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분들이나 신규분들이나  

 

조금의 도움이 되시라고  써봅니다.    (정기적으로 쓰는거같은 느낌은 뭐지...)

 

 

화기. 냉기 둘다 써볼께요. 

 

 

1. 화기딜싸이클

 

화기딜싸이클의 핵심은

 

화상상태를 유지하는것과.  화염피해 증가 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화상상태는  화련장. 연화지. 불씨5중첩  기공포(충격파3초식. 2초식도되긴함). 각성쌍룡파

등으로 화상을 걸수가있습니다.

화상상태인 적에게   열화장 2초식. 폭열신장3초식 : 폭열염포,  유성지. 열파. 염룡파

등이   추가데미지가 붙기 때문에.  이런 화상상태를 유지하는게  큽니다.

1만5천 나오던게 2만5천 나오는 정도니까요.   이게 큰차이에요. 6천나오던게 1만5천나오고 그러니까요.

 

 

이런 화상만큼이나   화염피해 버프도 중요합니다.

 

염혼수련을 할경우 염룡파 명중시 화염피해버프가 걸리게되는데요.  장비화염피해증가의 40%가 증가된후. 100추가 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속성귀.속성반지로 끼고있는 화염피해증가수치가   예를들어   1000이라면   1400에 100추가되서  1500이 된다는 거거든요.   엄청난  증가이죠.

화염피해버프는   모든 화기속성 무공에 영향을 끼칩니다.

따라서 기공은  이 2가지 버프를  지속 유지시켜야 하죠.

염룡파는 염옥을 3개 소비하기때문에 이를 위해서   열파사용이 필수적입니다.

염혼 수련시.  열파는 명중할때마다 염옥생성을하기에  열파1번당  3개의 염옥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한평열파 한평염룡파    라는   연계로  활용하면됩니다.

 

화상과. 화염피해버프   이 2가지를 유지하는게  기공딜싸이클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입니다.

딜싸이클 돌릴떄  자기가   화상을 잘유지하는지. 화염피해 버프를 잘 유지하는지 확인하면서 딜싸이클을 체크해보세요.

 

이런 기본적인 토대위에.   강력한 스킬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냐가   최종적으로 기공dps를 결정하게됩니다.

 

쌍룡파와 유성지.  그리고  1초식 화련장입니다.

 

쌍룡파의경우  염.빙옥 3중첩시 나가는 스킬인데   시전스킬이었던것에서  개편후 즉시로 바꼈죠. 대신쿨이붙고.

쿨마다 쌍룡파를 써줘야하는데.  염룡파를 쓰기위한 염옥3개와 겹치니까   이 쓰는타이밍이  굉장히 중요해지겠죠.

쌍룡파는   화염피해증가버프를 받지만.   화상에는 영향을 안받아요. 즉  쌍룡파의 최적 데미지를 위한 조건은   화염피해증가 상태인거죠. 

 

유성지는  화상과. 화염피해증가버프를  둘다 받는 형태라.  저 2개가 유지되고있는 동안엔  쿨마다 써주는식으로 돌려주면됩니다.

 

1초식 화련장.의경우  모순보패를 사용하게될경우 쓰게되죠.    1초식화련장 즉 좌련장의 경우에는  시전스킬입니다.

개편이후  치명타시 1회추가 즉시시전의 조건이 명중으로 바뀌었기때문에.  확정적으로 2발을   넣을수있죠.

 

데미지도 중심 보다 높은데다가.   이 화련장은 명중시 염옥3중첩과 화상효과를 유발합니다.

 

이걸이용한 콤보가.   화~~~련장-유성지 한평염룡파-화련장-한평염포-한평쌍룡  이런식으로    염옥이 추가되는점과. 첫 화련장후   추가화련장 활성시간을 고려해서 중간에 딜을 껴넣는 식을 활용한 콤보를 써요.

 

이건  사용하는사람들마다   조금씩 다른데.   렉이 얼만큼  발생하느냐에따라서 저사이에 집어넣는 스킬이 더많아지겠죠.

특히 진홍문령 이상 사용자들은  령시간에 맞춰서 사용하게되니까. 이점을 고려해야겠죠.

 

여기서 중요한건.   첫 화련장의 염옥3개를  염룡파로 소비하게끔 유도하고   추가화련장의 염옥3을 쌍룡파로 소비하게끔 하는건데요.      이게 가지는 의미가2가지입니다.

 

화상. 화염피해증가버프를 키고 부터  시작해서  데미지뻥티기 효과를 다받는다는 점과.

팔찌효과 때문인데요.

맹호팔찌 사용시  쌍룡파 명중시   5초간 맹호효과로( 폭열염포 270% 증가)

폭열염포의 데미지가  폭발적으로 오르게됩니다. 이건 촉마기공패와 맞물려서 엄청난 데미지 증가구간을 가져오게되요.

