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들의 경기력을 과시한 싸움꾼 EDG

9일 미국 플로리다 탈라하시에서 MSI 2015 2일 차 EDG와 프나틱의 경기는 싸움꾼 EDG의 승리로 끝났다. 싸움꾼의 냄새를 풀풀 풍긴 EDG는 싸울 때마가 강해지는 중국 LoL의 특징을 제대로 보여줬다. 프나틱은 순간순간 번뜩이는 기지를 보여줬지만 몸이 풀린 듯한 EDG의 경기력에 고개를 저었다.


경기 시작과 함께 프나틱의 '옐로우스타'가 점멸을 사용하면서 상대의 골렘을 빼앗았다. 상대 서포터의 점멸이 빠진 것을 본 EDG의 '클리어러브'의 그라가스는 바로 봇 라인으로 향해 갱킹에 성공했다. 바텀으로 향하는 상대 정글을 본 '레인오버' 김의진의 렉사이가 상대 블루를 훔친 후 탑 갱킹을 시도했지만, 타워에 자신도 죽는 불상사가 벌어졌다. 경기가 초반부터 매우 긴박하게 흘렀다.

EDG가 탑 라인에서 다시 한 번 득점에 성공했다. '클리어러브'의 적절한 갱킹이 아주 매서웠다. 봇 라인에서도 '데프트' 김혁규-'메이코' 듀오가 상대 서포터와 텔레포트를 쓰고온 탑 라이너 럼블까지 잡으면서 시원하게 앞서 나갔다.

미드에서도 EDG의 '폰' 허원석이 cs를 두 배 이상 수급했다. EDG가 전 라인에서 앞서 나가는 모습을 보이자 프나틱이 미드 라인에 서포터, 정글러의 로밍을 통해 상대 르블랑을 잡고 풀어주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바텀 라인에서 EDG가 다시 한 번 상대 서포터 애니를 잡았다. 이를 바탕으로 상대 오브젝트와 첫 번째 드래곤을 챙기면서 무서운 경기력을 뽐내기 시작했다.

봇 라인의 균형이 무너지자 프나틱이 미드, 탑 위주로 싸움을 이어갔다. 서로 물고 물리는 싸움이 이어지면서 각 선수의 개인기가 빛을 발했다. 타워 근처에 있는 그라가스를 죽일 수 있다고 판단한 '레인오버' 렉사이의 판단도 좋았고 이를 보고 빠른 커버를 온 EDG '메이코'의 백업도 빛났다. 경기는 여전히 EDG가 유리했다.

EDG의 봇 라인 듀오가 전장을 탑으로 옮기며 스노우 볼을 굴리려는 시도를 보였고 이대로 끌려가면 답이 없다고 판단한 프나틱이 싸움을 걸었다. 이 과정에서 프나틱은 잘 성장한 상대 칼리스타를 잡는 성과를 올렸지만 싸움에 크게 지면서 계속 손해를 봤다. EDG는 두 번째 용까지 챙겼다.

'데프트' 김혁규의 칼리스타가 크게 성장했고 칼리스타가 압박하는 곳을 프나틱이 막을 재량이 없었다. 못참고 싸움을 건 프나틱이지만 칼리스타의 화력과 '코로1' 마오카이의 탱킹 능력을 버텨낼 수 없었다. EDG는 어느새 타워 5개를 파괴했지만 프나틱은 단 하나의 타워도 파괴하지 못했다.

탑 라인의 억제기를 파괴하고 세 번째 용까지 챙긴 EDG. 비록 '폰' 허원석의 르블랑이 압박을 시도하다 죽었지만 상대 레드 진영에서 싸움을 걸어 크게 이겼다. 상대 제드는 '데프트' 김혁규의 칼리스타를 잡고자 노력했지만, 칼리스타-쓰레쉬의 강력한 조합을 뚫어내진 못했다.

이전 싸움의 승리로 바론을 챙긴 EDG. 가는 곳마다 싸움을 이겼다. EDG는 언제든 경기를 끝낼 힘이 있었다. 그러나 최대한 안정적으로 상대를 천천히 요리했다. 3억제기를 파괴한 EDG는 상대 넥서스를 파괴하고 승리했다.

MSI 취재 (=미국 플로리다)
허용욱(Noctt) 기자



※ 선수에 대한 과도한 비방 욕설은 통보없이 삭제되며 이용 제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