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과거와는 달리 시즌 1 구간이 짧고 더불어 퀘스트맵으로 인하여 빠르게 7080레벨 구간을 지나감에 따라 전반적인 인챈



 



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창시타를 위한 글입니다. 통설로 캐릭터를 완성함에 있어 무기/방어구/악세 순으로 많이 추천하


만 잘못된 무기 인챈트 선택으로 나중에 방어구/악세 인챈트을 함에 있어서 오버밸런스/오버크리 등을 겪을 수도 있습


. 이 글에서는 방어구 까지 심도 있게 다루지는 않고 단순히 무기 인챈트에 관한 간단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이 글은 얕게는 7080 레벨의 무기 인챈트와 추천 방향부터 시작하여 90레벨의 무기 인챈트까지 다룹니다.(69레벨 이하


는 다루지 않습니다) 주요 대상은 창을 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는 창시타이며 무기는 10강으로 한정합니다. 또한 방어구 


악세는 현재 최고 등급으로 맞추었는데 이것은 최종 세팅시 오버밸런스/오버크리를 겪지 않게 함에 있습니다.









 

2-1. 창시타의 딜량은 어느 것으로 결정되는가?


 


 


 리시타 캐릭터는 공통적으로 크리티컬이 발동되어야 퓨리가 나갑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글라이딩 퓨리와 라이트닝 


퓨리는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극대화 시킨 것이 검시타이고 이와는 달리 창시타는 고유 스킬인 문스플리터로 딜을 넣


습니다. 즉 이 문스플을 보스에게 얼마나 많이 쓰느냐에 따라 딜량이 결정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리시타는 크리티컬이 발동되어야 퓨리를 쓰는데 이것은 매우 종속적인 딜 방법입니다. 하지만 창시타의 






스플리터는 능동적인 공격방법이므로 크리티컬의 발동 여부와는 상관없이 공격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창시타의 고유 


킬인 리버레이트로 인하여 크리티컬 수치가 매우 높게 향상되므로 검시타보다 크리티컬, 공격방식 등이 더 자유롭습니



 그러한 이유로 창시타는 크게 두갈래 나뉘어 지는데 공속을 챙기되 방어가 상대적으로 낮은 창시타가 있고 공속보다는 


구간 말뚝딜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딸창시가 있습니다. 이 사항에 대하여는 이글에서 논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창시타는 검시타보다 능동적인 캐릭터이며 다단히트로 데미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크리/밸런/공속의 적당한 조


화가 필요합니다.



 






2-2. 크리티컬과 크리티컬 상한, 크리티컬 저항, 크리티컬 피해량에 대하여



 



 게임상에서의 크리티컬(=크리티컬수치)은 공격을 할 경우 그 공격이 어느 정도의 빈도로 더 많은 공격력을 지닌 채로 공


격이 되는가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크리티컬 상한은 실제로 적용되는 크리티컬과 그 크리티컬의 한계를 나타낸 


것이며 크리티컬 저항은 크리티컬이 일어날 확률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자신의 크리티컬이 100, 공격력이 100, 피해량이 200이고 몬스터의 크리티컬저항이 70이라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이 경


우 자신이 공격하면 30%확률로 크리티컬이 발동되며 이때의 수치는 200이 됩니다. 만일 이때 크리티컬 상한을 25로 적용


한다면 자신의 크리티컬 확률은 25가 됩니다.



 

 그것을 창시타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현재 시즌 3 기준 레이드의 크리저항은 80입니다. 또한 리시타는 타 캐릭터와는 


달리 크리티컬 상한이 65이므로 리시타는 크리티컬을 145까지 맞춰야 합니다. 하지만 창시타는 자체 스킬인 리버레이트


로 크리티컬을 22 올려주므로 크리티컬을 123까지 올리면 됩니다. 즉 만크리 = 123입니다.







