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린이 사양

 

- OS: 윈도우7 64bit Ultimate K

- CPU: i5-760 오버클럭 3.6GHz

- Ram: 오버클럭 2000MHz, 8GB

- 가상 메모리 할당 안함

- GPU: ATI HD 7870 2GB, 코어클럭 1100MHz, 메모리 클럭 1200MHz / 해상도 1920*1080 기준.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 카탈 버전 14.12 (2014. 12. 04일자)

- superfetch, 터보부스트 기능, 스피드스텝과 내장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설정)

- Windows Search 서비스도 끔.

- 오버클럭은 고정클럭 방식이며, 코어파킹 해제로 모든 코어 작동.

- 오버클럭 하셨다면, 고정클럭이 아닌,

  시퓨 수요에 따라 클럭을 조절하는 방법은 코어파킹 해제와 충돌하여 오히려 렉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코어부스트, 스피드스텝-전원관리설정, 터보코어, 맥스코어 이런 기능 끄는 것과 같은 이유)

- ATI 글픽은 마영전 할때마다 라데온프로 라는 프로그램을 같이 쓰지 않으면

  프레임이 반토막 날 수도 있습니다.

  제 인장에서 테라 팁게시글 들어가시면 옵션설명이 있으니 참고.

  

 

* 링크를 새탭으로 열고 싶으신 분은 마우스 휠 키 클릭이나 Shift+클릭 해주세요.

 

 

 

* 들어가기에 앞서..

 

  제 글들이 기본적으로 길지만 설명하는 것도 같이 적다보니 깁니다.

  하지만,

  '우웅!? 명령어? 그게 모에여? 전 그런 거 잘 몰라여 ♥'

 

 

..하시면 저도.....쿨럭.  ^ㅅㅜㅋㅋ

  관심이 있으시다면 시간을 좀 들여서 노력해보세요.

  용기있는 자에겐 미인이! 아니, 보람이! +ㅅ+

 

  참고로, 전 문과고 그저 컴터에 관심이 많을 뿐입니다 ㅠ_ㅠ

  프로그래밍이요? 저도 그런거까지는 모르지만, 시간도 많이 들여서

  구글링 해가면서 모르는건 이해하고 머리속에 집어넣고, 적용해보고, 실행해봤을 뿐이에요.

  좀더 쾌적한 플레이를 위해!

 

  - 거의 글만 있던 예전 글과 다르게 알록달록하게 하고, 도 있으니 덜 딱딱하..지는 않으려나요!? ㅜㅜ

 

 

 

 

 

 

* 서론

 

 

 

제가 예전에 올렸던 팁에서 네트워크 명령어 설정값(rate)을 대충 최대속도로 쓰다가

렉이 걸리면 약간 낮추라고 했었는데 너무 막연해서

(그 글을 올릴 때 테스트의 압박으로 사망함 ;ㅅ;)


그 이후 최근에 다시 더 적합한 적정값을 찾으려고 해외 여러 사이트를 찾아보고

이번 골든타임때 테스트 해보고

(골탐때 오랜시간 가만히 접속해두어도 튕기지 않는 것도 확인)

이제 어느정도 안정적인 값인 것 같아서 참고해보시라고 올립니다.

(아직 저에게 제일 맞는 값은 아닌 것 같지만 요즘 마영전을 뜸하게 하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ㅎㅎ)

 

  - 내용과는 전혀다른 엉뚱한 댓글을 다는 분들이 있어서 올릴까 말까 고민하다가 올립니다.

 

  - 안티 8배, 이등방성 16배 적용등 컴퓨터 사양과 제 설정값이 안맞을수도 있기 때문에

    첨부파일의 다른 옵션값들은 제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가장 확실하게 적용하는건, 메모장에서 열어서 원래 있던 컨피그 파일에,

    제가 올린 파일에서 일부를 복사해 넣는 식으로 하고 수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주의사항이 있는데 그건 아래 기타 참고글을 참고해주세요.)

   

  - '[UI 반응개선 등] 보다 마영전을 부드럽게 해보자! 글에는 더이상 파일첨부가 안되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하실때 참고하시라고

    이 글에 리얼텍 네트워크 어댑터 고급설정 설명이 적힌 파일을 올립니다.

 

  - 본문의 내용으로도 이해하기 힘드신 분들은 제 예전글을 같이 참고하세요.

 

  - 당연한 얘기지만,

    기본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값을 찾을 때까지 여러번의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이건 원래의 계산식으로 맞춰서 해도 동일하고, 결코 한두번으론 적정값을 찾을 수 없습니다.

