워 상황도 뒤지지 않았다.

그리고 기동력은 확실히 WE의 우세였다. 다이애나, 헤카림의 순간 이동과 렉사이까지. 엄청난 속도전 능력을 보여줬다. 우르르 몰려가서 순식간에 교전을 종결하는, 우르르 메타의 탄생이었다.

WE는 멈추지 않았다. 특히 'xiye'의 다이애나는 교전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팀을 믿고 일단 들어갔다. 코어 아이템은 심연의 홀밖에 없었지만, 대미지는 꽤 효과적으로 겜빗을 압박했다. 두 번째 드래곤도 WE가 획득했다. 첫 번째 드래곤을 잡을 때와는 상황이 달랐다. 이제는 정면에서, 당당히 드래곤의 둥지를 방문해 버프 조공을 받았다.

겜빗은 WE의 공격에 당황하다가 중반에 접어들면서 잘 막았다. 역이니시에이팅에 능한 모르가나와 쓰레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교전에서만 빠름을 보여준 것이 아니고, 운영도 WE가 빨랐다. 다이애나가 끊기는 상황에 드래곤과 미드 2차 타워를 파괴하는 운영은 정말 일품이었다. 그리고 다이브 갱킹까지 시도하며 3차적인 이득까지 획득한 WE. 베테랑 겜빗이 흔들리고 있었다.

승기를 잡은 WE가 바론 사냥을 시도했다. 하지만 겜빗의 정글러 '다이아몬드프록스'가 바론을 스틸했다. 과연 극적 반전이 될 수 있었을까. 되지 못했다. '다이아몬드프록스'의 니달리는 바론 둥지 안에서 사망했고, 후퇴하는 겜빗의 꼬리를 잡은 WE가 바론을 뺏긴 분풀이를 제대로 했다.

속도. WE의 컨셉이 제대로 발휘됐다. 27분경 벌어진 한타에서 'xiye'의 다이애나의 활약으로 대승을 거둔 WE가 봇, 미드 억제기를 차례로 파괴했다. 렉사이는 귀환 후 체력을 채우지도 않고 합류할 정도로 빨랐다.

겜빗은 더 이상 WE의 속도를 멈출수도, 최소한의 저항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힘이 빠졌다. 결국, WE가 겜빗을 잡으며 최종전으로 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