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내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자는 의견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되었다.

새누리당 주호영 위원은 9일 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이 심각하며, 이에 따른 방통위와 교육당국의 스마트폰 교내 사용 제재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에서 실시한 '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보급 비율은 36.2%이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게임 이용시간은 평균 8.2시간으로 조사됐다. 특히, 10대의 스마트폰 중독 비율은 11.4%로 인터넷 중독 10.4% 보다 1%포인트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주호영 위원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이 매우 심각하며, 정신건강 의학박사의 말을 인용하여 청소년들의 지나친 스마트폰 이용은 청소년들의 성장에 상당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위원은 이어 "예전에는 쉬는 시간에 운동장에 나가서 뛰어 놀던 아이들이 이제는 자는 아이 아니면 스마트폰 사용만 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이를 제어할 방법이 없다. 교육당국과 협의하여 학교 내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을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라고 덧붙였다.

이에대해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은 여가부, 시민단체와 협의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을 제재하는 대처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업계는 이계철 방송통신위원장의 답변으로 지난 9월 11일 '셧다운제 대상 게임물 평가 계획'을 통해 예고한 스마트폰 셧다운 제도가 탄력을 받지는 않을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