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게임 내 발생하는 사기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내용상 사기 사례 유형과 대처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을 읽는 메이플 스토리 인벤 유저들은 본문에 나온 내용을 악용하지 않고,
건전한 게임 거래를 이끌어 나가리라 믿습니다.




게임을 하다 보면 빈번히 발생하는 사기 피해.


메이플 스토리 인벤 게시판에도 사기피해 사례나
사기를 당하지 않는 방법이 적힌 글들이 종종 올라오고 있다.


게임에서 주로 쓰이는 사기 수법,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해 모아보았다.



게임 내 발생하는 사기 유형과 대처법 소개


게임에서 발생하는 사기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개인 상점을 이용한 사기,
유저간의 1:1 거래를 악용하는 사기 유형이 존재한다.


각각 유형별로 어떤 사기수법이 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 상점 사기


유형 1) 고가의 아이템과 비슷한 아이콘을 가진 아이템


게임에서 몬스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잡 아이템의 이미지가
쉽게 얻을 수 없어서 고가에 거래되는 아이템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것들
이 있다.


대부분 유저들이 아이템 이름을 줄여 부르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아이템 명칭을 모르고 아이콘 이미지도 동일하기 때문에
거래 상점에 올라온 아이템을 대뜸 사버리는 경우가 발생.



[ 잡템을 고가의 거래템인 척 올리는 사기 수법]



너무 당연한 걸수도 있지만 이런 사기는 자유시장에서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아무래도 아이콘 이미지가 동일한 이유가 가장 큰데,
개인 상점에서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을 발견했을 경우
꼭 한번 마우스 오버로 아이템 이름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개인 상점에 올라온 아이템 중에서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아이템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해당 아이템의 설명을 볼 수 있고
그 아이템이 잡템인지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인지 구분할 수 있다.


간단한 것이지만 피해 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사기 수법이니
개인 상점을 이용할 때 한번 더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유형 2) 묶음 판매와 개당 판매


최근 기술시대 패치로 아이템 제작에 쓰이는 재료 아이템들의 거래가 활발해지며
'마법의 가루'를 포함한 광물,채집물 등을 구하는 유저가 많아졌다.


이 수법은 유저와의 1:1 거래에서도 등장할 수 있는 유형인데
아이템을 묶음으로 판매하겠다고 하고 묶음이 아닌 개수로 거래를 올려
묶음으로 판매했을 때의 메소를 받는 사기
를 말한다.


예를 들어 '마법의 가루 10개'를 1000 메소에 거래하기로 했는데
1개의 마법의 가루만 거래창에 올리고 1000메소를 받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다른 캐릭터로 상점을 열어두고 자유시장에서 다른 사람인척 접근해서
어디어디 상점에 그 아이템이 있다고 귀뜸해서 구입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구입하려는 아이템이 묶음 판매인지 개수 판매인지 확인하고 구입, 사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자.



[ 묶음 판매인지 반드시 확인하자]





◆ 1:1 거래 사기


유형 1) 인기도와 메소의 교환


게임 내에서 인기도를 교환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메소로 인기도를 사는 경우도 있다.


인기도를 올려주기로 하고 메소를 상대방에게 건냈지만
인기도를 올려주지 않고 잠수타는 경우를 말한다.


게임상에서 다른 사람의 인기도를 올려줄 수 있는 횟수는 한정되어 있고,
인기도 올리기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인기도가 필요하다면 메소 거래보다는 서로 인기도를 교환할 유저를 찾아
교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가급적 모르는 사람과의 인기도 교환은 피하는 것이 안전하다.




유형 2) 캐시 충전, 엉뚱한 코드


게임 내에서 캐시 아이템 거래는 무척 활발한 편이다.


직접적으로 캐시 아이템을 거래하는 경우도 있지만,
캐시 충전과 메소 거래를 교환하는 거래도 있고 이를 악용하는 사기 수법이 있다.


캐시를 충전할 수 있는 문화상품권 코드와 메소를 거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 코드와 비슷하거나 이미 사용한 문화상품권 코드를 알려주고 메소만 받고 잠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수법은 특히 나이가 어린 유저들이 무척 많이 당하는 방법인데
판매자가 알려주는 상품권 코드번호가 진짜인지,
이미 사용된 것인지 여부는 코드 번호로만 판단하기가 힘들다.


사기를 당하기 무척 쉬운 수법이므로 가급적 캐시 충전은 본인이 직접 하는 것이 좋다.


▶THND님의 팁 - 캐시 사기 유형1
▶THND님의 팁 - 캐시 사기 유형2




◆ 보너스! 내 계정을 지키자, 계정 관련 사기


게임 내에서 발생하는 사기만큼 많이 발생하는 계정 피해.

"해킹범한테 털렸어요" 남의 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빈번하게 일어나는 계정 사기.
사기꾼으로부터 내 계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방법 1) 개발사 사칭? 비밀번호는 누구에게도 알려주지 말자


버그 유저로 의심된다며 자신의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개발사의 이메일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
잘 모르는 유저는 개발사에서 온 이메일이라 믿고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포함, 계정과 비밀번호를 적어 회신을 한다.


이것은 사기일 확률이 100%로 개인정보를 요구한다면 의심부터 해야한다.
특히 요구하는 개인정보 양식에 "비밀번호" 작성이 포함되어 있다면 100% 사기다.
개발사는 이용자에게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경우가 절대 없다.


이 사실만 정확히 알고 있다면 피해는 없을것이다. 무척 중요한 내용이니
개발사를 사칭한 이메일에 속지 말도록 하자.



[ 이런 메일은 사기일 가능성 100%]





▶돌고래이슈탈 님의 "긴급만화! 당신의 계정이 위험하다"




방법 2) 메신저를 이용한 불법 프로그램, 사이트는 이용하지 말자.


메소 복사, 레벨업 핵, 집에서 PC방 서비스 받기 등등.. 메이플 스토리를 하는 유저라면
누구나 현혹될 수 있는 달콤한 말로 유인해 피해를 입히는 경우
가 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빠르게 메소를 벌거나 PC방 혜택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는 말에 솔깃해
메신저 등을 이용해 불법 프로그램을 다운 받거나 설치해서 계정 피해를 입게 되는 것.


또한 가입만 하면 PC방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말에
자신의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피해를 입는 사례도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게임 계정을 해킹 당하는 주요 원인들로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게임 내에서도 발견한다면 즉각 신고하는 것이 좋다.



[무료 PC방 혜택? 그런거 없다. 속지 말자!]






기본만 지키면 피할 수 있다.


여기 소개된 몇몇 사기 유형 외에도 실제 게임 내에는 더 다양한 사기 수법들이 존재한다.
다양한 사기 수법들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이유는
나이 어린 학생들이 아직 사기의 위험성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사기를 당하는 유저들이 많기 때문도 있다.


그러니 항상 잘 모르는 유저와의 거래에서는 신중해야 하는 것이 좋다.
거래를 할 때 아이템이나 메소 금액을 한번 더 확인하는 등의 기본적인 것들만 지킨다면
사기 피해를 훨씬 줄일 수 있는 것이 사실.



또한 게임 내 신고 기능을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며,
이는 깨끗한 게임 환경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도록 하자.



[사기피해 없는 깨끗한 메이플 스토리, 함께 만들어요!]






Inven Miika - 김소현 기자
(Miika@inv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