 

3-1. 강화, 인챈트와 귀속 문제

 

 

 90레벨 이상의 창시타와 80제 고강의 창시타의 경우는 그리 해당되는 부분이 아니지만 7080 구간을 빠르게 지나가는 창



   



시타에게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무기는 9강부터 귀속이 되는데 이러한 경우 재판매할 경우 귀속포션을 사야하


고 또한 판매가 잘 되지 않습니다. 인챈트의 경우는 9랭크부터 귀속이 되는데 재판매를 위해서라면 A랭크를 추천합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9랭크 이상 인챈트시 실패시 일정확률로 아이템 파괴 확률이 있으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3-2. 인챈트의 기초

 

 마비노기 영웅전은 강화 이외에도 무기,방어구,악세의 공격력/크리티컬/밸런/공속 등을 올리는 방법으로 인챈트가 있습






니다. 각 파츠당 2개의 인챈트가 적용되며 각각 접두/접미 인챈트라고 부릅니다. ~,~,~의,~는 같이 형용사는 주로 접


두 인챈트이며 명사형 인챈트는 접미 인챈트입니다. 예외적으로 별빛 인챈트는 접두 인챈트입니다. 결론적으로 무기를 인


챈트 함에 있어서 2가지 모두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통상 풀챈이라고 함은 접두 접미 모두 적용되어 있는 무기나 


방어, 악세를 지칭합니다.

 



4-1. 공상한에 대하여

 

 마비노기 영웅전은 타 게임과는 달리 공격력 상한선이 있습니다. 즉 아무리 공격력을 올려도 상한선을 넘어가면 무의미


하게 되므로 적당한 공상한을 맞추되 크리티컬/밸런스/공격력을 높여서 딜량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재 공상한은 몬스터 방어력 + 10000으로 알고 있으면 편합니다.


<참고자료>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4224

 





4-2. 공제방에 대한 기초





방마다 21/190 , 19/180 같은 숫자들이 있습니다.


21/190을 예로 들어보면 공격력 최소 21K를 만족하고 크리+밸런이 190은 되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5. 70~79레벨의 창시타

 





 복귀유저가 아닌 보통의 유저들의 공격력은 적게는 12K부터 높게는 14K까지 바라봅니다. PC방 유저의 경우는 더 높게


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예외 상황을 제외하고는 평균적으로 13K이며 굳이 인챈트를 한다면 공격력을 높이는 고풍스러운 


인챈트와 용맹 인챈트가 좋습니다. 무기는 노강을 껴도 상관이 없지만 올바르게 골드의 손실 없이 정석을 밟아온 캐릭터


라면 8강 노챈 창을 살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자본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고 70제 노강을 끼나 8강 풀챈 창


을 끼나 80제를 낀 유저를 이기기는 매우 힘든 부분이므로 적당히 결정하도록 합니다. 용맹 가격이 부담스럽지만 굳이 공


격력을 올리고 싶으시면 예티 인챈트를 구해서 바르는것도 좋습니다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 외적으로 사장된 A랭크 인


챈트들이 있는데 사실 이때 뭘 발라도 별다른 차이가 없으니 골드 여유가 없으면 그대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1 : 고풍스러운 용맹 8강 인피니티 듀얼스피어 or 고풍스러운 용맹 8강 매드니스

 

추천 2 : 070제 창

 







 

6. 80~89레벨의 창시타

 

 


70레벨과는 달리 모르반에서 딜량이 어느 정도 나오게 되는 레벨대입니다. 보통 공격력은 16~17K정도 되며 모르반 일던 


방어력 8000에 비교하면 거의 공상한에 도달하게 됩니다. 또한 70제와는 달리 어느 정도의 무기 선택이 가능합니다. 여기


서 결정해야 하는 사항이 있는데

 

1. 80레벨 구간을 빠르게 스킵하여 90제로 갈아탄다.


2. 80제 고강을 들고 90까지 간다.


3. 나는 아직 잘 모르겠다. 우선 적당한 공제를 뚫고 싶다.

 

 현재 대세는 1번사항이고 1번으로 선택할시 90제 세트옵션중 6셋옵 or 3/3셋옵 선택이 가능하며 크리티컬 수치가 높아 


많은 정령작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10강만 해도 어느정도의 공격력이 보장되고 풀챈시 공상한까지 무난하게 도달


하므로 현재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2번 사항을 선택시 시즌 2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시즌 3에서 높은 크리저항으로 인해 상당한 고난을 겪게 됩니


. 최종 세팅으로 정령작까지 고려한다면 선택하여도 괜찮습니다. 90제 방어구 선택시 5셋옵 혹은 802셋옵 + 903


셋옵 등을 하시면 됩니다.