 

 

 

* 기타 참고글

 

- [UI 반응개선 등] 보다 마영전을 부드럽게 해보자!

(윈도우 및 네트워크 최적화 일부도 내포)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0820

 

- Config_Material 새로운 명령어 추가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1300

 

 

소스 엔진에서 네트워크 명령어를

간단히 말하자면, rate와 tickrate 값적정한 값이어야 하지만,

이들의 비율도 맞아야 렉이 개선됩니다.

* 다른 네트워크 명령어 값의 비율도 맞아야 하지만 카운터 스트라이크와 하프 라이프 시절

  (2004년 기준-마영전이 그 버전을 개조한거라서) 컴터 사양도 현재와 많이 차이도 나고,

  외국 인터넷 속도와 우리나라 인터넷 속도 차이도 많이나서,

  우선 공식대로 계산을 해보고 거기서 자기에게 맞는 값을 테스트 해보면서 찾아야

  보다 정확한 값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를 실제로 테스트해보니 반응속도가 차이가 났습니다.

 

  - 예: cl_interp, cl_interp_ratio 기준도 옛날 컴터 사양과 외국 인터넷 사양이라 현재의 달라진 사양에 대한

         기준도 없음. 예전에 Tickrate 글과 네트워크 명령어를 올리셨던 분 말대로 이 값들은 0으로 하는게 나은듯.

         어차피 0에 점점 가까워지거든요.

 

1. 마영전 그래픽 엔진은 2004년 소스엔진을 개조한것.
2. 이 엔진에서 쓰이는 네트워크 명령어는 어떤건 사양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고,
   원래 몇몇 명령어들은 비율도 맞춰야 함.

     - 근데 기준이 옛날이라 원래식 참고하고 제가 마영전에 맞게 수정해보려고 적용&테스트..쿨럭.
3. 인터넷 속도와 컴퓨터 사양이 옛날 외국 사양 기준이었다보니 원래 계산식으로 하면
   마영전엔 안맞고, 예시로 나와있는 최대 인터넷 속도에 따른 설정값 가이드라인도

   우리나라 한 90년대 후반쯤(?) 속도까지만 있음.
4. 기본적으로 구글링으로 해외 사이트 뒤적뒤적..orz...
5. 소스엔진은 버전마다 적용되는 명령어가 다름. 근데 이것도 제대로 다 나와있지도 않고,

   잘못된 설명이 적힌 곳도 있어서 여러군데를 검색하게 됨=검색시간 와우!..ㅠ_ㅠ

 

단, 이런 결과는 마영전 서버엔 제한이 걸려있지 않다는 옛날글이 맞다고 가정하고, 핵심적인 개념들을 이해한 후,

실질적으로 유효한 것에 초첨을 맞춰 귀납적인 테스트 결과로 나온 것으로,

서버에 제한값이 걸려있는 경우에는 의미가 상실됩니다.

 

그래서 테스트하고 적용해보면서 이런 어려움이 있어서 죽는줄 알았어요 ;ㅅ;

 

 

그리고, 소스엔진에서 서버측의 Tickrate 값 등등을 설정할 수 있으나,

서버에 설정된 값을 개발사에서 알려주지 않으면 일반 유저는 알기가 힘듭니다.

즉, 서버측의 Tickrate 값도 알고, 콘솔창을 쓸 수 있어서 거기서 볼 수 있는 핑과 손실률을 보면서 하면

더욱더 쉽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겠지만,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콘솔창으로 이것저것 맘대로 치트처럼 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마영전은 그게 기본적으로 막혀있죠.

 

그런데, 마영전 서버의 Tickrate 값은 예전에 네트워크 명령어 팁을 올리셨던 분이

우리나라 마영전 섭에는 제한이 걸려있지 않다고 하셔서 그 말씀이 맞다는 전제하에

간략하게 계산해서 적용하는 법을 이 팁글에 적고자 합니다.

 

  - 원래 이 네트워크 명령어 값은 이 글처럼 간소하지 않고

    여러개의 다른 명령어의 비율이나 계산식에 의해서 구해야 하고, 그 당시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이 되어있었으므로,

    여기에 써놓았던 여러 이유와, 이로 인해 이 그래픽 엔진에 쓰였던 그 개념과 계산식이

    요즘의 컴터 및 인터넷 사양과 정확하게 맞지 않아 여러 테스트를 해보고 본문의 1번과 2번값만 조정해도

    실질적으로 효력이 있었기에, 이것을 토대로 마영전 사정에 맞게 새롭게 재구성한 가이드라인입니다.

