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를 시작하기 전에 먼저 용어 정리를 좀 할게요.
슬링어 전탄발사를 하면 밀어버리면서 다른 몬스터나 지형지물과 부딪히게 되죠.
3부작의 첫 번째 주제는 짝/꿍/분노의 역학 관계이다.
짝과 꿍은 비분노 시에만 가능하다는데,
대체 몬스터는 언제, 어떻게, 왜 분노하는 것일까?
몬스터의 분노 유발 요소는 다음과 같다.
A. 짝과 꿍 그 자체가 분노 유발 원인
B. 데미지 누적에 의한 분노 요구치 충족
C. 둥지 침범(라잔) 등 고유의 기믹
C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적으니 제보 바람.
본격적으로 살펴볼 것은 A와 B 인데, 아래를 먼저 전제한다.
A로 인한 분노치와 B로 인한 분노치는 별개로 존재하며,
둘 중에 하나를 만족 시 분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후술)
이하 A를 클러치 분노치, B를 딜 분노치 라고 부르겠다.
하나하나 살펴보자.
A. 클러치 분노치
https://www.youtube.com/watch?v=VyKWWFkwrtE
위 무한루프님의 영상에서는 분노 요구치를 100이라고 할 때,
짝=25, 꿍=50 이라고 하였고, 몹마다 다를 수 있다고 하였다.
일단 위 자료의 짝=25 는 옳지 않다. 이유는 간단하다.
어떤 몹이든 클로공격을 3회 (25x3=75)만 해도 분노한다.
꿍 50은 그렇다 쳐도 짝은 최소 34 이상이라는 뜻이다.
근데 25이든 35이든 정확한 수치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어짜피 기본 전제에 따라 클러치 분노와 딜 분노는 독립적이므로
몇 % 인지 정해진 값인지 별 의미가 없는 셈이다.
중요한 건 몇 번이 되는가 이다.
그래서 테스트해보았다.
짝과 꿍 만으로 몬스터가 분노하기까지의 모든 경우의 수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아래 10가지 외에는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짝 | 꿍 | |
위처럼 좁은 칸 [짝꿍]은 딜레이없이 쏠 때만 가능 |
1 | 짝 | 짝 | 짝 |
2 | 짝 | 짝 | 짝 | 꿍 |
3 | 짝 | 짝 | 꿍 |
4 | 짝 | 꿍 | 짝 |
5 | 짝 | 꿍 | 짝 | 꿍 |
6 | 짝 | 꿍 | 꿍 |
7 | 꿍 | 짝 | 짝 |
8 | 꿍 | 짝 | 짝 | 꿍 |
9 | 꿍 | 짝 | 꿍 |
10 | 꿍 | 꿍 | |
분노조절장애인 키린/찡오나 순둥이들이나 다 똑같음을 체크함.
분명히 짝과 꿍 만으로 라고 했다.
위 과정보다 적은 횟수만 넣었다 하더라도 딜 누적에 의한 분노가 올 수도 있다.
(위 보다 짝or꿍이 더 가능한 아주 특별한 예외가 좀 있는데, 이는 후속편에서 얘기하겠음)
위 표가 헷갈리는 사람은 다음 공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A0. 모든 몬스터의 클러치 분노 요구치는 고정 100 이다.
A1. 짝=35 , 꿍=60 (PC모드로 정확한 수치 밝혀짐)
A2. 짝은 클러치 분노치를 충족하면 더 이상 불가능
A3. 꿍은 분노치를 충족해도 분노상태가 되기 전까진 가능.
이 공식이면 표의 10가지 상황이 다 설명이 된다.
짝으로 분노치를 넘겨도 전탄발사를 즉시 날리면,
분노 상태 진입 전에 꿍을 날리는 게 가능하다.
3회전(270도) 벽꿍이 가능한 이유. (단, 초회차 한정)
그런데 짝꿍은 비분노 시엔 항상 되는 걸까? 그건 아니다.
비분노 시에도 경직, 마비, 기절, 함정 등의 행동불가 상태인 경우,
완전히 풀리는 모션을 끝낼 때 까지 짝꿍은 안 된다.
또한 몬스터의 몇몇 패턴 중일 때도 사용이 안 된다.
(Ex. 특수상태 진입 모션, 점프 공격 등등 다수)
이 경우 짝꿍이 씹히는데, 당연히 클로 분노에는 반영 안됨.
단, 그 동안 들어간 딜은 아래 딜 분노에는 반영됨
이제 딜 누적에 의한 분노치를 알아보자.
일단 이 파트는 월드에서도 이미 충분히 다뤄졌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문헌을 참조하고,
https://bbs.ruliweb.com/family/4442/board/184513/read/175189
이 글에선 일부 중요 내용과 A와의 상관관계 위주로 살펴보자.
[월드 기준 팩트 체크]
1. 몹마다 분노치는 정해져있으며, 역전/상/하위/솔로/멀티 구분없이 이 값은 동일하다.
2. 분노 축적량은 딜과 1대1이 아님. 이후 '분노축적률'='축적량'/'딜량' 이라 하겠음.