 

 

 3번 사항을 선택시 접미 부분에 9랭크 인챈트 야망을 적용시켜야 합니다. 왜냐하면 보통 유저의 경우 8010강을 들면 


17K가 나오게 되는데 최소 공제 18K를 뚫기 위해서라면 야망 인챈트의 공격력 700이 매우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호스트가 되면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야망 선택시 인룬의 선택사항이 있고 위험부담 역시 존재합니다. 게다가 나중에 


이것을 팔 때 귀속 문제도 있으므로 골치아픈 사항이 됩니다. 자신이 현금/골드가 넉넉하고 나중에 이것을 팔 여유가 있다


면 선택해도 좋습니다.

 



우선 1번 상황을 가정하고 글을 써보겠습니다.

 



귀속이 되지 않는 A랭크 인챈트 중 그나마 쓸만한 것들을 추려봤습니다.


용감한 : 밸런2


결정적인 : 크리3 밸런1


상당한 : 밸런3


고풍스러운 : 공격력 320 공격속도-1


바람같은 : 크리3


예티 : 공격력 100


희망 : 확률적 크리 5 (버그로 크리 3 적용된다고도 합니다)


꽃잎 : 공격속도 5 밸런 3 공격력 150


용맹 : 밸런 5 공속 4 공격력 130



 

 보통 무기는 8강 아마겟돈 듀얼스피어를 선택하고 인챈트는 결정적인/고풍스러운 두 개 중에 하나를 접두로 선택하며 


접미로는 용맹을 선택합니다. 사실 이상태에서 상의에 국민인챈 보호를 적용시키고 무기 풀 챈을 한다 하여도 일반적 최


소 공제방인 18K도 못 들어가며 밸런 크리 합은 180도 되지 않습니다. 즉 어느 것 하나 빼먹어도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


습니다.

 

 하지만 굳이 인챈트를 하겠다 하신다면 결용/고용 중에 하나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혹시나 해서 결정의 값이 비싸 


선택을 못한다면 바람같은 인챈트를 선택하여도 무방합니다. 용맹의 값이 많이 나가고 꽃잎이 상대적으로 싸다면 이것 역


시 차선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2번 사항을 선택하면 무기를 뭘 선택하든지 간에 시즌 3까지 바라본다면 7랭크 인챈트인 불심/불단을 추천합니다. 많은 


골드를 들여서 정령작까지 바라본다면 정심/정용/정꽃까지 해도 됩니다. 처음 시작하는 분에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3번 사항을 선택한다면 크게 번쩍+야망/결정+야망/고풍+야망/결의+야망 인챈트를 추천합니다. 만일 야망 인챈트만 적


용시켜도 공격력이 18K가 넘어간다면 접두로 결정/번쩍을 추천합니다. 이것 역시 처음 시작하는 분에게는 권장하지 않습


니다.

 










7. 90레벨의 창시타


  


 80레벨과는 달리 공격력도 상당히 높아지는 때이며 본격적인 마영전 라이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주요 공제방도 뚫어


야 하며 각종 노기들까지 상당히 고려해야 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여기서 여러 가지 선택사항들이 있습니다. (무기는 8강 


혹은 10강이라 가정하며 전승석 봉힘 관련 자세한 글은 쓰지 않습니다.)

 

우선 선택사항으로 자신의 골드 여부에 따라

 

1. 보라색 창을 낀다


2. 보라색 봉힘 + 주황 전승석 창을 낀다


3. 주황색 창을 낀다

 

이 세가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1번 사항의 경우 최대 인챈트는 8랭크 최대 강화는 10강입니다. 만일 거쳐가는 단계로 쓰실 생각이면 8+ A랭크 인챈


트만 써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무기 공격력이 높은 상황이라 10강에 방어구,악세 인챈트가 잘 뒷받침 해준다면 


20/180의 공제방을 무난하게 뚫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수월하게 팔 것을 가정하면 8+A랭크 인챈트를 하시고 인룬과 


강룬이 넉넉하며 10강을 쓰신다면 번쩍이는 인챈트 + 용맹 혹은 야망을 추천드립니다. 무기의 밸런스는 65 크리티컬은 45


를 쓰시면 됩니다.

 



 2번 사항의 경우 봉힘 살 돈이 없어서 전승석 부터 맞추는 경우입니다. 즉 나중에 봉힘 싸지는 것을 고려하여 하는 방법


인데 이것을 할 바에는 주황 봉힘 + 보라 전승석을 가는게 낫습니다. 