 

    이것은 우선, 실효성에 중점을 두고, 여러달의 시간동안 실행해본 테스트 결과와

    제 주관적인 생각에 의해 원래의 계산식을 간소화한 것이란 것을 밝힙니다.

    밸브 공식홈페이지 및 여러 해외 포럼 사이트를 참고하고 나온 결과물이며,

    핵심적인 개념을 파악&재구성&테스트한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 본론

  [경로: 마영전/ko-KR/bin/Config_Material.txt]

 

- 적정한 값이 아닐 경우(값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경우)

 

만약 적정한 값이 아닐경우,

솔플할땐 거의 렉이 없고 60 프레임으로 나오지만,

심하면 파티플시, 다른 사람들까지 렉이 걸립니다.

(예: rate, cl_rate, sv_rate 값을 그냥 인터넷 최대속도로 할때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방장을 하고 사람들과 같이 돌때, 배 띄우고 난 후의 맵 로딩이 오래걸립니다.

혹은, 실제 플레이어 위치와 화면에 보이는 위치가 맞지 않거나,

히트박스가 안맞거나, 해부되듯이 이상하게 나오거나,

캐릭터가 저절로 부르르르 떨리거나 왔다갔나 하거나,

반응들이 더 늦게 나타나거나 하게 됩니다.

(Tickrate값이 안맞아도)

 

또, 너무 값이 안맞으면 맵에 진입해서도 렉이 발생하고,

약간 안맞으면 맵에 진입해서는 렉이 값이 너무 안맞을때보다는 적지만 렉이 있을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렉이 없으나 방장만 프레임이 좀더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적정한 값일 경우

 

첫 접속후 여관에서 나올때 순간 걸리는 렉이 완화되기도 하고,

사람들과 같이 해도 렉이 발생하지 않고, 배를 띄우고 난 후의 맵 로딩도 그리 길지는 않습니다.

 

만약, 미리 맵과 데이터를 로딩하는 명령어를 키셨다면,

맵 로딩땐 좀 걸려도 인겜에서는 렉이 별로 없게 됩니다.

또한, 보스 처치 후, 찰칵!하면서 사진찍는 타이밍이 거의 바로 이루어집니다.

(이것은 서버 상태에 따라서도 달라지니 여러번 해봐야 함)

 

 

 

- 주의사항

 

* 당연한 얘기지만, 자신의 사양보다 높은 값은 오히려 렉을 유발하게 합니다.

  반대로, 너무 값이 낮아도 렉이 생깁니다.

* 방장을 하는 사람의 컴터 사양이 좋고, 인터넷 속도가 아무리 빠르다고 해도,

  기본값보다 값을 올린데다가 파티하는 사람들과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기 때문에,

  파티를 하는 사람들 컴터 사양이 안좋거나, 인터넷 속도가 느리면 오히려 병목현상이 일어나 렉이 발생함.

  -  즉, 가장 이상적인 것은 적정한 네트워크 명령어 값을 적용한 후

          컴터 사양이 좋고, 인터넷 속도도 빠른 사람들과 같이 겜을 하는 것.

 

* 마영전을 처음 실행할때 1차적으로 로그인서버(아마도)에 접속하고,

  이후 캐릭터를 고르고 들어가면 2차 접속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2차 접속할때 접속하게 되는 섭으로 랜덤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속도가 느린 섭(사람들이 많다든지, 부하가 걸린 섭이라든지)에 접속되면

  사람이 많지 않을더라도 느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섭에 접속하면 상대적으로 렉이 별로 없습니다.

  (적합한 네트워크 값을 찾기위해 마영전 서버와의 핑과 손실률 등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알아낸 내용)

 

* 네트워크 명령어 값 참고

  - tickrate, cl_cmdrate, cl_updaterate, sv_cmdrate, sv_updaterate 의 설정값은 모두 같은 값으로.

  - rate, cl_rate, sv_rate, sv_maxrate 값은 모두 같은 값으로. 단, sv_minrate 값은 0.

  - rate와 cl_rate는 서버와 다른 사람들간 데이터 다운과 업로딩의 개념차이가 있습니다.

    비대칭 인터넷을 쓰시는 분들은 업/다운로드 속도중, 더 낮은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해서 적용하세요.