쌍룡파를 앞에 쓰게되면   이 맹호효과를 날리게되는셈이죠.

 

물론  효과들의  쿨타임을 계산했을때  달라지겠지만  처음 발동할때 그렇다는 얘기에요.

 

가끔  화련장 콤보 시작을 화신보로 하는것에 의문을 가지는분들이있는데..  령발동 땜에 그렇습니다.

 

치기시작하면 령이 발동되는데 령발동시간중  화련장 시전시간만큼을  날려버리게되니까  화신보로 화기전환후

화련장을 시전하는겁니다.    딜들어간  이후 다시 콤보사용때는  화신보 없이  한평 화련장  으로 시작해두되겠죠.

 

이는 검사가 천검시전후    바로들어가지않고  천검터질때쯤에  뇌령키고 들어가서 딜하는것과 같아요.

 

 

창천신공패를 착용하게된다면.    쌍룡파후  염.빙옥이 3중첩이  생성되게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염룡파 사용을 위한    열파를   안쓰게되죠.  열파가  화상.화염피해증가 상태에서   데미지가 올라서

 

최대한 딜로스안나게 되었지만   그래도 열파사용은  다른스킬에 비해서 딜로스인게 맞습니다.

 

창천신공패는 이런    열파의 사용을   줄여주게되서  딜량을 크게 올려주는데요.

 

뿐만아니라   강신시.

한평 열파 한평 각쌍  한평각쌍 한평각쌍    x3  번  해야할것을

한평각쌍 x12 번 하게됩니다.

 

즉 열파3번이 각쌍 3번으로 바뀌게되는데.

열파가  15,000 데미지인데.  각쌍은  제템으로도 10만이 넘게나옵니다.

령과. 속성악세가 있는분들은  훠~~~얼씬   강력하죠.  

엄청난  누적데미지의 차이가생겨요.

 

 

새로나오는 비공패 신공패 추가로  어찌 또 바뀔지 모르겠지만 현시점에선 이렇습니다.

---------------------------------------------------------

 

2. 냉기딜싸이클

 

냉기딜싸이클의 핵심은

 

설빙장+빙하신장   구간입니다.

 

설빙장  시전동안의 빙하신장의  뿅뎀이  주력  데미지구간인데.

빙혼수련시  이 설빙장을 최대3번까지 가능합니다.(기권사  설화장처럼)

대신 쿨타이밍이 45초로 늘지만   이콤보를 끝내고나면 한 33초 정도  남습니다.

 

근데 이구간 탓수가 엄청나서  스초가 잘이뤄져서 연속으로 또 쓸수도있어요

 

어쩃든  이구간들어가기전에 당연히.   냉기피해버프를 켜야겠죠?(빙혼수련시  빙룡파 명중시 장비 냉기속성피해 40%증가후 100추가)

 

문제는  이구간이 끝난 약 33초간의  설빙장 쿨 구간동안의 딜이 문제인건데요.

 

결빙추뎀들을 활용하는 무공으로 이구간을 버팁니다.

 

결빙추뎀을 갖는  기공포4초식과.  결빙추뎀 빙하장.  등이 그것입니다.

 

이를위한 결빙유지가 필요한데 이건  한빙장1초식을 활용합니다.(동상.-동상3중첩시 결빙)

 

별거없어요 평한충 한평충 평한충 평한충   이거 난사하게됩니다. (기공포4초식은 결빙이 깨지지않습니다.)

물론 빙룡파 버프를 유지하면서요.  사실   이  한평충이   처음  냉기딜싸가 나왔을때느 괜찮았습니다.

한빙장이 계수 하락 이전이었고.   결빙추뎀 기공포4초식이  불씨5중첩기공포3초식 보다 데미지가 높았기때문이죠.

하지만 현재  한빙장계수하락으로 인해서   이구간의 딜이 많이 떨어진게 사실입니다.

 

한빙장 1초식을 선택했기때문에.    빙옥생성을 한파로 활용해야되요.  빙혼 수련시 역시나 한파명중시마다 빙옥중첩이라

평한 한파 평한 빙룡파     이렇게 쓰게되죠.   화기와 반대입니다.

빙하장은  쿨마다  써주게되죠. 물론 결빙상태인적에게요.  모순보패 활용시  빙하장 데미지가 크게올라서.  간이화련장 느낌의 데미지를 가져다주기때문에  쿨도짧고.  쓸만합니다.

 

설빙장 쿨동안   폭열연파도 괜찮습니다.

저 결빙추뎀 평한충  구간 데미지가    화기딜싸의 표준상태보다 딜이 낮아요.  하지만 폭열연파는   화기딜싸의 표준상태와 비슷한  dps를 내는  스킬입니다.