 

 


 3번 사항의 경우는 7랭크 인챈트 및 15강 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재 봉힘 가격이 보통 3천대이며 전승석 가격이 중옵


을 산다 하더라도 2천 가까이 소요되는 상황이므로 어지간한 자본 없이는 시도하기 어렵습니다. 만일 무기를 사게 된다


면 크리티컬 50 밸런 70 혹은 크리티컬 49 밸런 71의 창을 사는 것을 추천합니다. (크밸합 120을 중옵이라고 생각하면 편


니다.)

 



10강을 어찌어찌 한다하면 이제 남은 것은 인챈트입니다. 여기서 3가지 선택 사항이 있습니다.

 

1. 공제방을 빠르게 뚫기 위하여 밸크를 먼저 잡고 싶다.


2. 밸크는 상관없고 공속을 높여서 수월한 회피 및 시원한 플레이를 하고 싶다.


3. 둘 다 잘 모르겠다. 뭘 어떻게 해야 하는가?

 



1번 사항을 설명하기 앞서 7랭크 인챈트 4가지를 언급하고 지나가겠습니다.

 

불의의 : 크리 8 공속 4 공격력 220


정의로운 : 크리 2 공속 8 밸런 2 공격력 430


심판 : 크리 4 공속 3 밸런 1 공격력 870


단죄 : 크리 6 공격력 680

 



4가지 조합 및 추가 조합

 

불심 : 크리 12 공속 7 밸런 1 공격력 1090


정심 : 크리 6 공속 11 밸런 1 공격력 1300


불단 : 크리 14 공속 4 공격력 900


정단 : 크리 8 공속 8 밸런 2 공격력 1110


불용 : 크리 8 공속 8 밸런 5 공격력 350


정용 : 크리 2 공속 12 밸런 7 공격력 560

 



 크밸합만을 따지고 보자면 불단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기원/되메, 기타 악세 풀챈 및 훈련이 다 끝나면 크상한


123을 넘게 됩니다. 또한 회피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창시타의 경우 공격속도가 매우 중요한데 공속이 6가지 중 가


장 좋지 않습니다. 또한 불의 단죄 모두 7랭크 인챈트이므로 다음 크밸합이 높은 불용을 추천합니다.

 

 불용을 추천하는 또 다른 이유는 초기 A랭크 인챈트를 사용할시 결용에서 오게 되는데 여기서 단 한 개의 인챈트만 변화


시키더라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빠른 공제방을 가기 위하여 밸크를 먼저 잡는다면 불용 조합을 추천


합니다.

 

 


 2번 사항은 정심 or 정용 조합으로 가는 것입니다. 정심은 공속과 크리티컬 두가지를 잡는 항목이고 정용은 크리티컬과 


밸런스를 잡는 조합입니다. 현재 정의와 심판 모두 가격이 상당하므로 1차적으로 앞서 말한 결용을 먼저 사용하고 정의


를 선택한 후 시즌 2 or 시즌 3 여부에 따라 심판 or 용맹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즉 공속을 잡되 그나마 빠르게 밸크합을 잡는 방법으로 정용을 먼저 가시길 바랍니다.

 

 


 3번 사항을 선택하였으면 우선 결용을 쓰시길 바랍니다. 이후 자신의 중시 방향에 따라 위의 인챈트를 선택하여 가시면 


됩니다.

 

 항상 고려해야 하는 부분은 자신이 소지한 골드와 캐시, 그리고 정령작의 여부와 취향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8. 창시타와 크리티컬에 관한 이야기

 

원본글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33&l=540859

 

통상 창시타는 리버레이트가 있어서 검시타에 비해 크리티컬 부담감이 덜합니다. 그리하여 불의보단 정의를 많이 선택합


니다

 

한번은 계산기를 두들겨서 만크리 만밸 불심 문스플 딜량과


117 만밸 정심 문스플 딜량을 측정해본 결과 (다른 조건은 같다는 전제하에)


역경직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해본 결과 불심이 딜량이 우세하더군요

 

 그리고 시즌 3 레이드 모두 무빙 회피를 이용한 문스플 딜을 할 수 있으므로 굳이 만크리인 123을 맞출 필요가 없습니다


만 만크리 라퓨 무적을 쓰고자 하는 저 방어력 창시타는 오히려 만크리를 맞추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방향


으로 생각하면 메인 노기터인 초입 크저가 73이기 때문에 굳이 만크리를 맞출 필요가 없습니다. 116 크리만 맞추어도 


된다는 소리입니다.