    계산방법에 대한 개념설명도 있음.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1300 참고)

  - 당연한 얘기지만, 기본적으로 윈도우 최적화를 하고, 네트워크도 최적화하면 더 좋습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0820 참고)

  - 옛날 소스 엔진이 주로 쓰인 겜은 카운터 스트라이크, 하프 라이프인데,

    이 겜들이 같이 하는 플레이어 수와 맵 크기가 마영전보다 규모크기가 작습니다.

    그리고, 마영전의 몬스터도 플레이어로 인식되기 때문에 값을 찾기위한 원래의 계산식에서

    값 차이가 더 나게 됩니다.

 

 

 

 

 

- 계산해서 적용하기

 

저는 100MB 광랜이고, 비대칭 랜선이 아닙니다. 업/다운 모두 거의 초당 최고 95메가비트. 

 

 

[계산식 개념참고: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1300]

 

1. rate, cl_rate, sv_rate, sv_maxrate 값 (단, sv_minrate 값은 0)

 

   최대속도(메가비츠 퍼 세컨즈)*1000/8*1024 에다가,

   인터넷 속도 변동 폭을 감안해서 70~90퍼센트 정도의 값으로 만들어줍니다.

   이후 인원수로 나눠줘야 하는데 제 예시를 보시죠.

   (즉, Megabits per seconds 인터넷 전송속도 단위 → Bytes per seconds 데이터 전송속도 단위로 전환.)

 

   95*1000/8*1024=12160000(초당 바이트), 여기서 80퍼 적용후 16(명)으로 나누면, 608000.

     - 나눠주게 되는 인원수는 외국 인터넷 속도와 우리나라 인터넷 속도 차이가 나서 정확히 맞는 것은 아니나

       대략 저 정도 값으로 나눈다고 보시면 됩니다.

     - rate와 cl_rate는 서버와 다른 사람들간 데이터 다운과 업로딩의 개념차이가 있습니다.

       비대칭 인터넷을 쓰시는 분들은 업/다운로드 속도중, 더 낮은 속도를 기준으로 계산해서 적용하세요.

     - 이것도 아래와 마찬가지로 값이 너무 높으면 조금씩 낮춰가며 테스트해봐야 됩니다.

       반면, 너무 값이 낮거나, 아래와 비율이 안맞아도 오히려 렉이 발생하니 유의하세요.

 

 

2. tickrate, cl_cmdrate, cl_updaterate, sv_cmdrate, sv_updaterate 값

 

   이것도 원래 위의 rate값을 인원수로 2번 나눠줘야 하지만, 대충 20으로 2번 나눠줍니다.

     - 카스나 하프라이프에서 쓰이는 원래의 계산식에서 나눠주는 인원수가

       위에서 적었던 인터넷 속도차로 정확하게 안맞아 16이나 20같이 보다 큰 수로 나눴음.

 

   12160000*0.8/20/20=24320

   거기서, 많이는 2000, 적게는 1000정도씩을 테스트 해보면서 낮췄습니다.

   현재 제가 쓰고 있는 값은 21320입니다.

   좀더 손봐야 할 것 같지만 적용해보면서 테스트하는건 시간이 많이 걸려서..

 

     - 무제한 부활 이벤트기간 같이 사람들이 엄청 몰리는 시간대에 해보고

        현재는 이 값을 19000정도로 낮춰서 써보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도 다방면에서 안정적이고 적합한 값을 찾아서 적용해보세용!

   ........은

   귀찮아서.....쿨럭.

 

 

 

 

 

 

 


2015. 7월, 바로 위 2번의 rate류 값은 17800, 1번은 304000으로 쓰고 있습니다.

컴터사양마다 적합한 값은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

(7월에 이걸 적을때 1번과 2번을 반대로 써놨었네요 ;ㅅ;)




- 2016.01.09

사람이 많이 몰리는 이벤트때에도 네트워크 반응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계속 줄여서 확인해보고 있습니다.

대충 하고 살고 싶어도

조금이라도 거슬리는건 참을수가 없네요 ㅠㅠ

마영전을 많이 하지 않아서 시간이 오래 걸리네요.

1번은 204000, 2번의 rate류 값은 12300 쓰다가

값을 더 낮춰보고 있습니다.

 

 

- 2016.01.11

1번류는 180000, 2번의 rate류 값은 12250으로 놓고

오늘 일단 무제한 부활 시간에 계속 돌려봤는데

오늘 사람들이 적어서인지 렉도 별로 없네양.

TCP/IP netst chimney를 자동에서 활성화로 바꿔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제랑 차이가 꽤 나는 걸 보니 일단은 만족합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