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경희사이버대


경희사이버대, 광명시, 영화대장간이 공동 주최한 리처드 테일러 경의 ‘AR게임과 판타지 산업의 미래’ 강연이 애니메이션 고교생, 애니메이션·게임 전공 대학생, 문화재학과 대학원생, 게임 분야 종사자, PD, 문화산업 공공기관 관계자 등 300여 명의 방문으로 성황을 이뤘다.

지난 26일(수), 경희대 평화의전당에서 열린 강연에서는 이택광 교수(경희대 영미문화전공)의 사회로 진행, 양기대 광명시장의 축사와 리처드 테일러 경의 특강, 그리고 패널토론 및 질의응답 순으로 이뤄졌다.

특강을 맡은 리처드 테일러 경은 웨타워크숍(TV·영화의 특수시각효과·특수분장·특수모형 제작 기업) CEO이자 매직리프(VR/AR 기업) 이사로 30여년간 영화·TV·게임 등의 분야에서 상상의 세계를 현실화해온 세계적 거장이다.

행사는 공동 주최인 광명시 양기대 시장의 축사로 시작됐다. 양 시장은 “리처드 테일러 경은 영화 ‘반지의 제왕’, ‘킹콩’, ‘아바타’, ‘호빗’ 등에서 특수효과를 담당해왔으며, 판타지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이들에 대한 열정과 애정으로 강연을 맡았다. 이번 특강으로 크리에이티브 인재에게 필요한 ‘창조’와 ‘상상력’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리처드 테일러 경은 “미래 창조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이 자리한 자리에 창의적 영감을 주는 강연을 하게 돼 기쁘다”며 “다음 세대가 창의력을 갖추고, 개척해 나가는 프론티어가 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주제 특강에서는 상상의 세계를 다양한 미디어에 옮겨놓는 판타지 산업과 가상의 세계와 현실을 함께 접목하는 혼합현실에 대한 강연이 이뤄졌다. 그는 “웨타워크숍은 80편이 넘는 영화, TV쇼 작업을 비롯해 스티븐 스필버그, 제임스 카메론 등 세계적 영화감독과 작업을 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영국·호주·중국·남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작업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발전이 가능할 수 있었던 근간에는 독특한 소재와 테크닉, 혁신적 프로세스가 있다. 콜렉터블·관광·퍼블릭 디스플레이 등과도 결합해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의 발전으로 가상세계와 현실을 함께 볼 수 있는 혼합현실이 가능해질 것이다. 가상과 현실을 접목하는 기술 발전이 일어날 것이라 본다. 이는 굉장히 놀라운 기술로 미래의 문화산업 및 신기술의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특강 이후에는 이택광 교수와 리처드 테일러 경, 이미연 상무(KT 미래사업개발단), 이남진 대표(영화대장간), 이우현 대표(스트라드 월드와이드) 간 패널 토론이 이뤄졌다.

이택광 교수는 “창조산업의 핵심은 ‘크래프트맨십’과 ‘기술’, ‘디자인’을 연결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오늘날의 창조산업은 가상의 아이템을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3D프린터로 제작한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가상의 것을 실제로 갖게 될 수 있게 됐다. 가상과 실제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미연 상무는 “AR·VR 산업을 활용해 교육·의료·제조 등의 분야에 접목한 비즈니스 모델이 발굴되고,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생길 것이다. IT기기에 갇혀 있는 미디어가 우리 삶의 환경으로 확대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남진 대표는 “AR·VR을 통해 가상의 세계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를 활용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비물리적으로도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우현 대표는 “가상현실을 통해 우리는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를 만날 수 있다. 경험해보지 못한 세계와 캐릭터를 플랫폼을 통해 만나왔지만 앞으로는 플랫폼 없이도 눈으로 직접 가상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글로벌 퀄리티’와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패널토론이 끝난 뒤 질의응답에서는 문화재 전공 대학원생·홍익대 애니메이션학과 재학생·울산문화산업개발원장 등 관련 전공자 및 관계자들의 열띤 질문들이 이뤄졌다.

행사에 참석한 이가연(한국외대 행정학과, 22세) 학생은 “SNS를 통해 특강 소식을 듣고, 흥미로운 강연이라 느껴 경희대 평화의 전당을 찾았다. 기술 외에 창의성에 대해 중점을 둔 강의가 인상 깊었고, 엔터테인먼트 산업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창조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게 됐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정지원(한국IT직업전문학과 게임스토리텔링학과, 20세) 학생은 “‘아바타’, ‘호빗’, ‘반지의 제왕’ 등 평소 재밌게 봐온 영화의 특수효과를 담당한 리처드 테일러 경의 강연을 들을 수 있어 좋았다. 이번 강연에서 AR(증강현실)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됐고, 게임시나리오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행사가 종료된 뒤에는 질의자들에게 리처드 테일러 경이 직접 준비한 선물을 증정하는 시간과 함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기념사진 촬영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경희사이버대학교는 하버드대 마이클 푸엣·마크 셸 교수, 예일대 존 트릿 교수, 류블랴나대 슬라보예 지젝 등 해외 석학을 초청, 세계적 지성과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특강을 지속적으로 펼쳐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