 

 어찌 생각하면 불의 정의 공속 4 차이지만 공속 4로 인하여 문스플 구간을 넘어설 수도 있고 글퓨 발동속도도 빨라져서 


sp수급이 빨라진다던지 슬하 효율이 좋아진다던지 하는 면도 있습니다. 또한 회피 속도도 빨라져서 회피-공격이 더 수월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123 만크리를 맞춘다면 시즌 2에서 리버레이트 없이 단순 창만 휘둘러도 만크리에 가깝습니다.(시즌2 기준 만크


124) 즉 슬래싱 하이를 킨 후 공격을 할 시에 슬하가 끊어져도 딜량은 일정하다는 말과 같습니다.

 

정심 -> 공속 11 밸런 1 크리 6


불용 -> 크리 8 5 공속 8

 

두개를 비교하면 공속 3 or 크리 2 밸런 4입니다

 

 이 수치는 정령작의 2 : 1 비율과도 같습니다. 즉 정심으로 세팅 후 밸런작 2 크리작 1개를 하거나 불용으로 세팅 후 공속


3개를 하시면 됩니다. 단지 차이나는 것은 깡공뿐이지요.

 

 피로도 50 이하시 버닝 버프 공속 3을 받는데 이것으로 자신이 공속이 체감된다면 정의로 체감이 안 된다면 다른 방도


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21/190 같은 공제를 목표로 한다면 불용이 크밸 합이 가장 높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고공속을 바라본다면 정용 정꽃 정


심 테크를 타면 됩니다.

 

 가장 처음 시작하는 인챈은 결용부터 시작합니다.


 만약에 결정을 살 돈이 없다면 바람을 사서 발라도 됩니다.


 만약에 용맹을 살 돈이 없다면 잠시 비워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접두를 정의/불의로 바꾸고 심판을 갈지는 개인적으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추가 자료 : 창시타 공속 계단>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28&l=34183


 <추가 자료 : 창시 공속계단 측정에 대한 의문점>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33&stype=subject&svalue=%B0%F8%BC%D3%B0%E8%B4%DC&l=533571




 







9. 각 인챈트 별 딜량 비교



 딜량 측정 방식은 전부 동일하게 보스 몬스터가 가만히 정지해 있고 스태미나가 무한이라고 가정하며 리버레이트는 항


상 켜져있다고 가정하고 데이터상으로 산출하였습니다.

 

무기는 10강 레지나 창


방어구는 통상적인 2깨열 2되메 1시보 3/3 세트


죽열 선고 은열 페리 2신열 악세 착용을 기반으로

 

별노/모열/전승석/인챈트의 변수만 가지고 측정하였습니다.


최대한 만크리/만밸로 가려고 했으며 정령작은 일체 쓰지 않았습니다.


보스 몬스터의 크저는 80으로 했습니다.


* 의도적으로 만의지는 맞추지 않았습니다. 




읽는 방법 예시 : 정의로운 심판 / 전승석 28 29 사용 / 별노 달샤브 사용 / 최종 딜량








1. 정심 2829 노블 1878648




 



2. 불심 2829 노블 1896957






3.표심 2730 모열 18318864






4.표심 2730 노블 1857314






5.표심 2829 노블 1855635






6.번용 2730 모열 1853148






7.결용 2730 모열 1808564






8.정용 2730 모열 1855635






9.정꽃 2730 모열 1862912






10.불용 2730 모열 1894485





11.기심 2730 모열 1832118




 이것은 시즌 3 레이드 한정 데이터이며 역경직을 하나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역경직을 고려하면 공속 부분에서의 격차


가 더 벌어질 것입니다. 초입으로 가면 크리 116에 고공속 만밸이 가장 유리합니다. 또한 공속에 따른 문스플 회피 혹


은 문스플까지 가는 공격 속도도 변수이며 가장 큰 변수로는 파일럿이라고 생각합니다.











10. 마치면서


그동안 인챈트 관련 글을 적어보려고 했으나 개인사정도 있고 해서 글을 적을 여유가 안나더군요.


오늘 패치도 있고 쉬는 날이기도 해서 그간 써온 글을 마무리 지어봤는데 용량이 상당하네요


많이 부족한 글이지만 창시타 시작하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아주 좋은 글이라고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