화기떄는 굳이 안써줘도 되는 스킬이었지만  냉기때는 써줘도 괜찮은 스킬이게 되는거죠.

 

냉기딜싸의  가장 큰  갈림길이   바로  열화장입니다.

 

열화장 1초식이냐  2초식이냐의 갈림길이죠.

 

열화장1초식의   염옥생성+불씨자폭   vs  2초식의 화상피해증가 입니다.

 

아니 무슨 냉기딜싸인데 화상피해를  생각하느냐인데.   연화지가   10초간 화상 유지가되지가 되고. 화련장이 있기때문에 충분히  설빙장  쿨 구간에 활용할수있습니다.

 

데미지만 봤을떄는    2초식의 화상피해증가의 압승이긴 합니다만.   염옥생성이 문제가되죠.

 

한파로  빙옥을 취해야하는 냉기딜싸에서.  쌍룡파 사용을 위해 염옥까지 열파로 그것도 염혼수련이아니라서  열파를3번이나 써서 모아야하는  이 딜로스와 불편함을     화상피해증가의 메리트로 커버가 되냐 하는거죠.

특히 강신구간에서  큰 딜로스를 유발하게 되니까요.

 

근데  창천신공패의 등장으로   강신구간은 전혀 문제가 없어지게됩니다.

 

또한  일반구간에서도  쌍룡파후 생성되는 염옥을  다음 쌍룡파에서 활용하게 되면  되죠.

다만.  냉기딜싸는  폭열염포를  활용하지않기에. 쌍룡파의 쿨이  감소되지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스킬을 우선시해서 딜을 할경우(예를들면 설화장-빙하신장구간).  염옥시간이 다되서 쌓아둔 염옥이 날아가는 경우도 가끔 발생합니다.

 

1초식 열화장은  이런 염옥문제를 해결하고.  불씨자폭으로 데미지를 챙기는건데( 옛날 데이터에서  불씨자폭데미지가 화상데미지와 엇비슷한 누적딜을 가져오는 데이터가 있었음)

문제는 이게  타 기공들에게 피해를 주는점입니다.

 

화기기공사의   화상갱신에  영향을 주는거죠 (갱신하려는데 갑자기 불씨가사라져버리는 현상)

 

근데 이것도 극복이가능한것이.

 

화련장과. 연화지를    평한충 구간에  넣어서 화상을 유지시켜주면.

 

자폭으로 불씨를 날려도  화련장과  연화지로  화상이 유지가 되기에 불씨를 날려도 큰 문제가안생기죠.

 

잘따져보면.   화기딜싸는  연화지 재사용시간이 18초.  이중 10초가 화상상태유지.  즉  8초간의  구간동안

 

불씨5중첩 기공포3초식으로  화상을 유지해야됩니다.(연화지가 딜로스라  기공포3초식만으로 화상을 유지한다는 분들은

 

연화지 3급까지 찍어보심을  추천드립니다.)

 

이 8초간의  구간동안  자폭열화장  냉기딜싸 유저들이   자폭으로 불씨를 안날리면되거든요.

 

 

냉기딜싸는    설빙장-빙하신장 쿨 구간이  약 33초구간에  열화장 사용이 발생하게되요.

 

즉  냉기딜싸의 설빙장 쿨구간과.  화기딜싸의 연화지 쿨 구간이 겹쳐야.

 

불씨 자폭으로 인한 화상 갱신 실패라는  현상이  발생할수있습니다.

 

근데 냉기기공사 역시 이중 10초구간을  연화지 화상으로   신경쓰지않고 자폭 열화장을 쓸수가있고.

 

화련장으로  다시 6초간. 그리고  불씨확산 연장까지하면  4초 추가.  됩니다.

 

즉   화기기공사 8초간의 연화지 쿨구간동안

냉기기공사의 설빙장이 쿨인 상황에서.

냉기기공사가  연화지. 화련장.불씨확산으로  화상유지가 최대 20초가량 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저 8초간의 자폭 문제가 발생한다는것은

 

서로의 합이 안맞거나  냉기기공사의 컨부족이죠.

 

 

정리하자면

 

냉기기공사의  1초식  자폭.열화장 트리는   자폭으로인한 화상갱신 문제는  컨트롤로 극복이 가능합니다.

서로 사전에 맞추거나 할필요없이.   냉기기공사가  설화장 쿨구간에  연화지와. 화련장. 불씨확산을 잘 활용해주면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않습니다.

 

2초식  화상 열화장 트리의 문제는  염옥 생성인데. 창천신공패로 어느정도 해소가 가능합니다.

 

데미지는   비교해볼만한  실험결과가 없어요.

 

더불어  이번 신공패. 비공패  추가시. 설빙장쿨이  많이 줄어들기때문에. 더욱더 냉기딜싸도 메리트가 어느정도 생긴다고 볼수있습니다.