3. 분노축적률은 몹마다 동일하지 않으며, 심지어 같은 몹이라도 전투 중에 조차 변한다.
아이스본에서 뭔가 변동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지만,
플스로는 정밀한 검증이 어려움... 그래도 일단 체크는 해봤다.
일단 난이도 및 멀티 여부에 따라 분노치 or 분노축적률이 달라진다는건 99.9% 확실하다.
특히 마랭에서는 상위 몹의 최소 5배 이상 뻥튀기 된 걸로 추정된다.
(아니면 분노축적률이 1/5배 이하로 줄어들었거나… 알 수 없음)
아이스본 패치 노트에도 변화를 암시하는 듯한 문구가 있다.
https://www.monsterhunter.com/update/mhw/kr/ver10_10.html
암튼 짝꿍 없이 엄청 후드려 패기만 해도 몬스터는 분노한다.
글의 서두에 이렇게 전제했었다.
A로 인한 분노치와 B로 인한 분노치는 치는 별개로 존재하며,
둘 중에 하나를 만족 시 분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간단히 검증하고 넘어가보자.
대상 | 약 630 딜을 주면 분노하는 (하위)도스쟈그라스 |
방법1 | 400 딜을 준 후 짝 몇 번 되는지 확인 |
결과1 | 3회 가능 |
방법2 | 짝 2번 후 딜 얼마 주면 분노하는지 확인 |
결과2 | 약 600에 분노 (2회의 클로 딜+탑승 딜 배제) |
외에도 수많은 정황 증거를 다들 경험했을 것이다.
두 분노치가 나뉘어 있다는 또 다른 증거는
피로 상태에서 A, B를 각각 만족시켰을 때의 차이점이다.
A(클러치 분노)는 피로상태를 덮어쓴다.
아래 짤에서 도전자 off/on 를 주시하자.

B(딜 분노)는 피로상태를 덮어쓰지 못한다. (끝날 때까지 지연)
영상은 길어서 실험으로 대체
대상 | 약 850 딜을 주면 분노하는 (상위)도스쟈그라스 |
방법 | 피로 상태에서 1000 딜을 넣었다. |
결과 | 피로시간(40초)이 경과하도록 분노하지 않았다. 이 후 피로상태 종료 액션(고개 까닥)을 취한 뒤 바로 분노 상태에 돌입(with 포효)했다. |
원래 분노와 피로는 서로 동전의 양면 관계였고, 서로를 덮어쓸 수 없었다.
그러나 클러치 분노로는 피로상태가 덮어씌워진다는 점은
두 분노 진입 체계가 구분되어있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분노 상태 자체가 두 가지로 나눠져 있다는 것이 아니라,
분노에 진입하는 시스템이 둘로 나눠져 있다는 말.
또한 A2. 짝은 클러치 분노치를 충족하면 더 이상 불가능
이 항목은 딜 누적에 의한 분노치에도 적용된다.
(검증 실험)
대상 | 약 140 딜을 주면 분노하는 (하위)키린 |
방법1 | 약 120 딜을 주고 짝 몇 번 되는지 |
결과 | 1회 후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분노하였다. |
검토 | 탑승 딜과 짝 1회딜의 합이 30 이상이다. |
딜 분노 충족 시 클러치 분노까지 같이 잠기는 시스템인 듯?
그런데 피로상태 실험 중 또 하나의 특이한 결과를 하나 얻었다.
피로 상태에서 딜 분노를 충족시킨 후 짝을 날리면 어떻게 될까?
위 A2 설명대로라면 짝은 안 되어야한다.
(검증실험)
대상 | 약 630 딜을 주면 분노하는 (하위)도스쟈그라스 |
과정1 | 400 딜을 준 후 멸기탄으로 피로상태 만든다. |
과정2 | 피로시간(40초) 내에 650 딜 추가 후 짝 횟수 확인 |
결과 | 3회 가능 (???) |
피로 상태에선 클러치 분노치가 잠기지 않는다.
이게 어떤 의미가 있느냐하면,
딜 분노 충족이 빨라서 꿍이 1회밖에 안되는 몹들이 더러 있는데,
피로 시간동안은 딜 분노 걱정없이 꿍 2회를 확정적으로 넣을 수 있다.
멸기 능력을 기본 탑재한 타격 무기는 좀 더 혜택을 받는 셈.
이 외에도 좀 특이사항이 있는데 후속편에서 소개하겠음.
요약
- 짝/꿍 가능 횟수는 모든 몬스터가 동일하다.(표 참고)
- 짝은 1회 이하로 해야 꿍 2회가 가능하다. (표 참고)
그게 어려울 거 같으면 내렸다가 다시 올라타자.
- 다만, 중간에 딜 누적으로 분노가 올 수도 있다.
- 클러치 분노치와 딜 분노치는 나눠져 있다. (분노는 공통)
- 일반적으로는 둘 중에 하나만 충족되면 분노가 발생한다.
- 단, 피로 상태에서는 딜 분노치가 충족되어도 분노가 지연되고,
이 때 클러치 액션(짝, 꿍)은 정상적으로 들어간다.
- 클러치 분노치를 달성하면 피로 상태를 덮어쓰고 분노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태클 많이 많이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